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가스행성인 천왕성과 해왕성의 색깔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천왕성의 대기에는 수소가 약 83%, 헬륨이 15%, 메탄 2%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반사율이 높은 암모니아와 황이 대기의 깊숙이 있을 것이다. 천왕성의 대기는 태양빛의 적색 파장을 흡수하고 청색과 녹색의 파장 상당량을 반사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청록색을 띤다.허블우주망원경의 우주망원경 이미지 분광기(STIS)와 유럽남방천문대의 다중 단위 분광 탐색기(MUSE)가 제공한 데이터를 활용해 두 행성의 정확한 픽셀값을 얻었다. 이를 통해 천왕성과 해왕성이 실제로는 비슷한 청록색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해왕성이 천왕성보다 조금 더 푸른데 이는 천왕성을 둘러싸고 해왕성보다 더 두꺼운 연무층이 형성돼있기 때문이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포스핀이라는 분자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의 수소화물 및 그 알킬, 알릴 치환체의 총칭. 단지 이것들 중에는 기체 수소화인 PH3가 가장 잘 알려져 있어, 보통 PH3(및 그 유도체)를 단순히 포스핀이라고 한다.[1](1) PH3=34.00. 포스핀, 수소화인, 인화수소라고 할 때, 이 물질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다른 것과 구별하여 기체 수소화인이라고도 한다.【제법】1) 노란 인을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과 끓인다.2) 인과 수소를 가압하에서 직접 결합시킨다.3) 금속 인화물을 물 또는 산으로 가수 분해한다.4) 요오드화포스포늄을 수산화칼륨으로 분해한다.이상과 같이 몇 가지 방법이 있으나 4)의 방법이 가장 순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다른 방법에서는 디포스핀이 혼입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태양이 공전하는 주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실제로 지구와 태양간 거리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계속 변화합니다. 이는 태양 중심으로 공전하는 것이 아닌, 태양과 다른 행성들이 서로 중력으로 인해 서로를 끌어당기면서 공전하는 것이 원인입니다. 마찬가지로, 태양계 자체도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 주위를 공전하면서 계속해서 위치가 변화하게 됩니다.우주선이 지구를 벗어나면, 지구의 공전 속도를 따라갈 필요는 없습니다. 이는 지구와 같이 다른 천체들과의 중력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주선이 다른 천체들과의 중력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고 비행하게 된다면, 지구와의 상대적인 속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오히려 우주선의 속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주선이 지구를 벗어나더라도 천체들과의 중력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비행 경로를 계획하고 운용해야 합니다.
Q. 낙타거미의 크기는 상당이 큰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낙타거미목(영어: Solifugae) 또는 피일목은 동물계, 절지동물문, 협각아문, 거미강에 속하는, '태양거미(영어: Sun spider)' 또는 '바람전갈(영어: Wind scorpion)', '낙타거미(영어: Camel spiders)'라고도 불리는 동물계의 한 목이다. 이 목은 153개의 속과 1,000 종이 넘는 종들을 포함한다. 이름에 거미가 들어감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거미나 완전한 전갈의 형태와는 차이를 보인다. 대부분의 거미들과 비슷하게 낙타거미 또한 두흉부와 후체부에 두개의 합체절이 있다. 두흉부는 종 대부분에서 눈에 띄게 큰 두 개의 앞쪽 끝 협각을 지탱한다. 협각은 턱의 역할을 하며 많은 종들에서 울음소리를 내기 위해 사용된다. 전갈과 다르게 꼬리에 세번째 협각을 갖지 않는다. 피일목의 대부분의 종들은 건조한 기후에서 서식하며, 육지에서 서식하는 절지동물과 작은 동물들을 먹이로한다. 가장 큰 종은 다리를 포함하여 12-15cm까지 자란다. 많은 도시전설에서 낙타거미의 크기와 속도, 인간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을 과장해서 말하는데, 이것은 사실과는 다른, 어디까지나 도시전설의 이야기이다.
Q. 남극같은 혹독한 환경에 사는 곤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이 곤충의 크기는 2~6mm로 손가락에 겨우 보일 만큼 작지만, 사실 이 곤충은 남극 대륙에서 가장 큰 곤충입니다. 바로 “Belgica antarctica“이라 불리는 일명 “남극 깔따구”인데요.혹독한 기후를 지닌 남극대륙에서1년 내내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곤충입니다.이 남극 깔따구들의 몇가지 특징 중 하나는날개가 없다는 점 인데요.남극 / 출처 : 극지연구소 (고경남 대원)보통 '하얀 사막'이라고 불리는 남극에서 생존하는 것을 상상하면,먹이를 구하기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할 '날개'가 필요할 것 같지만,강풍이 부는 혹독한 환경과,남극에 풍부한 해조류와 박테리아를 먹기 때문에 멀리 이동할 필요가 없어날개가 없다고 해요.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수명' 인데요.남극 깔따구는 고작 2년이란 짧은 수명을 살고 있어요.게다가 그 대부분의 시간을 유충인 상태로 보내는데요.
Q. 원숭이보다 유인원이 사람이 더 가까운 동물인가요? 해부학적 특징이 확연하게 차이가 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분류학상, 사람과 같이 영장목 인간상과(Hominoidea)를 구성하는 동물군. 신체구조가 원숭이류보다 더 사람에 가깝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유전학적 분석에 의하면 침팬지, 피그미침팬지가 계통적으로 사람에 가장 가깝고 DNA의 98% 전후를 공유, 고릴라는 이들보다 DNA의 공유율이 약간 낮고, 오랑우탄은 사람 및 아프리카의 유인원과 DNA의 97% 정도를 공유한다. 따라서 종래의 오랑우탄아과에 이들 대형 유인원을 일괄해서 분류하고, 사람만으로 이루어지는 인간과 대치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견해가 일반적이었다.그러나 사람과 이외의 유인원과의 신체적 차이가 두드러지기 때문에 이 오래된 분류법을 채택하는 연구자가 적지 않다. 또 새로운 분류에서도 사람을 대형 유인원으로부터 구별하는 분류 수준에 관해서는 의견이 종합되지 않고 있다. 유인원이 신체나 행동 면에서 사람과 유사한 것으로는 뇌가 크고, 반직립 또는 직립자세를 취하는 경향이 있으며, 두개골의 기본적 구조, 이의 형태와 치식(2 · 1 · 2 · 3), 충수가 존재하고, 꼬리가 없으며 사지 관절의 가동성이 크고, 좌우에 편평한 몸통을 갖는 것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