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연화점 융점 TG점 등의 정의 공유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 TG -유리전이온도 서냉한 유리의 열팽창 곡선에 있어서 저온과 고온의 직선 식으로 표시되며 이 두 직선을 연장해서 만나는 점을 유리 전이온도 Tg(glass temperature)라고 한다. 점성은 1012.5Pa.s로 알려져 있다. 열분석을 통해 근사적으로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 질 재료가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옮기는 유리전이에 관계하는 중요한 온도로, 이 온도를 경계는 연속적이지만 구조에 관련하여 현저한 물성변화가 일어난다.2. 융점일정한 압력하에서 고체 물질이 그 액체와 평형이 되어 존재할 때의 온도. 녹는점이라고도 한다.기호 mp. 보통 1기압에서의 융점을 융점(녹는점)이라고 한다.일반적으로 융점은 압력이 높아지면 상승하며 얼음·비스무트·안티몬의 융점은 반대로 낮아진다.예를 들어 얼음에 133기압을 걸면 얼음의 융점은 -1℃가 된다.순수한 고체의 융점은 일정한 값을 나타내므로 온도의 정점(定點)으로 삼을 수 있다.또 융점의 측정으로 물질의 확인이나 순도의 판별, 용액 속의 용질의 분자량을 구할 수 있다.3. 연화점아스팔트와 같은 고체 또는 반고체는 따뜻해지면 점점 물러져 마침내 흘러내린다. 이 변화는 서서히 진행되며, 얼음에서 물로 되는 것과 같은 뚜렷한 전위는 아니기 때문에 어떤 상태를 정하여 그 상태에 이르렀을 때의 온도를 연화점이라 한다. 따라서 시험 방법에 따라 결과도 달라진다. 시험은 링 속에 시료를 채우고 그 한복판에 구(球)를 얹고 물 또는 글리세린 용액에 넣는다. 용액의 온도를 일정한 비율로 상승시켜 시료가 물러져서 아래로 늘어지고 구(球)가 25.4㎜ 아래에 있는 바닥판에 닿았을 때의 온도를 연화점으로 한다. 침입도의 값과 조합하여 아스팔트의 특성을 판단하는 데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