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문학
문학 이미지
Q.  클레이 피전은 어디서 이름이 유래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1875년 까지는 진짜 새를 쏘는 경기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특히 번식력이 강한 비둘기가 표적으로 선호되었죠비둘기보다 싸다는 이유로 "새를 대신해서"점토로 만든 표적을 쏘는 방식이 개발 된 후로도손맛이 안난다면서 진짜 새를 쏘는 사격은 계속 되었고1893년 영국에서는 무생물 조류 사격 협회가 결성되1903년에 클레이 버드 사격 협회(Clay Bird Shooting Association) 로 이름을 바꾼 후에도 남아 있다가1921년 영국 의회에서 덫에 걸린 새를 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나서야, 진짜 새를 쏘는 사격경기가 사라졌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퀘스트라는 단어는 어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QUEST의 사전적인 의미는 뭔가를 찾고 바라는 일, 한글에서는 탐구, 연구에 가까운 뜻 입니다.이 단어는 중세 로망스 기사도 문학에서 기사에게 맡겨진 수색 임무나 장기간에 걸친 원정을 의미하는단어로 쓰였으며이런 문학 중에는 "괴물 퇴치" 나 "성배 탐색"같은 내용이 많았습니다그리고 비디오 게임이 만들어지면서 이런 판타지 모험을 게임으로 재현하려는 시도가 있었는데당시 기술로는 생생한 모험담은 불가능 했고"특정 행동을 하면 특정 대사가 나온다" 수준이 최선이었습니다여기서 "특정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이벤트를 앞서 말한 기사도 문학에서 따서QUEST라 이름붙인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질드레남작이 푸른수염의 모티브된 실존 인물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영웅이 타락하는 것은 매우 흔한 현실입니다현재 아프리카의 독재자들 중 여럿이 한때 혁명투사 였죠특히 전쟁영웅에 관한 기록에선 PTSD로 의심되는 증상이 자주 나타납니다광해군이 미쳐간 것도 부모의 압박에 PTSD가 겹쳐서 그런 것이란 설이 강하죠더군다나 질드레 백작은 원래도 반쯤 납치하는 식으로 정략결혼을 하거나친척과 재산 갈등으로 다투고, 사치가 심한 등 좋게도 나쁘게도 귀족다운 귀족이었습니다그래도 전쟁때는 매우 열심히 일했는데신의 선택을 받았다며 실제로 망해가던 나라를 구원한자신의 상관 잔다르크가 정치적 이유로적국에 팔려나가 화형당하는 것을 두눈으로 직접 본 후로는(사람 한명 미치기엔 충분한 이유죠)마술과 연금술에 빠져 재산을 탕진한 끝에 교회를 약탈한 혐의로36세의 젊은 나이에 처형됩니다푸른 수염이야기는질드레가 젊었을적 있었던 실화인 "납치해서 결혼한 아내를 구하겠다고아내 친척들이 왔었고, 지하감옥에 감금했다가 몸값 받고 풀어 줬지만감옥 위생이 엉망이라 다 죽었다" 는 이야기에사형직전에 기소 내용인 "살인,남색,이단,교권침해 포함 총 34개의 범죄"를 합친 것인데이중 기소 내용은 전부 사실은 아닐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정설입니다감히 교회를 공격했는데 고해성사까지 거부해서(잔다르크의 측근이니 당연하지만) 괘씸죄로 누명을 씌웠을 것이란 거죠당시 심문은 고문이 기본이라서 별로 신빙성도 없구요
문학
문학 이미지
Q.  고속도로의 갓길이라는 단어는 누가 만들었나요?
'갓길'이라는 말은 고 이어령 씨(1933년 12월 29일~2022년 2월 26일)이 만든 단어라고 합니다국문학 박사겸 철학 석사 학위를 지녔으며소설가, 문학평론가, 언론인, 사회기관단체인등 다양한 활동을 하다가당시의 참여문학 기조에 따라 정치계에 입문노태우 정부의 초대 문화부장관을 역임했으며바로 이 장관시절에 만든 단어가 '갓길' 입니다갓길 외에도조정래 작가님이 태백산맥의 집필을 위해 중국에 불법입국 하려던 것을지원하는등 다양한 활약이 있었지만아마 한국인에게 제일 유명한 것은88서울올림픽의 굴렁쇠 소년 을 기획한일일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비유와 상징에 대해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설명해주세요. 그리고 그 각각을 사용함으로써 얻는 문학적 효과가 무엇인지도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둘 모두 뜻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입니다직접 말하는 것보다 신선한 느낌을 주며새로운 시각으로 독자의 흥미를 유발합니다차이점으론 크게 2가지를 뽑을 수 있는데1비유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으로 구분됩니다a를 b에 빗대는 것 입니다불같은 머리카락 이라고 하면 붉은 머리인 것을 알 수 있죠상징은 원관념이 없는 은유입니다그래서 대상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읽는이가 알아내야 합니다"태양" 이라는 상징에는 따듯함, 더움, 밝음 등등의 여러가지 뜻이 있는데따로 설명이 없다면 읽는 사람이 문맥에 따라서 무엇인지 알아서 파악해야 합니다여러가지 뜻이 있는 것을 [다의성] 알아서 파악해야 하는 것을 [암시성]이라고 합니다2 비유는 비슷한 것끼리 묶인 것이고 상징은 아닙니다예를 들어 "꿀맛이 나는 볶음밥"이라는 표현은꿀과 볶음밥 모두 맛있다는 공통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 입니다하지만 그냥 "꿀"이라고 한다면 그게 끈적하다는 것인지 맛있다는 건지 뭔지 알 수 없죠특히나 상징의 경우, 비둘기=평화 처럼 아예 연관성이 없이 관습적으로 정해진 상징도 있기 때문에사전지식이 중요합니다
46474849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