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아파트 옥상 틈새에서 자라는 잡초를 없애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뽑아주시구요. 그 틈 사이로 제초재를 뿌려주세요. 뿌리까지 없애주시면 좋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 은하 밖에는 지적 생명체가 존재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다른 은하에도 지구와 같은 행성이 있을 거란 예상? 상상을 하고 있구요. 특히 행성들에 물이 존재하는지 유무를 따지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서 관측되는 가시광선은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osmic microwave background, CMB, CMBR)은 관측 가능한 우주의 모든 공간을 채우는 마이크로파 복사로, 원시 우주에 대한 중요한 자료가 되는 잔해이다.[1] 표준 광학 망원경을 사용하면, 별과 은하 사이의 배경 공간은 거의 완전히 어둡다. 그러나 충분히 민감한 전파 망원경은 거의 균일하고 어떤 별, 은하 또는 다른 물체와도 관련이 없는 희미한 배경 발광(glow)을 감지한다. 이 발광은 전파 스펙트럼의 마이크로파 영역에서 가장 강하다. 1965년 미국의 전파 천문학자 아노 펜지어스와 로버트 윌슨이 우연히 CMB를 발견(discovery of 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한 것이 1940년대에 시작된 연구의 정점이었다.[2][3]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에서의 9년간 윌킨슨 마이크로파 비등방성 탐색기 온도 변동의 히트 맵CMB는 우주의 기원에 대한 대폭발(빅뱅) 이론의 획기적인 증거이다. 대폭발 우주론 모형들에서 가장 초기 우주는 아원자 입자의 고밀도 고온 플라즈마로 이루어진 불투명한 안개로 가득 차 있었다. 우주가 팽창함에 따라 이 플라즈마는 양성자와 전자가 결합하여, 대부분 수소 중성 원자를 형성하는 지점까지 냉각되었다. 플라즈마와 달리 이 원자들은 톰슨 산란(Thomson scattering)에 의해 열복사를 산란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우주는 투명해졌다[4] - 때때로 유물 복사선(relic radiation)이라고도 한다.[1] 재결합 시대로 알려진 이 분리(decoupling) 현상은 공간을 자유롭게 여행하기 위해 광자를 방출했다. 그러나 우주팽창으로 인해 파장이 증가하기 때문에 광자 에너지(photon energy)는 감소하게 되었다. 마지막 산란 표면은 공간에서 적절한 거리에 있는 껍질을 의미하므로 분리 시의 원래 방출된 광자들이 현재 수신된다.CMB는 완전히 매끄럽고 균일하지 않아 민감한 감지기로 매핑할 수 있는 희미한 비등방성을 보여준다. COBE 및 WMAP와 같은 지상 및 우주 기반 실험은 이러한 온도 비균질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비등방성 구조는 디커플링 지점까지 물질과 광자의 다양한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각도 스케일에 따라 달라지는 특징적인 덩어리진 패턴을 초래한다. 하늘 전체의 비등방성 분포에는 피크(peak)와 밸리(valley)의 시퀀스를 표시하는 파워 스펙트럼(power spectrum)으로 나타낼 수 있는 주파수 구성 요소가 있다. 이 스펙트럼의 피크 값은 초기 우주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첫 번째 피크는 전체적 우주의 곡률을 결정하고, 두 번째 및 세 번째 피크는 각각 일반 물질과 소위 암흑물질의 밀도를 자세히 설명한다. CMB 데이터에서 미세한 세부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은하단과 같은 전경 기능에 의해 방출이 수정되었기 때문에 어려울 수 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화학 용어 중에 비결정질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광물을 이루는 원자나 이온의 배열 상태가 불규칙하여 일정한 결정을 이루지 못하는 광물을 말한다.광물을 이루는 원자나 이온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규칙적인 면으로 둘러싸여 있는 물체를 결정(crystal)이라고 한다.광물의 내부 구조를 아는 방법은 광물에 X선을 쪼이면 X선이 회절하여 간섭 무늬가 나타난다. 이를 라우에 점무늬라 한다. 라우에점무늬를 통해 그 광물의 원자 배열 상태를 조사한다. 조사해 보면 원자의 배열이 규칙적인 것도 있고, 불규칙적인 것도 있다. 전자를 결정질, 후자를 비결정질이라고 한다. 비결정질의 대표적인 광물의 예는 갈철석이나 흑요석 등을 들 수 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사우나는 어떤 과학적 원리로 작동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우나에는 건식과 습식이 있습니다. 건식은 그냥 열을 내는 방식이며, 습식은 열을 낸 물체, 뜨거운 돌이나 금속에 물을 부어서 수증기를 만들어내는 방식 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물레방아는 어떤 과학적 원리가 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레방아 원리를 알기 위해서는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라는 정의를 알아야하는데요!​운동에너지란?움직이는 물체가 정지 상태에 비해서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갖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물리량을 나타냅니다!​위치에너지란?기준면에 대하여 높이를 가진 모든 물체가 갖고 있는 에너지로중력에 의해 생기는 에너지입니다!! ​위에 개념을 숙지하였다면,물레방아 원리!차근차근 알아볼까요오!!​[ * 구조론연구소 ]1. 물과 물레 방아가 결합하여 수력(위치에너지)을 받아들입니다2. 수력(위치에너지)으로 인하여 물레 방아가 돌아갑니다.3. 물레가 돌아감으로써 방아에 힘(운동에너지)이 전해집니다4. 방아의 힘(운동에너지)이 공이에게 전해집니다5. 공이가 힘(운동에너지)을 이용하여 곡식을 빻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폰조착시현상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폰조착시(폰조錯視, Ponzo illusion)이란 사다리꼴 모양에 같은 길이의 선을 수평으로 놓으면 위쪽에 있는 선이 더 길게 보이게 되는 착시 현상을 말한다.[1] 폰조착시(Ponzo illusion)는 1911년 이탈리아 심리학자 마리오 폰조(Mario Ponzo)에 의해 처음 시연된 기하학적 광학 착시(optical illusion)이다.[2] 그는 인간의 마음이 배경에 따라 물체의 크기를 판단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철도 선로와 유사한 한 쌍의 수렴 선에 두 개의 동일한 선을 그려 이를 보여주었다. 선형 원근법에 따라 수렴하는 면을 멀리 떨어진 평행선으로 해석하기 때문에 위쪽 선이 더 길어 보인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반적으로 위쪽 선이 더 멀리있는 것처럼 해석하므로 더 긴 것으로 간주한다. 동일한 크기의 망막 이미지를 생성하려면 더 먼 객체가 더 가까운 객체보다 길어져야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얼마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가 물부족 국가로 선정 되었던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990년대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 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에서 전 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물이 부족하다고 분류한 나라들이다. 하지만 국제인구행동연구소는 UN, 혹은 국제기구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민간단체에 불과하다. 사설 단체가 발표한 물 부족 국가에 한국이 포함되자 정부, 언론, 환경단체까지 제대로 낚여 '우리 나라는 UN이 정한 물 부족 국가입니다'라며 대대적인 캠페인을 벌였다.[2] 한마디로 억지로 캠페인을 벌인 것이다.그러니까 한국은 세계적으로도 깨끗한 물이 매우 풍부한 국가다. 한국같은 경우 겨울~봄에 가뭄으로 인해 물 부족이 심하고 여름~가을은 장마철 및 태풍으로 인해 여유가 있는 편이다. 전반적인 수치는 나쁜 편은 아니나 계절 차이가 심한 게 문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오존층이라는 것은 파괴되면 자연복구가 불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오존층은 태양이 방출하는 자외선으로부터 지구를 보호하고 있는데, 오존홀이 생기면서 오존의 농도가 옅어지게 되어 자외선 투과율이 높아지게 되면 식물의 엽록소가 감소하고 광합성 작용 또한 억제되며 가축의 암 발생률이 높아지고 식물성 플랑크톤의 광합성 작용이 억제되어 수중생물의 먹이연쇄가 파괴될 우려가 있다. 오존홀은 산업공해로 인해 생긴 것으로, 각종 냉각장치에 사용되는 냉매제인 프레온 가스(염화불화탄소), 비행기나 자동차에서 내뿜는 일산화질소 등이 오존홀 생성의 주범이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이 가능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잠을 자는 동물의 경우 가을에 채내에 지방을 쌓아놓게 됩니다. 그 지방을 소비시키면서 겨울동안 잠을 자는 것입니다.
2012022032042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