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무선이어폰은 어떠한 원리로 작동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무선 이어폰'은 블루투스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블루투스 이어폰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요, 기존의 유선 이어폰과는 달리 무선 이어폰은 충전식 배터리를 _ 내장하여 자체 전력으로 가동하는 제품입니다.무선 이어폰은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사용합니다.블루투스의 핵심은 주파수인데요, 주파수 대역은 와이파이와 동일한 2,402~2,480MHZ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이어폰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타 계절에 비해 여름 한낮 뭉게구름이 잘 생기고 선명하게 보이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뭉게구름은 일반적으로 중간층 구름으로, 높이가 2~6km 정도로, 대체로 흐린 날씨를 유발합니다. 뭉게구름이 높이가 높으면 높은 층의 대기와 만나서 더 많은 물방울이 생성되고 큰 비구름으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뭉게구름의 모양과 특성에 따라 강한 비와 폭풍우를 유발하기도 합니다.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뭉게구름이 일시적으로 형성되면서 물방울이 작아서 비가 내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뭉게구름이 지나가면 날씨가 맑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아마도 여름에 습도가 높고 습기가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 됩니다.
Q. 영혼의 무게가 있다는데 존재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경건해야 할 임종의 순간, 흐느낌이나 추모는 없고 차트와 과학 기자재를 든 여러 의사들의 분주함만 있었을 이 실험들에서 맥두걸은 공통적인 무게의 차이 21g을 찾아낸다. 사후 발생한 몸무게의 변화 21g이 영혼의 무게라는 점을 증명하기 위해 맥두걸은 나름 과학적 분석을 통해 가능한 변수들을 제거해 나갔다. 첫째, 사람이 죽으면 신체 근육 이완으로 대,소변이 흘러나온다. 이것에 의해 무게 측정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그 경우에도 배설물이 침대밖으로 흘러내리지 않는 구조로 측정 장비를 설계했다. (그닥 유쾌한 구조물은 아닌듯...) 둘째, 사망시 마지막으로 내쉰 숨으로 무게가 줄어들 수도 있다는 가정하에서 사전 동일 구조물위에서 숨을 크게 내쉬는 실험을 반복 하였으나 무게 변화는 없었다. 셋째, 땀의 증발 및 호흡속의 체내 수증기로 인한 무게 감소, 즉 감지되지 않는 손실이 발생한다. 이 가능성은 맥두걸과 현장의 다른 과학자들에 의해 검증되어 한 시간에 약 1온스 (28그램)이 손실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저런 변수와 자연스런 몸무게 감소 요인등을 감안하고도 설명않되는 숫자 0.75온스(21그램)이 남았다. 맥두걸과 실험에 참여한 동료 의사들은 이 과학적으로 설명 않되는 질량 변화 21그램이 사망시 사람의 몸을 떠나가는 영혼의 무게라고 주장하고 1907년 및 에 이 실험내용을 발표한다. 맥두걸이 주장한 영혼의 무게를 타이틀로 내건 이 영화는 죄의식, 미움,구원등을 주제로한 철학적 줄거리를 가지고 있었다. 1901년 맥두걸의 영혼 무게 측정 실험은 그 자체만으로도 충격적인 실험이었으며, 그 실험결과는 이후 이런 영화에서 제목으로 차용될 정도로 많은 사람들에의해 회자되면서 암묵적인 영혼의 무게로 인정받고 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진과 화산 폭발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地震, earthquake)은 지진파가 지구 지각의 암석층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갑작스러운 땅의 흔들림을 말한다.자연 지진은 지하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단층이 미끄러지면서 강력한 에너지가 방출되는 것으로 지구 내부 어딘가에서 급격한 변화가 생겨 그 힘으로 생긴 파동이 지표면까지 전해져 지반이 진동하게 된다. 인공 지진은 핵실험이나 대규모 폭발로 지반이 흔들리는 것을 가리킨다.지구 속 마그마가 지표면을 뚫고 나와 용암 등이 쌓여 만들어진 산체이다. 지구의 화산활동 대부분은 바다 밑에서 일어나며, 바다 밑 화산의 분출물이 해수면보다 높이 쌓이면 화산섬이 된다. 독도, 제주도, 하와이, 카나리아 제도, 아이슬란드, 산토리니 등이 대표적인 화산섬이다.법률상 화산은 '땅속 깊은 곳에 있는 마그마가 지표 또는 지표 가까이에서 분화하여 화산재·화산가스 등이 발생하는 현상'이다(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호). 법률상 화산의 정의는 지형이 아니라 화산 분출 '현상'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