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방부제 성분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파라벤 (paraben) - 세정제, 화장품 등의 방부제 로 사용되는 성분입니다.메틸이소티아졸리 (methylisothiazolinone)- 화장품, 세제 등에서 사용되는 성분입니다.이소티아졸리논 (isothiazolinone) - 화장품, 치 약 등에서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살리실산 (salicylic acid) - 화장품, 샴푸 등에서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불꽃놀이 할 때 다양한 색을 낼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불꽃놀이는 연화를 일정한 방향과 각도로 쏘아 올리는 '발사포'와 일정 시간과 높이까지 '불꽃별'의 폭발을 지연시켜 주는 '도화선', 흑색화약과 별을 하나로 모아서 하늘로 쏘아 올리는 화공품인 '꽃불류', 핵심은 발사포에서 쏘아 올릴 연화 속에 활화약과 함께 차곡차곡 채워진 불꽃별입니다. 불꽃 색은 금속 가루를 이용하여(리튬-빨간색, 나트륨-노란색, 칼륨-보라색, 구리-청록색을 띰) 색을 냅니다.이렇게 연화가 완성되면 불꽃놀이의 목적에 맞는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전기 점화장치 등을 이용해서 불꽃의 발사시간과 터지는 시간을 미세하게 조절해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는 것이지요.
물리
물리 이미지
Q.  체했을 때 손을 따면 왜 괜찮아지는거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체했다고 손 따기, 자칫 2차 감염 일으켜 급체를 했을 때 흔히 사용되는 민간요법은 바늘로 손 따기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사혈 요법'의 일종으로 아픈 부위에 피를 빼는 치료법이다. 하지만 집에서 이뤄지는 손 따기는 피부 조직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소독되지 않은 바늘 때문에 감염이 일어나면 패혈성 쇼크로 발전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혈관이 미성숙한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사혈 부위가 크게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어린아이의 손 따기는 금물이다.체했을 때는 죽 등 물기가 많은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설사나 구토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보리차나 미음 등으로 수분을 보충하면서 경과를 관찰해야 한다. 체증이 심해 구토나 설사가 반복되고, 춥고 떨리는 등 열이 동반될 때는 병원에 내원해 수액 요법 등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빛의속도를 줄일 수 있다고 하는데 극단적으로 줄일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느린 빛(slow light)”이라는 현상은 빛의 속도를 극적으로 느리게 하거나, 심지어 파동의 군속도를 줄여서, 이동으로부터 비 파장을 멈추게 조작하는 것과는 다소 다르다. 메타물질이라 불리는 이러한 새로운 물질은 자연에서는 찾을 수 없는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빛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그것을 느리게 하거나, 멈추게 구성할 수 있다. 빛을 느리게 하려고, 차가운 원자를 사용하는 도구와는 달리, 메타물질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며, 구현하기에도 그리 복잡하지 않다. 이들은 또한 필터, 변조기, 눈에 보이지 않는 클로킹 장치, 슈퍼렌즈, 그리고 완전 흡수제와 같은 다양한 응용에 잠재력이 있다. UA에 있는 실험실에서, 연구진은 실리콘과 같은 특별히 설계된 기판 위에, 부파장 금속 패턴을 측정하여, 제작했다. 중요한 것은 이 메타물질이 유연하고도 얇다는 것이다. 이 논문이 가진 주요한 설득력은 그렇게 얇은 메타물질이 마치 천 배나 두꺼운 경우처럼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는 유연한 기판에 실현할 수 있는 통합 광센서의 가능성을 높여준다. “우리는 이러한 장비를 이용한 센서나 통신, 그리고 영상 등의 다양한 응용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Kim은 말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도 오로라가 발견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한국에선 오로라를 볼 수가 없습니다. 오로라는 극지방에서 빛이 자기자에 산린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극지방에서도 운이 좋아야 볼 수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강이 흘러가는 모양이 구불구불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 흐르다 보면 물의 가장자리의 물의 속도와 흐름에 의해서 지표면이 깎이는 침식 작용이 일어나게 됩니다. 오랜 세월 동인 일어니면서 한쪽은 침식되고, 한쪽은 퇴적물이 쌓여가며 물의 방향이 변회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빙하는 왜 푸른 색을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빙하는 모두 아주 푸른빛을 띄고 있는데 빙하가 푸른색인 이유는 햇빛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빨주노초파남보' 빛의 파장을 가지고 있는데 이 빛의 색깔들은 얼음을 만나면 쉽게 흡수가 된다. 그 중 푸른색을 제외한 나머지는 파장이 길어 얼음 깊숙히까지 들어갈 수 있지만 파란색계열은 파장이 짧아 깊숙히 들어가지 못하고 두꺼운 빙하의 얼음 표면에서 쉽게 산란이 되어 빙하의 표면에 산란된 파란색계열 위주로 빛이 들어오게 되어 눈에 푸르게 보이는 것인데 반대로 얇은 두께의 얼음은 빛이 모두 통과해 투명해보이거나 하얗게 보이는 것이다. 산빙하에 갔을때 이미 들었던 설명이지만 빙하의 푸른빛은 볼때마다 상당히 신비한 느낌을 주고 자연의 신비감을 느낄수 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멀티선으로만으로 연결해서 서울에서 부산까지 연결한다면 전기를 쓸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멀티선을 부산까지 계속 연결 시킨 후에 최종 멀티선에 충전이든, 컴퓨터든, 가전등 모두 가능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중력이 없으면 소리가 안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과 상관 없이 공기가 있다면 소리는 들리고 전달이 돱니다. 소리가 공기를 통해가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성운 성단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 성단수많은 별이 무리를 지어 모여 있는 집단을 성단이라고 한다. 성단은 모양에 따라 구상 성단과 산개 성단으로 구분한다.1) 구상 성단수만~수십만 개의 별들이 공 모양으로 빽빽하게 모여 있는 성단① 나이: 많다.② 색: 붉은색③ 표면온도: 낮다.④ 우리은하에서의 분포 위치: 은하 중심부, 주변의 구형 공간2) 산개 성단수십~수만 개의 별들이 비교적 엉성하게 모여 있는 성단① 나이: 적다.② 색: 파란색③ 표면온도: 높다.④ 우리은하에서의 분포 위치: 나선팔※ 우리은하에서 구상 성단과 산개 성단의 분포 위치• 구상 성단: 주로 우리은하 중심부와 은하 원반을 둘러싼 구형의 공간에 고르게 분포• 산개 성단: 주로 우리은하의 나선팔에 분포※ 성단의 나이, 온도, 색구상 성단의 별들은 생성된 지 오래되어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였으므로 온도가 낮아 주로 붉은색을 띤다. 반면, 산개 성단의 별들은 비교적 최근에 생성되어 에너지를 많이 방출하므로 온도가 높아 주로 파란색을 띤다.4. 성운별과 별 사이에 성간 물질1)이 많이 모여 있어 구름처럼 보이는 것을 성운이라고 한다.1) 방출(발광) 성운성간 물질이 주변의 별빛을 흡수하여 가열되면서 스스로 빛을 내는 성운으로, 주로 붉은색을 띤다.예) 장미 성운, 오리온 대성운2) 반사 성운성간 물질이 주위의 별빛을 반사하여 밝게 보이는 성운으로, 주로 파란색을 띤다.예) 부메랑 성운, 마귀할멈 성운3) 암흑 성운성간 물질이 뒤쪽에서 오는 별빛을 가로막아 어둡게 보이는 성운으로, 검은색을 띤다.예) 말머리 성운, 독수리 성운
1711721731741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