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해저 화산이라고 하는 것이 있던데 바다 속에서 어떻게 화산이 폭발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화산섬은 용암이나 화산재가 쌓여 해수면(바다 표면) 위에 생긴 섬이에요.화산에서 분출되어 나온 용암이 쌓여 생기기도 하고, 육지에서 가까운 대륙붕이나 깊이 2000미터 이상의 심해저(깊은 바다 밑)에서 흘러나온 용암이 점점 쌓여 꼭대기 부분이 해수면 위로 나와 화산섬이 되기도 해요.그런데 해저 화산이 분출하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바다 밑의 화산, 즉 해저 화산도 땅 위의 화산처럼 마그마, 화산재, 기체 등을 분출해요.그러므로 해저 화산 위 해수면의 물이 위로 솟아오르고 죽은 물고기나 부석(용암이 갑자기 식어서 생긴, 구멍이 많고 가벼운 돌)이 떠오르는지 관찰하면 되지요.이런 현상이 나타나면 해저 화산이 분출했다고 볼 수 있어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가을철 우리나라 기후에 영향을 주는 기단은?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철에 시베리아대륙에서 형성되는 대륙성 한대기단을 말하며, 북서계절풍, 삼한사온, 꽃샘추위의 원인이 된다. 시베리아기단은 연중 가장 오랜 기간 동안 한반도의 날씨에 영향을 미친다. 대체로 늦장마가 끝나는 9월 중순 이후부터 오호츠크해기단이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5월 중순까지 시베리아기단의 영향을 받으며, 1월에 그 세력이 가장 강하다.강력한 시베리아기단이 영향을 미칠 때는 서고동저형의 기압배치가 전형적이며, 이때는 북서계절풍이 분다. 북서계절풍은 한반도에 혹한을 가져오며, 이때 서해안에서는 많은 눈이 내릴 수 있다.삼한사온은 겨울철에 시베리아기단 세력의 확장과 약화 주기에 의하여 나타나는 동부 아시아의 특징적인 기후현상이다. 시베리아기단이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3일 정도는 한랭하고, 변질된 시베리아기단이나 그 사이의 불연속선이 영향을 미치는 4일 정도는 비교적 온난하다. 그러나 반드시 3일 춥고 4일 포근한 것은 아니고 상황에 따라서 주기가 달라질 수 있다.봄과 가을철에는 주로 시베리아기단이 변질된 상태에서 영향을 미친다. 이때는 시베리아평원이 상당히 가열된 상태이므로 그 힘이 한겨울에 비하여 강력하지 못하다. 초봄에 시베리아기단이 일시적으로 강화되면 한겨울을 연상하게 하는 추위가 닥치기도 하는데 이런 날씨를 ‘꽃샘추위’라고 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안개의 발생 원리가 궁금합니다. 왜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증기를 포함한 대기의 온도가 어떤 이유로 내려가 이슬점 온도에 도달할 때 포함된 수증기가 작은 물입자가 되어 공중에 뜬 상태를 말한다. 대기에 떠다니는 작은 물방울의 모임 중에서 지표면과 접촉하며 가시거리가 1,000m 이하가 되게 만드는 것이며, 구름과 비슷한 현상이고 일종의 저지대 구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인근의 물, 지형 및 바람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