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4년 12월 22일 작성 됨
Q.
가습기의 원리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가습기는 여러가지 원리가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초음파를 활용해서 물을 미세한 분자로 쪼개서 밖으로 배출해 주는 초음파 가습기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가열식 초음파의 경우 실제로 가열해서 수증기를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압으로 해서 하는 방식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22일 작성 됨
Q.
일반 형광등과 LED등은 불의 밝기나 전구가 전적으로 다른데, 만일 형광등은 수명이 다되면 전등만 구입하면되는요, LED 등이 수명이 다 되어갈때 전구교체는 어떻게 하는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LED도 LED만 갈수 있는 게 있고 일체형으로 전체를 갈아야하는 것이 있습니다. 해당 제품 확인하셔서 교체하면 됩니다. 보통 일체형이 많아서 일체형의 경우 전체를 빼고 선만 동일하게 설치하시면 됩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21일 작성 됨
Q.
노트북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어떤 부품이 필요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노트북이 켜지면 전원부에서 전원이 들어오고 그러면서 전체 전기 회로에서 전류가 흐르면서 스크린이 들어오고 내부 메모리나 저장장치 CPU, GPU등이 작동되면서 노트북이 켜지고 OS체계와 저장된 DATA가 보이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21일 작성 됨
Q.
led전등은 어떻게 갈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led 전등 교체 관련해서 일단 전원을 차단하여서 사고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그리고 led전구일 경우 전구를 동일한것으로 구매해서 뺴고 끼우면되고 led전등이 일체형일 경우 고정된 led전등을 분리한 후 전선을 확인해서 그 전선을 동일하게 배선하는데 이때 교체하는 led등이 이전 등과 호환이 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조명에 안정기가 없는 조명도 있는건 이유가 뭡니까?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정기는 안정적인 전압과 전류를 흐르게 해서 조명기에 문제가 되지 않게 하여서 사용됩니다. 백열등과 같이 단순하게 전원만 있으면 열과 빛이 발생되면서 조명이 되는 것들은 안정기가 필요 없습니다. 또한, 반도체의 경우에는 드라이버가 안정기를 대신해서 안정기가 필없습니다. 그리고 시간에 따라서 전압과 전류가 변하지 않는 직류를 사용하는 조명도 필요 없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자유전자가 되지 않는 전자도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원자에 전자가 떨어져 나와서 자유전자가 되는데요. 이때 어떤 에너지가 있어야지만 전자가 떨어져 나와서 자유전자가 됩니다. 이때 에너지가 낮던가 결합이 너무 세던지 하면 자유전자가 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21일 작성 됨
Q.
비접촉 온도계로 롤온도를 측정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롤이 뭘 정확히 말씀하시는지는 모르지만 롤에 열에 의해서 적외선 에너지가 방출되어서 그것을 비접촉 온도계가 그것을 측정하여서 나타내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다만 온도의 범위가 가능한 비접촉 온도계를 구매하여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20일 작성 됨
Q.
소비전력 170w 짜리 장판을 하루에 10시간씩 30일을 켜놓으면 전기세가 얼마나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소비전력이 170w를 10시간 사용하면 170w x 10h= 1.7kwh가되고 30일 사용하면 51kwh가됩니다. 이게 한달 사용량이고 1kwh에 100원이라고 하면 전기세는 5100원이 나오는 것입니다. 전기세는 지역마다 환경마다 다를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20일 작성 됨
Q.
전자 장치의 환경 친화성을 높이기 위한 전력 소모 감소 기술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 감소 기술은 먼저 최적화 설계입니다. 설계를 최적화하여서 최소의 전력을 사용하게 설계하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저전력 소자등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소자들중에도 저전력을 사용하는 소자들이 개발되어서 그런 소자들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20일 작성 됨
Q.
무선 마우스와 무선 키보드의 작동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무선마우스나 키보드의 경우 입력된 정보를 디지털 신호인 이진법으로 수정해서 그 정보를 블루투스 신호로 보내서 받는 컴퓨터에서 작동하게 하는 원리입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