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 물리학을 전공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 물리학을 전공했습니다.
신광현 전문가
육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흰머리가 나는 이유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새치가 생기는 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스트레스 증가어떤 병이던 가장 많은 이유인 스트레스 증가로 멜라닌 줄기 세포에 영향을 줄 때둘째 당뇨당뇨로 인해 내분비기관이 제기능을 못하게 되어 호르몬 영향으로 멜라닌 세포의 생산량이 떨어지는 경우셋째 미백 화장품미백화장품으로 인한 멜라닌 억제 차단넷째 태닝태닝으로 인한 멜라니 조직세포 손상다섯째 가족력가족 중에 새치가 많은 경우 새치가 많을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우주는 왜 검은색으로 보일까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우주는 허블의 우주팽창설을 기초로 여러가지 설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근거도 들수 있지만 그 누구도 우주의 끝을 모릅니다. 즉!!! 태양 빛, 행성의 빛, 우주의 가스 폭발 충돌 등으로 수 많은 빛이 발생하지만 항상 우주가 검은 이유는 그 끝을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지금고 수없이 팽창하는 우주의 끝을 빛이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색이 없는 것입니다. 블랙홀은 일직선에 가까운 형태입니다. 하지만 빛을 빨아들이면서 색은 없어 우리 눈에는 검정색 타원으로 보입니다. 즉 색이 없고 그 끝을 알 수 없기에 우리의 눈은 우주를 검은색이라고 판단합니다. 나갔던 빛이 우리 눈에 돌아와야 색이 보이는데 나가던 빛이 그대로 사라지게 때문에 검은색으로 보입니다.허블의 우주팽창설을 기초로 답함
생물·생명
2023년 1월 29일 작성 됨
Q.
나무늘보는 어떻게 야생에서 살아 남았을까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늘보가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는 느림의 미약 때문입니다. 생태계는 약육강식의 세계이므로 순간의 선택이 죽음과도 연결 될 수 있기에 매우 민첩하게 움직입니다. 하지만 나무늘보는 움직임이 없습니다. 나무에 일주일동안 메달려 있을 수 있습니다. 즉 하늘에 날아다니는 육식동물도 육지에 있는 육식동물도 가만히 있고 움직이지 않는 나무늘보가 눈에 자연스럽고 그렇게 놓치게 되는 겁니다. 또 하루에 나뭇잎 3장만 먹으면 되는 동물이다 보니 움직일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나무늘보가 죽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경우는 일주일에 1번 배변활동을 한다고 나무에서 내려 올 때 가장 죽는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들의 조상인 원시인들이 창이나 화살로 쉽게 잡을수 있는데 나무늘보를 왜 안죽이냐!!라고 의문을 품을 수 있습니다.그것은 나무늘보가 움직이지 않기때문에 근육양도 적고 나뭇잎을 하루에 3장 먹는게 다인 나무늘보의 살이 많을 것이라 기대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맛이 없다고 알려줘 있습니다. 나무늘보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는 적은 에너지 소모로 인해 식량 걱정이 없어 안 움직여도 되고 그래서 눈이 안보이는 그런 존재.또 안 움직이다 보니 맛이 없는 동물이 되어서 야생에 생존하게 되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9일 작성 됨
Q.
우주에서 쓰는 볼펜의 원리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는 중력이 없기 때문에 마찰력이나 모세혈관효과를 이용해야됩니다. 연필은 마찰력이므로 쉽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가 통하는 작은 조각인 연필의 주성분인 흑연이 우주선 안에서 돌아다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에 우주에서도 사용 할 수 있는 펜을 만들었습니다. 일반적인 펜은 펜의 촉 안에 작은 쇠구슬이 있습니다. 이 구슬에 돌아가면서 잉크가 흘러나오는 원리입니다. 여기서 구슬이 중력에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우주는 중력이 없기 때문에 모세혈관효과를 이용합니다. 흔히 만년필을 보면 됩니다. 가느다란 부분이 있으면 더 가느다란 부분으로 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만년필 형식으로 펜을 만듭니다. 그리고 우주에서 그 펜을 쓰면 종이가 잉크로 흡수하면서 적힙니다. 하지만 우주는 어떤 자세 어떤 온도에서도 사용해야 되므로 잉크통을 밀폐한 후 무조건 뒤에 있는 잉크가 앞에 있는 잉크를 밀어내도록 설계 되어 있어 명품 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날씨는 매우 추운데 바닷물은 잘 얼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 물은 어는 점이 0도입니다. 하지만 바닷물은 여러 물질이 섞인 혼합물입니다. 즉 여러가지 물질이 섞여 있어서 어느점이 내려가 영하의 날씨에도 잘 얼지 않습니다. 그래서 차에 사용하는 워셔액들 여러 물질은 부동액이라고 합니다. 즉 혼합물은 어는점이 일반 물보다 더 낮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날벌레들이 비 맞으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곤충들은 일단 기압차를 쉽게 느끼기 때문에 비를 피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동굴이나 다리 아래 그리고 잎이 넓은 나뭇잎 뒤편에 숨은 행동을 합니다. 글쓴이님이 궁금하신 곤충이 비를 맞는 경우는 날개가 젖어 날지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미리 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비오는 날 모기나 날파리를 보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모기와 날파리가 빗방울을 피한다는 것입니다. 곤충은 너무 가볍기 때문에 비가 내리면서 생기는 작은 바람에 영향을 받습니다. 모기나 날아다는 곤충은 그 바람을 느껴 휘청휘청거리면서 빗방울을 피합니다. 그리고 모기나 날파리에 있는 털이 빗방울을 스쳐가게 합니다. 너무 가볍고 털 때문에 빗에 맞아 죽는 경우는 없지만 곤충들은 기압차를 쉽게 느껴 비를 미리 피한다는게 정답입니다.
화학
2023년 1월 25일 작성 됨
Q.
헬륨은 왜 목소리 변화를 시키나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목소리는 말을 하면서 공기라는 매질을 만나 진동시키면서 나는 소리입니다. 그런데 헬륨이 공기라는 매질을 대체하면서 평소와 달라지는 겁니다. 헬륨이 공기보다 느리고 빠르기때문에 진동수가 달라면서 떨림 정도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더 가늘하게 목소리가 나오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4일 작성 됨
Q.
인공위성 수명은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위성의 수명은 최대 20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여러가지 요건이 영향을 미치지만 추진력을 더하는 엔진원료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인공위성이 지구를 돌려면 지구 당기는 중력을 버티는 힘이 필요합니다. 그래야만 돌면서 구심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어서 지구를 중심으로 돌게 됩니다. 구심력이 중력이고 원심력은 인공위성의 엔진입니다. 그래서 인공위성이 지구를 돌다가 중력에 의해 궤도가 바뀌면 인공위성의 엔진을 이용해서 균형을 맞춥니다. 즉 20년정도가 되면 엔진 원료가 다 떨어져 구심력에 균형을 맞출 수 없게 됩니다. 이때 인공위성은 지구의 중력에 당겨져서 지구에 떨어지거나 인공위성의 마지막추진 엔진 사용해서 우주쓰레기로 만들어버립니다. 그래서 인공위성의 원료에 따라 인공위성의 수명은 대략 20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4일 작성 됨
Q.
강물은 어는데 왜 바닷물은 얼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 얼 때는 어는 온도로 어는 점이라고 합니다.중요한 점은 평균 어는 점은 0도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0도는 일반적인 물 물의 원소기호인 H20그자체를 말합니다. 순수물에 가까운 물은 어는점이 0도에 비슷합니다. 그러나 바닷물은 소금등 여러가지 성분이 섞인 혼합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는 점이 강물보다 더 낮게 됩니다. 그래서 예전 러시아 소련이 부동항이라고 얼지 않는 항구를 가지고 싶어했습니다. 즉 물에 섞인 물질의 성질에 따라 물의 어느는 점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사람은 공기가 누르는 대기압을 느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지금 우리가 느끼는 기압을 1기압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잘 느끼지 못합니다. 하지만 높은 산으로 올라가서 귀가 멍해지는 것 또 비행기를 탔을 때 귀가 멍해지는 것을 보면 기압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산 위에서 라면을 끊이면 물이 일찍 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모든게 기압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