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현수교는 포물선의 형태인데 왜 현수교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교각과 교각사이에 철선이나 쇠사슬을 건너지르고 이줄에 상판을 매어단 교량이다. 일반적으로 현수교의 주요한 구성요소는, ① 주요 인장재인 주케이블, ② 주케이블의 장력을 대지로 이끄는 앵커 부분, ③ 주케이블의 최고점을 지지하는 강제 또는 철근 콘크리트구조 등의 탑, ④ 보강형(플레이트거더 또는 트러스), ⑤ 보강형을 주케이블에 매다는 현수재의 5가지이다. 또 보강형의 종류에 따라 현수교를 분류할 수가 있다. 전형적인 현수교에서는 보강형은 그 양끝이 받쳐져 있지만 이 형의 중앙에 힌지(hinge)를 넣은 것도 있다. 또 보강형을 탑 사이에 단지 하나만 가지고 있는 것도 있고 탑의 외측에 각각 보강형을 갖춘 현수교도 가끔 볼 수 있고, 3개의 보강형을 연속시킨 현수교도 많다. 이상과 같은 현수교에서는 주케이블이 대지로 이끌어져서 앵커블록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와는 좀 달리 연속보강형의 양끝에 주케이블을 연결한 현수교도 있는데 이것을 자정식(自定式) 현수교라 한다.
Q. 탄도의 계산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최대 사거리와 최대 고도 비행 시간일 것이다 . 이것은 다음 식으로 산출한다. 소요시간 = 14.4[s] = (2 * 초기속도[m/s] * sin (사각)) / 중력가속도[m/s^2] 최대탄고 = 254.9[m] = (초기속도^2[m^2/s^2] * sin^2 (사각)) / (2 * 중력가속도[m/s^2]) 최대사거리 = 1019.8[m] = (2 * 초기속도^2[m^2/s^2] * cos (사각) * sin (사각)) / 중력가속도[m/s^2] 이렇게 구하면 된다. 이제 공기중의 탄도계산을 해보자 이건 공기중의 탄도 계산이기 때문에 고려할 사항이 많다. 탄환형태 : 구 중력가속도 : 9.806 [m/s^2] 공기밀도 : 1.225 [kg/m^3] 초기발사속도 : 100 [m/s] 발사각 : 45도 비중 : 7.8 부피 : 1.13 * 10^-7 [m^3] 질량 : 0.88 [g] 항력계수 : 0.000155 (실험적으로 알아냄) 항력은 아래 식으로 계산한다. 항력[N] = 0.5 * 항력계수 * 속도^2[m^2/s^2] * 특성면적[m^2] * 유체밀도[kg/m^3] 이 항력으로부터 가속도를 구하고 이 가속도로부터 속도를 다시 구하고 그 속도로부터 거리를 구하고 반복 반복~~~~~~~~(수학 실력이 모자라서 0.1초단위로 다 구하였다. 거리 식은 따로 제시하지 않겠다. 알아서들 구해 보시길,,,,,, 그리고 진공 탄도에서 수학적으로 구한 최대 사거리와 탄고, 체공시간 수학적으로 엄밀해를 구하는데 실패했다. 누구 엄밀해 구할수 있으면 조언좀~~~~~~~~ 그리고 계산할 때 물리적 차원이 중요하다. 그래서 식에 모두 단위가 달려있음)
지구과학·천문우주
Q. 빛이 휘기위해선 어느정도의 질량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인슈타인은 중력에 의하여 시간이 휘어진다고 언급하는 것이다. 아인슈타인이 언급하는 중력에서 중력과 가속도는 같은 같은 것이라고 언급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력 가속도의 크기만큼 가속하는 가속계 내의 물체와 중력을 받는 물체는 같은 것이며 수학적인으로 같은 값인 것을 증명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우주선이 우주를 향하여 날아갈 때에 우주선의 가속도와 중력은 같은 값인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빛이 휘어진다는 실험을 하는 것이다. 우주선이 우주를 향하여 날아갈 때에 우주선 안에 전등을 켜서 빛을 확인하면 빛이 직선 운동을 하지 않고 가속도 운동만큼 휘어진다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가속도는 중력과 같기 때문에 빛이 중력에 의하여 휘어졌다고 언급하는 것이다.그런데 우주선에서 빛이 휘어지는 것은 중력과의 관계나 우주선의 가속도와의 관계가 아닌 것이다. 우주선에서 빛이 휘어지는 것은 우주선의 속도와 관계인 것이다. 우주선이 우주를 향하여 날아갈 때에 우주선의 가속도는 중력을 뚫고 올라가 가기 때문에 우주선에 있어서 중력과 가속도는 같은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우주선이 가속도로 우주를 향하여 날아간다고 하여서 빛이 우주선 안에서 중력에 의하여 휘어진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중력과 가속도는 중력을 뚫는 가속도의 힘, 에너지에 있는 것이며 그와 같은 중력과 가속도의 힘을 수학적으로 같은 값인 것을 계산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력과 가속도의 힘이 같은 것이지만 중력과 가속도가 실제성으로 같은 것이 아닌 것이다.필자는 우주선에서 빛이 휘어지는 실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는 것이다. 첫째, 그와같은 우주선이 우주를 향하여 날아갈 때에 매우 빠른 속도로 날아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빛이 우주선 안에 들어올 때에 직선 운동을 하면서 들어 오지만 우주선의 빠른 속도에 의하여 빛이 휘어지는 것과 같이 보이는 것이다. 둘째, 우주 밖으로 나갈 때까지는 우주선 안에서도 지구의 중력을 받기 때문에 우주선 뒤쪽으로빛이 휘는 것이다. 셋째, 우주선 안에서 어떤 실험을 하여도 우주선 뒤쪽으로 힘을 받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주선 안에서 실험을 하는 물체들이 뒤쪽으로 힘을 받는 것은 물체들이 우주선 안에서 지구의 중력을 받기 때문인 것이다. 아인슈타인의 중력에 의하면 중력은 공간이 휘어졌기 때문에 휘어진 공간의 효과로 물체가 휘어진 공간을 따라 운동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주선 안에서도 지구에 의한 우주선 안의 공간이 휘어져서 우주선 뒤쪽으로 힘을 받는다는 것인가? 그와 같은 것은 휘어진 공간의 중력 때문이 아닌 것이며 위로 올라가는 우주선의 가속도에 의하여 뒤로 밀리는 물체들의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여기에서는 정지하고 있는 물체는 계속 정지하려는 속성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우주선이 앞으로 나가기 때문에 우주선 안에 있는 정지하고 있는 물체는 우주선이 앞으로 나가려는 운동의 반작용으로 뒤로 밀리는 것이다. 그와 같은 작용과 반작용은 우주선 안에 있는 물체가 바닥 등에 닿아 있을 때에 발생하는 것이다-과 지구의 중력에 의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주선 안에서 빛이 휘어진다는 것은 휘어진 공간의 중력이나 가속도와는 거의 관계성이 없는 것이며 우주선의 빠른 속도 때문에 직선 운동을 하는 빛이 우주선 안에서 뒤쪽으로 휘어지는 것과 같이 보이는 것이다. -빛은 우주선 안에서도 우주선 밖에서와 같이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우주선 안에서는 우주선의 속도 때문에 빛이 휘어지는 것과 같이 보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