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들의 순수함을 어느정도까지 봐줘야 하는건가요?
아이마다 성장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정서, 사회적 발달은 환경, 기질, 경험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정답은 없지만 아이가 스스로 시도하려는 의지가 있는가?실패나 좌절을 겪을 때 감정을 표현하고 회복하려는 모습이 있는가?또래와의 관계에서 반복적으로 어려움을 겪는가? 등을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아이가 반복적으로 사회적 관계에서 위축되거나 감정 조절이 어려울 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의 순수함은 약점이 아니라 가능성입니다. 어른의 시선에서는 미숙함일 수 있지만 세상을 있는 모습 그대로를 받아들이는 힘이며 감정의 원형을 경험하는 귀한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