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소화전을 장난으로 누르는 초등생들은 어떤 처벌이 있을 수 있나요?
장난으로 소화전을 누르고 달아나는 아이들에 대한 처벌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초등학생들이 소화전을 장난으로 누르고 도망가는 행동은 단순한 장난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공공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이며, 반복된다면 교육적 개입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입니다.행동의 결과를 체험하게 하기, 공공의식 교육 강화, 공동체적 책임 부여, 감시보다 예방 중심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효과적이겠습니다. 이런 교육은 단순히 ‘통제’가 아니라, 아이들이 자기 행동에 책임을 지는 독립적인 시민으로 성장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시 없이도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힘을 키워주는 것입니다.아이가 민주시민으로써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우선시되어야겠습니다.
Q. 부모에게 원하는 사랑은 크기를 가늠할 수가 없는걸까요?
아이들이 부모로부터 안정적인 사랑을 느끼는 크기는 어느정도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나는 안전하다는 확신, 내 감정은 소중하다는 존중, 나는 사랑받을 가치가 있다는 자아 형성, 실수해도 괜찮다는 성장의 기반 등이 아이가 부모로부터 느끼는 사랑의 감정입니다. 그 사랑은 말보다 일관된 행동, 감정의 공감, 함께 있는 시간 속에서 가장 깊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