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기름에는 전기가 안 통하나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기름방울 실험은 1909년 기본 전하(전자의 전하)를 측정하기 위해 로버트 앤드루스 밀리컨과 하베이 플레처에 의해 행해진 실험이다.밀리컨의 유적 실험 장치.실험은 중력에 의해 내려가는 힘과 두 금속 전극사이의 정지된 전하를 띤 작은 기름 방울에 작용하는 전기력사이의 균형 상태를 측정한다. 기름의 밀도를 알면, 기름 방울의 반지름으로, 기름 방울의 질량과 이에 작용하는 중력과 부력을 얻을 수 있다. 알고 있는 두 전극 사이의 전기장의 크기를 이용하여, 밀리컨과 플레처는 기름 방울들의 정적 평형 상태에서의 전하를 결정할 수 있었다.많은 기름방울에 대해 반복된 측정을 통하여, 그들은 어떤 기본적인 값의 정수배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계산된 값은 1.592 (17)× 10−19C이었다.이 값은 오늘날 알려진 값, 1.602176487(40) × 10−19C과는 1퍼센트 범위 내에 있다. 그들은 이 값이 전자 하나의 전하라고 제안하였다.
Q. 문어는 색뿐만아니라 질감이나 빠른속도로 변화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몸의 빛깔: 환경에 따라 황갈색에서 흑갈색으로 변화함생활양식: 낮에는 바위 구멍 등에 숨어 있다가 밤에 활동함서식장소: 조간대의 모래가 섞인 곳분포지역: 한국·일본·타이완·인도네시아 등을 포함한 태평양, 인도양, 지중해, 대서양 등의 온대·열대 지역두족류에 속한다. 몸길이 약 80cm로, 문어에 비해 훨씬 작고 흔하다. 몸의 표면에 크고 작은 혹이 있고 다리 흡반에 자루가 없다. 수컷의 오른쪽 제3팔은 교접완이다. 환경에 따라 몸빛깔을 보통 황갈색에서 흑갈색으로 변화시키며, 불규칙한 그물 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다. 조간대의 모래가 섞인 곳에 서식한다. 낮에는 바위 구멍 등에 숨어 있다가 밤에 활동하며 조개·새우·게 등을 잡아먹는다. 봄이나 여름에 바위 밑에 2.5mm의 알을 낳는데, 한 마리가 10∼15만 개나 낳는다. 암컷은 알을 보호하며 주둥이로 알에 물을 흘려 보내고 25일 정도면 부화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펄펄 끓은 태양의 온도는 어느정도라고 볼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G2형 주계열성이다. 표면 온도는 약 5,860 K이다. 내부온도는 20,000k이상 높다.태양의 절대등급은 +4.83이고 겉보기등급은 -26.74로 아주 밝게 보인다. 밤 하늘에서 가장 밝은 시리우스보다 130억배 더 밝게 보이는 것이다. 지구에 도착한 태양복사에너지는 식물의 광합성에 이용되고 지구상 생명체의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지구에 도달한 태양복사에너지의 지표면 부등가열 등은 지구의 날씨와 기후를 만든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이유이다. 실제로 몬더극소기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세계 전역에서 소빙하기가 있었다.태양흑점으로 대표되는 태양의 자기활동은 코로나와 태양풍에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우주기상 변화의 중요 요인이다. 예를 들어 코로나질량방출 등은 지구 자기장 변화를 일으켜 지자기폭풍이나 부폭풍 등을 야기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에서 주파수는 끝없이 전파가 가능한 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전파의 속도는 빛의 속력으로 이동하는데[1][2], 물체를 통과하면서, 그 물체의 투자율과 유전율에 따라 그 속도가 둔화된다.파장은 주기적으로 나오는 파동의 마루와 마루 사이, 또는 골과 골 사이의 거리를 말하며, 주파수에 반비례한다. 전파가 진공 상태에서 1초에 이동하는 거리는 299,792,458 m (983,571,056 피트)를 파장 수로 나눈 값이 1 헤르츠(Hz)이다. 1 MHz의 전파 신호는 299.8 m (984 피트)의 파장을 가지고 있다.
Q. 폰쓸때 데이터 몇기가 이런식인데 데이터가 정확히무슨뜻인지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데이터는 1바에트 단위로 차감되며, 1메가는 1024바이트, 1기가는 1024메가 바이트 입니다. 보통 한글 한자가 2바이트 정도이며, 영화나 영샹을 보면 700메가, 1.2기가 써있습니다. 다운 받거나 스트리밍 하면 그 정도 용량이 사용됩니다. 일상통화는 데이터가 들지 않으나, 영상통화는 데이터가 사용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행성 중에 가장 밝은 행성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천구상의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는 별. 즉 별자리를 이루며 다량의 에너지를 방출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별들을 말하며 태양도 그 하나다. 이에 비해 행성은 위치 변화가 크고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며 태양빛을 반사한다.항성들의 밝기는 기원전에 히파르코스가 정의하였고 프톨레마이오스가 개량한 등급 단위를 사용한다. 이 단위계는 천구에 있는 항성 중 가장 어두운 것을 6등성이라 하고, 가장 밝은 것들을 1등성으로 하여 밝은 항성일수록 작은 값을 갖는다. 1등성의 밝기가 6등성 밝기의 100배와 같다.항성은 탄생기에 있는 원시별(原始星), 청·장년기의 주계열성(主系列星)이나 왜성(矮星), 노년기의 거성(巨星)·초거성(超巨星), 소멸해가는 초신성(超新星), 죽은 별의 잔해인 백색왜성·중성자별(中性子星) 또는 블랙홀 등으로 분류된다.천문학에서는 실시등급이 1.m5보다 밝고 0.m5보다 어두운 별을 가리키는데, 일반용어로는 1.m5보다 밝은 21개의 항성을 일컫는다. 밝은 순으로는 시리우스, 카노푸스, 센타우루스자리 α, 아르크투루스, 베가, 카펠라, 리겔, 프로시온, 아케르나르, 센타우루스자리 β, 알타이르, 베텔게우스, 알데바란, 남십자자리 α, 스피카, 안타레스, 폴룩스, 포말하우트, 데네브, 남십자자리 β, 레굴루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