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새가 하늘을 날을수 있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새가 날 수 있는 이유는 새의 날개에 비행기의 날개를 대입해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날개의 단면을 보면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날개의 윗면으로 공기가 지나가는 속도보다 아랫면으로 지나는 공기의 속도가 느립니다. 즉, 날개의 위쪽과 아래쪽을 지나는 공기의 속도가 달라서 압력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이죠.이는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공기의 속도가 빠른 쪽의 압력이 낮아지고, 공기의 속도가 느린 쪽의 압력은 반대로 높아집니다. 날개 아래쪽의 압력은 높고, 날개 위쪽의 압력은 낮아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양력’이 작용합니다.이때 발생한 양력이 새에게 작용하는 중력보다 크다면 자연히 새가 떠오르게 되겠죠? 이뿐만 아니라 새가 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이 있습니다.예를 들어, 새의 깃털이 위쪽에 더 풍성하게 분포하여 날개 위쪽을 더욱 굴곡지게 하여 양력을 키우는 것이 있죠. 또한, 새의 뼈는 그 속이 비어 있어서 다른 동물들보다 가볍고, 방광 역시 작아서 배설물을 체내에 오래 저장하지 않는 점 역시 비행하는 데에 유리한 요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