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4년 12월 5일 작성 됨
Q.
자율주행차 센서에서 라이다의 역할은?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자율주행에서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 펄스를 지속적으로 발사해서 돌아오는 시간등을 계산해서 물체등을 감지하고 물체의 이동도 감지합니다. 그리고 이 라이다 센서와 카메라센서를 통해서 정밀한 주위 상황과 도로상황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해서 자율주행이 이루어집니다. 이 센서 말고 다른 여러 센서도 같이 분석되어서 경로나 자율주행이 되지만 제일 중요한 것이 라이다 센서입니다. 하지만 레이저가 환경적인 요소 즉 비나 안개 등으로 인해서 성능이 저하될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용이 비싸지만 거리측정은 매우 정확합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5일 작성 됨
Q.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류가 흐를때 열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냉각 시스템을 통해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주는 기술입니다. 또한, 열을 발생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 저항이 적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초전도체와 같은 물체는 저항이 0이기 때문에 열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5일 작성 됨
Q.
반도체의 도핑이 어떻게 전기적 성질을 변화시키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반도체의 도핑을 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을 가지게 합니다. 반도체의 5가 원소를 도핑하면 전자가 많아져서 전자를 이동시키는 N형 반도체가 되고 3가 원소를 도핑하면 전자가 1개 부족한 정공을 가지는 P형 반도체가 됩니다. 이 반도체 둘을 접합해서 사용하면 전자가 정공과 결합하면서 반응이 일어나고 그로인해서 전자가 이동하는데요. 이런 전자의 이동이 다른 에너지에 의해서 전선을 타고 다시 이동하는 등의 반응이 일어나면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전기적 성질을 갖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5일 작성 됨
Q.
전기에서 AC전원은 극성이 없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DC의 경우 시간에 따라서 전압과 전류의 방향과 크기가 변화되지 않아서 +극과 -극으로 구분이 되어서 극성이 있지만 AC의 경우 시간에 따라서 전압과 전류가 변하기 때문에 극성이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5일 작성 됨
Q.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이전에 전력을 송신하기 위해서는 변압기를 통해서 교류를 승압해서 보내면서 유도 손실등이 있어도 장거리로 전송이 가능해서 교류를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직류의 경우 승압하는 인버터의 기술이 쉽지 않아서 고압으로 변경하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HVDC 시스템이 개발되면서 직류를 고압으로 승압이 손시워지면서 교류 전송시 발생되는 유도 손실등이 발생되지 않아서 더 효율적으로 전송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래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281
282
283
284
2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