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4년 12월 20일 작성 됨
Q.
전기를 표시하는 단위의 기준은 뭘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표시는 와트시로 시간단 사용되는 전력을 대부분 전기로 이야기 합니다. 그래서 이용 요금보 KWh로 해서 금액을 냅니다. 그리고 배터리등은 보통 시간단 전류양으로 해서 mAh로 표시합니다. 사용되는 곳에 따라서 표시되는 전기의 단위가 차이가 있습닏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20일 작성 됨
Q.
컴퓨터에 사용되는 부품은 몇 개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부품이라는 개념이 어떨지 모르지만 단순한 소형 부품까지 하면 몇십개가 들어가지만 중요한 부품만 말하면 CPU나 GPU, 메인보드, RAM, 전원공급장치 등등으로 약 7~8개정도만 중요부품입니다. 그리고 가장 비싼 부품은 CPU와 GPU입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20일 작성 됨
Q.
휴대폰이 빨리 배터리가 닳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휴대폰 배터리가 빨리 닳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보통 리튬배터리의 경우 300~500회 충전할경우 그 이후부터 배터리 성능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럴때는 배터리를 갈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배터리의 경우 열에 의해서 내부 성능이 저하될수 있어서 열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충전을 하면서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외부 온도가 높은곳에 보관하는 등의 행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20일 작성 됨
Q.
리튬이온 배터리 충전기 사용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리튬이온 배터리가 14.4V라고하는게 보통 4개의 셀에 정격 용량이 3.6V이고 최대 충전 전압이 4.2V여서 4개의 셀이라서 16.8V이면 사용이 가능한데 이런 설정이 맞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것보다 낮으면 과전압으로 문제가 되고 높으면 그 전압까지만 충전이 되어서 완충이 안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20일 작성 됨
Q.
전기 자동차가 극한의 추운 환경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차의 경우 온도가 극한으로 되면 배터리의 내부 화학 반응이 늦어지면서 전자의 이동도 늦어지고 또한 내부 금속들이 특정 환경외에는 저온에서는 내부 저항이 상승되면서 전자의 이동이 줄어들게 됩니다. 결국 전자가 이동이 늦어지면서 필요한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되면서 작동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Tv에서 유튜브를 시청할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요즘 티비는 인터넷이 연결이 되고 스마트폰과 같이 앱을 깔수 있는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어서 유투브를 볼수 있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전기 회로에서 저항이 직렬과 병렬로 연결될 때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직령의 경우 전압이 같으면 각각 저항에 걸리는 전류가 같아서 저항의 크기에 따라서 전압이 달라지게 되고 저항의 크기기는 각 저항을 더한 값과 같습니다. 병렬의 경우 각 저항에 걸리는 전류가 달라서 전압은 동일합니다. 저항의 크기는 각 저항을 역수로 해서 더한값을 다시 역수한 값입니다.직령의 경우 순서대로 작동되어야하면서 하나라도 고장나면 전체가 작동되지 않아야 할때 사용되고 하나가 고장나도 다른것은 작동해도될경우 병렬을 사용합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어떤 원소든 플라즈마화 시킬 수 있다고 하는데요. 가령 나트륨 수소 같은 원소들을 플라즈마화 시키면 각각 다른 성질을 띄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플라즈마화란 기체가 고온이나 강한 전기적 힘에 의해서 이온화 되어서 양이온과 자유전자가 함께 존재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그로인해서 나트륨이나 수고가 이온화되고 전자도 나오게 되면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변하게 되고 고온과 강한 힘에 의해서 입자들이 심하게 충돌하면서 그 에너지들이 높은 열과 빛을 방출하게 됩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전자기 유도 현상에 발생되는 원리??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자기 유도현상으로 가장많이 사용되는 것은 무선충전입니다. 전류가 흐르면 코일에 전자가 이동하면서 자기장이 생성되고 그 자기장이 시간에 따라서 지속 변하면서 충전하려는 코일에 영향을 주어서 코일에 전기장이 형성되고 이때 전자기 유도가 발생되면서 전류가 흐르게되면서 그 전류로 충전을 하는 원리입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은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터치스크린은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압전센서를 활용해서 화면을 누르면 압정센서가 누르는 힘을 감지해서 터치가 되는 원리입니다. 그리고 다른 방식은 전기장을 활용한 방식입니다. 화면에 미세한 전류가 흐르고 그로인해서 전기장이 형성되는데요. 손으로 터치하면 그 전기장의 흐름이 변하면서 그것을 감지해서 작동합니다. 요즘은 대부분 전기장을 활용한 터치스크린이 많이 사용됩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