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5년 1월 3일 작성 됨
Q.
사람들이 '쌉가능'이라는 표현을 쓰던데 이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쌉은 어원이 불분명 하지만 비속어 "씹"을 검열을 피하기 위해 발음을 바꾼 것이란 설이 있구요대충 "완전" 으로 바꾸면 뜻이 통합니다그런까 쌉가능은 완전 가능함쌉 인정은 완전 인정함이렇게 되는 거죠
문학
2025년 1월 1일 작성 됨
Q.
홍계월전에서 시사하는 내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홍계월전은 조선후기에 쓰여진 여성 영웅소설로여성 영웅이 수난을 극복하는 줄거리를 통해 남성 중심 사회에 대해 비판하고 있습니다
문학
2025년 1월 1일 작성 됨
Q.
도자기를 가리켜서 china라고 표현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였나요?
세계 최초로 도자기를 만든 나라가 중국이기 때문입니다중국의 도자기 수출의 역사는 기원 8세기 까지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오래 되었으며13세기의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서도 이미 도자기를 china 라고 부르고 있었습니다.기본적으론 china에 도자기와 중국 두가지 뜻이 있는 것이지만영어 문법상 나라이름 같은 고유명사는 첫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해야 하기 때문에China라고 쓰면 나라이름인거고 china라고 쓰면 나라이름이 아닌 거라 자동적으로 도자기란 뜻이 됩니다물론 이런식의 구분은 영어 원어민 에게도 매우 햇갈리는 것이기 때문에도자기는 china ware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문학
2024년 12월 31일 작성 됨
Q.
작품을 반복해서 읽는 것이 문학 이해에 정말 효과적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물론입니다사람은 언제나 변하니까요같은 글이어도 슬플때 읽었을 때와 기쁠때 읽었을 때 느낌이 전혀 다르고복선도 알고 볼 때와 모르고 볼때의 차이가 있죠배경 지식을 더 공부하고 보면 못알아 차렸던 점들을 알 수 있고
문학
2024년 12월 30일 작성 됨
Q.
단테의 신곡을 바탕으로 계산한 루시퍼의 키는 얼마나 된다고 계산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예 사실이구요'얼굴이 성베드로 성당의 솔망울(3.19m) 만했다''거인의 크기와 나의 비율은 그 거인들과 루시퍼의 팔 길이 정도 였다' 등의 묘사를 바탕으로나=단테가 평균적인 인간 크기이며 거인과 루시퍼 모두 정상적인 인간 비율이라고 가정해서 계산한 결과루시퍼의 키가 약 1.12KM라고 계산 했습니다
91
92
93
94
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