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의 생물이 다른 나라에 풀어져 생태교란을 일으킨 사례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생태계교란종(生態系攪亂種) 또는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生態系攪亂野生動植物)은 대한민국 환경부에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는 토종 동식물의 생태계를 위협할 우려가 있는 동, 식물을 말한다.생태 교란종은 농업 및 작물 수확에도 중대한 위협이 됩니다. 생태교란종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거나 가축을 잡아먹거나 토종 식물의 꽃가루 매개자를 능가함으로써 농업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로 인해 해충과 질병의 침입이 쉬워질 수도 있고, 농작물 수확량이 더욱 감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간의 건강에 위협일부 외래종은 인간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일부 종은 독성이 있거나 인간과 가축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질병을 옮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침습성 모기 종은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을 옮기기도 합니다. 또한 특정 지역의 자연 서식지를 건강하게 지켜온 토착종이 외래종으로 인해 손실되는 경우 그에 따라 자연 서식지가 함께 파괴되어 인간의 건강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생태계 교란 야생동식물 지정 현황1998년 3종, 1999년 2종, 2001년 1종, 2002년 4종, 2009년 6종[1][2], 2012년 2종[3], 2016년 2종, 2018년 1종, 2019년 3종[4], 2020년 6종이 지정되었다.동물편집황소개구리 Rana catesbeiana (1998년 지정)파랑볼우럭(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1998년 지정)큰입배스 Micropterus salmoides (1998년 지정)붉은귀거북속 전종 Trachemys spp. (2001년 지정)뉴트리아 Myocastor coypus (2009년 지정)꽃매미 Lycorma delicatula (2012년 지정)붉은불개미 Solenopsis invicta (2018년 지정)등검은말벌 Vespa velutina nigrithorax (2019년 지정)미국가재 Procambarus clarkii (2019년 지정)리버쿠터 Pseudemys concinna (2020년 지정)중국줄무늬목거북 Mauremys sinensis (2020년 지정)갈색날개매미충 Pochazia shantungensis (2020년 지정)미국선녀벌레 Metcalfa pruinosa (2020년 지정)아르헨티나개미 Linepithema humile (2020년 지정)식물편집돼지풀 Ambrosia artemisiaefolia var. elatior (1999년 지정)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19 99년 지정)서양등골나물 Eupatorium rugosum (2002년 지정)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2002년 지정)털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2002년 지정)도깨비가지 Solanum carolinense (2002년 지정)애기수영 Rumex acetosella (2009년 지정)가시박 Sicyos angulatus (2009년 지정)서양금혼초 Hypochoeris radicata (2009년 지정)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2009년 지정)양미역취 Solidago altissima (2009년 지정)가시상추 Lactuca scariolia (2012년 지정)갯줄풀 Spartina alterniflora Lousel (2016년 지정)영국갯끈풀 Spartina anglica C.E. Hubb (2016년 지정) by MBT for E-Rim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2019년 지정)마늘냉이 Alliaria petiolata (2020년 지정)
Q. 사람에 따라 정전기가 잘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때문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물체와 물체 사이의 '마찰' 때문에 발생합 니다. 모든 물체는 원자로 구성되고, 원자는 원자핵( +)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일반적인 상태 에서 원자핵과 전자가 갖는 전기의 양은 같습니다.하지만 마찰할 때 전자가 다른 물체로 이동하는데 요. 이때 전자를 잃은 물체는 원자핵이 갖는 전기의 양이 더 많아 (+) 전기를, 반대는 (-) 전기를 띠게 됩 니다. 그 결과 두 물체 사이에 전기 에너지의 차이가 생기는데요. 이때 (+)와 (-)가 서로 끌어당기며 정전 기가 발생합니다.정전기는 공기 중의 수증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 니다. 수소와 산소로 이뤄진 수증기는 주변에 전기 에너지를 갖는 입자를 중성의 상태로 만드는데요.따라서 공기 중 수증기의 양이 많아 습도가 높은 여 름철에는 정전기가 발생할 확률이 낮아집니다. 반대 로 겨울철에는 습도가 낮아 정전기가 자주 발생하 겠죠? 한편, 정전기는 습도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25,000볼트(v) 이상인데요.하지만 전기의 양이 매우 적어 인체에 큰 영향을 미 치지 않습니다.
Q. 인터넷을 최초로 발명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968년 클라인로크 교수는 링컨연구소에 근무하는 친구 래리 로버트와 공동으로 미 국방성 고등연구계획국(ARPA: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에 새로운 통신망 연구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그로부터 1년 만인 1969년 9월 2일 캘리포니아주립대와 스탠퍼드연구소 사이에 첫 통신이 이루어졌다. 캘리포니아주립대 컴퓨터 과학부 실험실에서 스탠퍼드연구소 컴퓨터에 ‘접속(LOG IN)’이란 메시지를 전송하는 테스트를 하여 다섯 글자 가운데 ‘LO’ 두 글자를 전송하는데 성공하였는데, 이 테스트가 성공하는 순간이 바로 인터넷이 탄생한 순간이 되었던 것이다.이 테스트 결과를 발전시켜 미국 국방성은 미국 내에 고등연구계획국 연구원과 군납업체, 관련 연구 기관간의 정보 공유를 지원할 수 있는 거대한 군사용 통신망을 건설하고 그 이름을 알파넷(ARPANET)이라 하였는데, 이것이 인터넷의 시초라 할 수 있다. 미국 국방성이 건설한 새로운 통신망 알파넷은 그 뒤 프로토콜을 TCP/IP로 통일하면서 기종에 상관없이 상호 정보 교환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리하여 알파넷은 당초 취지인 군사 목적에 해당하는 부분은 밀넷(MILNET:Military Network)으로 분리 독립시키고, 알파넷 통신망을 민간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그 뒤 1980년대에 알파넷과 미국과학재단(NSF:National Science Foundation)이 만들어 운영중인, 다섯 군데 수퍼컴퓨터 센터를 연결하는 NSFNET라는 통신망이 상호 연결되면서 인터넷은 통신망의 근간으로 자리잡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