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8월 1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현재 우주과학기술로 타 행성 탐사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은 많이 발전했습니다. 위성체와 발사체를 만들어 냈고, 쏘아 올렸습니다. 이제 달 탐사체를 만들어갈 예정입니다.
전기·전자
2023년 8월 15일 작성 됨
Q.
발전기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증기 터빈의 역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기는 중심의 회전자(전자석)와 외부를 감싸는 고정자(철심)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전기를 생산한다. 발전기 동작의 기본원리는 앙페르 법칙과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법칙이다.
화학
2023년 8월 15일 작성 됨
Q.
에코 사업에 대한, 화학 용어인 스크러버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가스 속의 부유 고·액 미립자를 액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장치. 집진기라고도 하며, 스프레이탑·사이클론 스크러버·벤트리 스크러버·타이젠 와셔 등의 각종 형식이 있다. 액으로는 일반적으로 물을 사용한다. 집진기로는 비교적 높은 포집 효율을 기대할수 있기 때문에 배수처리에 문제가 없다면(방사성 오프가스 처리법) 유효한 방법이다. 또한 불용가스 성분을 액으로 흡수제거하는 흡수장치도 스크러버라고 한다.
화학공학
2023년 8월 15일 작성 됨
Q.
페인트의 성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페인트와 유화물감의 구성과 성분은 비슷합니다. 다만 사용하는 용제의 경우 물감이 페인트에 비해서 더 독성이 약하다는 것입니다.
물리
2023년 8월 15일 작성 됨
Q.
상온상압 초전도체라면 무한동력이 가능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상온에서 저항이 없이 전기를 통과시키는 신박한 초전도체가 있다면 그야말로 대박인 것이다. 비슷한 예로 무한동력이 있다. 무한동력(perpetual motion)은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고도 영원히 작동하는 기계를 말한다. 무한동력은 열역학 제1법칙에 위배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열역학 제1법칙은 에너지는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고, 단지 형태만 바뀔 수 있다는 법칙이다. 무한동력은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고도 영원히 작동하기 때문에 열역학 제1법칙에 위배된다. 한번 시동을 걸면 연료를 주입하지 않아도 영구히 작동하는 자동차 엔진이 있다면 그것이 무한동력이다.
화학
2023년 8월 15일 작성 됨
Q.
과학이 발전하는 속도가 엄청 빠른데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의 발전이 지구 온난화를 막을 수 있다면 편리하고 풍요롭고 최첨단의 과학적 미래가 될 것이지만, 지구 온난화나 기후 위기를 막지 못하면 황폐화된 지구에 돈과 권력이 있는 사람들만 편리한 세상 혹은 터미네이터나 메트릭스 처럼 프러그램이 지배 하는 세상이 올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8월 15일 작성 됨
Q.
모기는 어디에서 오는건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요즘 하수구로는 트랩이 있어서 들어오지 못하구요. 환풍기나 우수관을 통해 들어오거나 엘리베이터에 있다가 사람 몸에 븥어서 들어 오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8월 15일 작성 됨
Q.
초전도체가 우주과학 분야에도 쓰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초전도체가 상용화 되면 우주에서도 최소한의 에너지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적용되어질 것입니다.
물리
2023년 8월 15일 작성 됨
Q.
비행기는 어떻게 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의 날개를 자세히 보면 위쪽이 조금 볼록하고 아래쪽은 평평하게 되어 있어요. 여기에 바람이 세게 불어오면, 날개 위쪽으로는 공기가 볼록한 곳을 넘어야 하기 때문에 빨리 지나가고, 아래쪽으로는 느리게 지나가지요.그러면서 아래쪽의 공기가 날개를 위로 밀어 올리게 돼요. 비행기가 새처럼 날개를 파닥거리지 않는데도 하늘을 날 수 있는 건 바로 이런 원리 때문이랍니다. 그럼 바람이 세게 불지 않을 때는 비행기를 어떻게 하늘로 띄울 수 있을까요? 센바람과 똑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 비행기가 뜨거나 내릴 때에 긴 활주로1)를 엔진2)이라는 장치를 통해 빠른 속도로 내달리는 거예요. 엔진은 가스를 뒤로 아주 세게 내뿜어서 비행기를 앞으로 나아가게 해요. 그러다 충분한 속도가 되면 마침내 비행기는 하늘로 떠오르는 거예요.
화학
2023년 8월 15일 작성 됨
Q.
체온계로 양쪽 귀를 측정했을때 다른 이유는 뭔가여??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를 측정하는 위치(귀속 깊이)가 달라서 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귀 속의 모양과 구조 및 살의 두께가 달르거나 바람의 방향(에어컨, 선풍기 등)이 한쪽으로 불어서 일 수도 있습니다.
271
272
273
274
2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