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들도 수혈을 위해서 헌혈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경우 응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환자의 혈액형과 일치하는 혈액을 수혈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 될 수 있는데요,실혈이 아닌 경우에도, 빈혈이 심한 경우나 용혈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수혈을 필요로 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상황을 대비하여 헌혈을 권장하고 혈액을 비축해 두고 있습니다. 동물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실혈이나 빈혈이 발생시에, 수혈을 해야만 하는 상황이 생기는데요,,동물의 혈액은 사람과 같이 비축해 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공혈견의 혈액을 채혈해서 수혈을 하게 됩니다.츌처 : 헌혈서포터즈 레드스토리 - 동물의 수혈과 혈액형을 알려드려요~
물리
물리 이미지
Q.  자전거를 타고 시속 가장 빠르게 몇까지 달릴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달리기가 빠른 인간인 우사인 볼트가 순간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고 속도는 44.7km/h이며 그의 100m 달리기 시 평균 속도는 37.6km/h이다. 그러나 자전거 200m 경주 세계기록이 9.3초(77km/h)이며 순수한 사람의 힘만으로 달성한 자전거 최고 속도 기록은 144km/h다. 자전거도 오직 인간의 다리 힘만으로 달리는 것이며 사이클리스트 체중에 자전거 무게까지 합쳐져 훨씬 무거운데도 우사인의 달리기보다 2배 정도 빠른 것이다. 즉 자전거는 사람이 걷거나 달리는 것보다 빠르게, 또는 더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해 주는 기계이다.출처 : 나무위키 - 자전거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이 죽으면 귀신이되나요? 영혼이 있는지 실험도 했다는데?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21그램 실험(영어: 21 grams experiment)은 미국 매세추세츠 주 헤이브릴의 의사 던컨 맥두걸(Duncan MacDougall)이 1907년에 출판한 학술 연구를 가리킨다. 맥두걸은 영혼에 무게가 있다는 가설을 세웠으며 영혼이 몸을 떠났을 때 인간에게서 잃는 질량 측정을 시도하였다. 맥두걸은 죽음의 고비를 앞둔 환자 여섯 명에 대한 질량 변화 측정을 시도했다. 6명의 피실험자 중 한 명이 1온스 중 4분의 3(약 21.3그램)을 잃었다.맥두걸은 결론을 얻기 이전까지는 그의 실험이 수차례 반복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 실험은 크기가 작은 샘플 크기, 사용된 방식, 또 6명의 피실험자 중 오직 한 명만이 이 가설을 충족했다는 까닭에 결함이 있고 비과학적이라는 것으로 널리 간주된다. 이 케이스는 선택 편향(선택적 보고)의 한 예로 언급되고 있다. 과학사회 내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지만 맥두걸의 실험은 영혼에 무게가 있으며, 특히 그 무게가 21그램이라는 개념을 보급하였다.맥두걸이 그의 실험의 결과를 출판할 수 있기까지 뉴욕 타임스는 "영혼에 무게가 있다고 의사는 생각한다"(Soul has Weight, Physician Thinks)라는 주제의 기사를 냈다. 맥두걸의 결과는 같은 해 4월 미국심령연구협회, 의학 잡지 아메리칸 메디슨에 게재되었다.비평아메리칸 메디슨의 실험 게재 이후 Augustus P. Clarke 의사는 이 실험의 유효성을 비판했다. Clarke는 사망 시 체온의 급격한 상승이 있으며 이는 허파에 더 이상 냉혈이 없어서 그에 따라 이어지는 발한을 일으키므로 맥두걸의 21그램 소실을 쉽게 설명할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 Clarke는 개들에게는 땀샘이 없으므로 사후에 이러한 식으로 무게를 잃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Clarke의 비판은 아메리칸 메디슨의 5월자에 게재되었다. 실험의 유효성을 논하는 맥두걸과 Clarke의 주장들은 적어도 그 해 12월까지 잡지에 계속 게재되었다.출처 : 위키백과 - 21그램실험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전도율은 어떤 것에 따라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사용하거나 형체가 있는 물질은 다 원자와 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런 원자와 전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때 전자중 자유전자를 가지고 이는 물체들이 열전도율과 전기전도율이 있는 것입니다. 이런 전자가 외부 힘을 얻으면 쉽게 이동이 가능해서 전자가 이동하는 것이 전류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유전자가 많으면 열과 전기의 전도율이 높은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풍중심의 최대풍속은 어떤 방식으로 구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이 부는 속도인 풍속의 단위는 m/s(미터 퍼 세크)를 사용합니다. 바람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평균값을 이용 하는데, 10초 동안 0.25초마다 측정한 풍속의 평균값을 컴퓨터로 계산합니다. 평균을 계산하기 위한 각각의 측정 값은 '순간 풍속'인데, 그중 가장 큰 것이 '최대 순간 풍속'이 됩니다. 평균을 낸 값 중에서 최댓값을 '최대풍속'이라고 부릅니다. 태풍은 이 기준에 따라 위의 표처럼 중, 강, 매우 강, 초강력으로 구분합니다. 최대 풍속이 25m/s 이상 33m/s 미만이면 중, 33m/s 이상 44m/s 미만이면 강, 44m/s 이상 54m/s 이상이면 초강력이라고 합니다. 태풍은 이동하는 경로에 따라 더 강해지기도, 약해지기도 하는데요. 열대지방에서 벗어날수록 수온은 낮아지고, 내륙으로 들어오면 차가운 공기로 인해 위력이 약해져 결국 소멸하게 됩니다.출처 : 올림피아드학원 - 태풍을 가늠하는 단위, 최대풍속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산호초는 풀인가요?나무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산호(coral)'와 '산호초(coral reef)'도 구분이 필요하다. 산호는 산호충들이 황록공생조류와 공생하는 군체이고, 산호초는 산호의 '생광물화' 과정에 해조류, 해면동물, 연체동물 등의 사체가 섞여 탄산칼슘 덩어리가 퇴적되어 만들어지는 일종의 해양 지형(암체)이다. 부연하면, 산호초의 초는 '풀(草)'이 아니라 '물에 잠긴 암석(礁)'을 의미한다. 이렇게 동식물이 공생하며 만들어 놓은 산호초는 해양 동식물에게 풍요로운 생태계를 제공한다. 산호초를 서식지로 삼은 물고기 종류만 1,500종이 넘기 때문에 산호초는 '바다의 열대우림'이라 불리기도 한다. 출처 : 독서일기 - [기후X지구] 산호는 동물이고, 산호초는 돌덩이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반딧불이는 왜 빛을 내며 어떻게 빛을 낼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1-2cm의 작은 곤충으로서, 반디의 가장 큰 특징은 꽁무니에서 발하는 빛이다. 다 자란 성충뿐만 아니라 알도 역시 빛을 낸다. 이 빛은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이 루시페레이스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산화되는 것으로서, 효소 작용에 의해 ATP와 합성되여 중간 유도체인 아데닐루시페린이 생성된다. ATP의 나머지는 피루인산으로 떨어져 나간다. 이후에 산소와 결합하여 아데닐옥시루시페린으로 산화했다가, 여기에서 AMP가 분리되고 옥시데탄으로 산화한다. 또 다시 옥시데탄에서 옥시루시페린으로 산화하면서 빛(광자)을 내뿜게 된다. 이 빛은 화학적 반응을 통해 화학에너지가 빛 에너지로 전환되는 생물발광으로 빛 에너지로의 변환율이 무려 99%나 돼서 사실상 열을 거의 내지 않는 차가운 빛이다.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이유는 짝짓기를 위해서다. 수컷은 두 줄의 반짝임을, 암컷은 한 줄의 반짝임을 보이는데 이렇게 다른 불빛 모양은 서로의 위치를 알려주고,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출처 : 나무위키 - 반딧불이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핸드폰, 전자렌지에서 나오는 전자파는 얼마나 노출되어야 몸에 해로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최근 전파이용의 급증으로 전자파의 인체유해 가능성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2011년 5월 휴대전화가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세계보건기구의 발표이후로 국민적 불안감이 증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에서도 전자파로부터 인체보호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규정을 마련하고 제도를 정비하였습니다.정부에서 전자파 인체보호를 위해 마련하고 있는 법제도 체계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출처 : 전자파강도측정 - 전자파 인체보호 관련 법제도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자레인지 전자파 얼마나 많이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전자파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2.45GHz의 주파수와 전자레인지를 작동시키기 위한 60Hz의 주파수에서 발생되는데, 60Hz의 전자파는 일부 외부로 방출되기도 하나, 음식물을 조리하는 2.45GHz의 전자파는 전자레인지 외부로 방출되지 않습니다!출처 : 행정안전tv - 전자레인지에서 나오는 전자파, 진짜 우리 몸에 해로운지 실험해봄ㅣ안전한TV 안전 호기심 해결 영상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거북이는 장수의 동물인데 혹시 자라도 수명이 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라는 평균 50-100살까지 살고 어떤 종은 1000살까지 살기도 한다고 합니다. 그리거 자라가 먹지 않고 오래 사는것은 겨울잠을 자면서 동물들이 겨울잠을 자는 것과 똑같아서 안먹어도 오래 버틸수 있다고 합니다.
431432433434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