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중국의 4대미인 중 왕소군과 서시는 어떠한 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서시(西施, 생몰년 미상)는 춘추 전국 시대 월(越)나라 때의 사람이며 본명은 시이광(施夷光)이다. 오나라의 왕인 부차를 홀려 오나라를 멸망하게 하였고 오나라가 멸망한 뒤 월나라의 왕인 구천의 후궁이 되지만 구천의 왕비에게 비밀리에 제거되어 죽임을 당한다. 왕소군, 양귀비, 초선과 함께 중국 고대 4대 미인으로 손꼽히는 여성이다.왕소군(王昭君, 기원전 1세기)은 흉노의 호한야 선우(呼韓邪單于), 복주누약제 선우(復株累若鞮單于)의 알씨(선우의 처)로, 본래 한나라 원제의 궁녀였다. 이름은 장(嬙, 출전은 한서)이다. 성을 왕, 자를 소군이라고 하여 보통 왕소군이라고 불리며 후일 사마소(司馬昭)의 휘(諱)를 피하여 명비(明妃), 왕명군(王明君) 등으로도 일컬어졌다. 형주 남군(현재의 호북성 사시) 출신으로 양귀비, 서시, 우희와 함께 고대 중국 사대 미인의 한 사람에 손꼽힌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나침반을 들고 북극점 위에 서 있다면 나침반의 자침은 어느 방향을 가리키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북극점은 자기장이 분출되는 곳이어서 북극점애서 나침반을 켜면 나침반이 계속 흔들데거나 돌아가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자남극과 남극점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남극점-(남위 90도) 지리적인 남극은 지구의 모든 경도가교차하는 지점인 남극지역 한복판에 있다.현재 이곳에는 미국이 세운 아문젠-스코트기지가 있 다. 이 지점은 얼음의 두께가 2800미터나 되는 빙하 위에 자리잡고 있다.1911년12월14일 아문센이 남극점을 밟음. 1912년 1월17일 스콧이 남극점을 밟음.자남극(7% 추)X2)점 -(남위65도 동경139도)s극을 향하는나 침반의 바늘이 가리키는 지점. 즉 복각이 90가 되는 지 점이다.자남극점은 지구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매년 북서쪽으 로 10~15km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실제로 움직이는 것은 남극점 자체가 아니라 남극 대륙 을 덮고 있는 얼음이다. 남극점의 위치가 계속 달라지 기 때문에, 매년 1월1일이 되면 "바로 이곳이 남극점이 다." 를 표시하는 이정표를 세운다.자극은 자북극과 마찬가지로 지구의 자전축 주위를 천천히 회전하고 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실로폰 음판의 길이가 짧을수록 음높이가 높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금속이 길이가 짧을수록 빠르게 진동(소리의 파장이 짧아)하고 높은음을 냅니다. 반대로 길이가 길면 느리게 진동하고 낮은음을 내지요. 그래서 소리의 속도가 일정할 때 파장과 진동수는 반비례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금도 공룡 화석이 지속적으로 발견되고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한국에는 공룡시대인 중생대, 특히 쥐라기와 백악기의 지층이 넓게 분포되어 있다. 특히 경남 ·경북은 대부분 중생대 퇴적암, 그것도 육성층(陸成層)으로 덮여 있다. 한국에서의 화석은 1973년에 경북 의성군 탑리 부근에서 공룡의 뼈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경남 하동군 금남면에서는 조반류의 알껍질 화석이, 또한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평리에서는 약 360개의 족흔(足痕)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발자국은 대부분 조반류의 이족보행의 것이나 일부 용반류의 것과 사지보행의 것도 있다. 족형(足形)은 삼족지형(三足指形)이 대부분이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패드 필름중 지문안남게해주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 화면 표면에 미세한 돌기들을 만들어서, 지문이 달라붙지 않도록 합니다. 이 돌기들은 지문보다 크기 때문에 지문이 필름에 닿아도 표면을 미끄러지듯이 지나가게 됩니다.그리고 지문 흡수 물질을 사용해서 지문을 흡수하고 제거합니다. 이 물질은 지문의 유분을 흡수하고, 지문을 닦아내기 쉽게 만듭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눈이 있는 남극이 사막보다 더 건조하다는데 맞나요? 맞다면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수분이 모두 얼어버려서 상당히 건조하게 됩니다. 그래서 사막에 사는 사람보다 극지방에 사는 사람들 피부가 상당히 건조 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자기부상 열차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자기 부상 열차의 작동 원리는 전자기 반발력과인력에 기반하며 기차에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강 력한 자석, 일반적으로 초전도 자석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트랙에는 전류를 전달하는 와 이어 코일이 장착되어 있어 자기장도 생성하기 때 문에 기차의 자석과 선로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 면 반발력이 발생하여 기차를 선로 위로 들어 올 려 공중에 띄웁니다. 이를 통해 열차와 트랙 사이 의 물리적 접촉이 필요하지 않아 마찰이 감소하 고 고속 운행이 가능합니다.기차가 공중에 뜨면 다른 자석 세트, 일반적으로 선형 동기 모터(LSM)를 사용하여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데 이 LSM은 트랙을 따라 위치하며 열차 의 자석과 상호 작용하여 열차를 앞으로 나아가 게 하는 자기장을 생성합니다. 또한, 자석의 극성 을 바꿈으로써 기차는 어느 방향으로든 추진될 수 있어 정밀한 제어와 안내가 가능합니다.자기부상열차 원리가 마이스너 현상 때문인지 전자기 유도 현상 때인인지 잘 모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자기부상열차의 부상 방식자기부상열차를 부상시키는 방식은 자석의 다른 극끼리 서로 잡아당기는 인력을 이용하는 흡인식과 같은 극끼리 서로 밀어내는 척력을 이용하는 반발식이 있습니다.​​흡인식 자기부상​흡인식 자기부상열차는 주로 열차에 있는 전자석이 철제의 레일 아래에서 위쪽으로 달라붙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여기서 전자석에 전류가 흐르면 철판에 붙으려는 힘, 즉 레일 쪽으로 흡인력이 발생하여 전자석과 함께 차체가 위쪽 방향으로 올라감으로써 부상되는 것입니다.​이때 전자석에 전류가 계속 흐르면 흡인력이 계속 유지되고, 전자석은 결국 레일 아래에 붙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열차는 움직일 수 없게 됩니다.​따라서 레일에 붙기 전에 전류를 끊으면 전자석의 흡인력이 없어지고 부상이 정지되어, 열차 무게 때문에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게 되죠.​또한 전류가 계속 끊어져 있으면 흡인력이 없기 때문에 열차는 레일 위에 닿아 올려져 있는 모양이 되어 역시 움직일 수 없게 됩니다.​따라서 열차가 완전히 레일 위로 내려앉기 전에 다시 전류를 흘려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열차가 부상되도록 합니다.​이와 같은 전자석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열차가 레일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부상되어 있도록 할 수 있어요.궤도코일의 윗면을 열차의 자석이 이동하게 되면 전자기유도원리에 의해 코일의 자기극은 이동하는 자석과 같은 극이 되어, 두 극 사이에 반발력이 발생하게 됩니다.​열차의 자석이 N극일 때 레일의 전자석(코일)도 같은 N극이어서 서로 밀어내게 되고, 이때 그 앞의 전자석은 S극이므로 열차가 앞으로 가는 동안 전자석의 전류방향을 반대로 하여 N극으로 바꾸게 되면 열차의 부상은 계속 유지되게 됩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강화 유리는 어떻게 해서 제조를 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강화 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면적 강화 유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강화 유리의 강도특성 산포를 개선시킬 수 있는 강화 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원판 유리의 상, 하면 각각에 겔(gel)형 염 혼합물을 주입할 주입 공간을 형성시키는 치구를 장착하는 제1 단계; 상기 주입 공간에 상기 겔형 염 혼합물을 주입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치구가 장착된 원판 유리를 열처리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강화 유리를 제공한다.염욕강화 공정을 포함하는 강화유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욕강화 공정 이전에 화학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되, 상기 화학 전처리 공정은 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유리를 알칼리성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알칼리 탈지 단계; 상기 알칼리 탈지 단계 후 잔여 이물질의 제거 및 예비 식각을 위해 상기 유리를 산성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1차 에칭 단계; 상기 1차 에칭 단계 후 상기 유리 표면을 식각하기 위해 상기 유리를 산화성 산성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2차 에칭 단계; 및 상기 2차 에칭 단계 후 잔류 산을 제거하기 위한 중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화유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염증이나 상처가 심할경우 해당 부위에 수술을 하거나 건드리면 심하게 통증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신체에는 통증을 느끼게 하는 신경들이 이어져 있습니다. 신경이 있는 이유는 몸이 더 크게 다치거나 망가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경고입니다. 그렇다보니 염증이 생기거나 다른 이물질, 칼이 들어올경우 세포 및신경이 파괴되어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1661671681691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