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혜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혜정 전문가입니다.

최혜정 전문가
한우리독서토론논술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딸아이에게 좋은 아빠가 되기위해서는 어떻게 해주면 좋을까요?
아들과 딸 모두 아빠가 함께 놀아주면 됩니다^^ 책도 같이 읽고 맛있는 밥 먹으며 재밌는 이야기도 하고, 즐거운 시간을 함께 쌓아보세요.일이 바빠서 시간이 없을 수 있지만 양보다는 질 입니다. 단 5분이라도 폰을 끄고 아이와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눠보세요. 아이에게 '하지마, 이거 해, 저거 해야지!' 라는 지시어들 보다는 '같이 해보자~?이것도 해볼까?' 등 말투도 신경쓰면 좋습니다.노는 방법이 어렵다면 아빠랑 놀아주는 영상을 참고하세요.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집에 아이들에게 짜증과 화가 너무 나는 순간에 어떻게 대처들을 하시나요...?
정말 다시 부모 하라고 하면 저는 안 할 것 같아요. ㅎ 그정도로 너무나 어렵고 힘든 일인 것 같아요.저도 80년대 사람이라 부모님께 많은 화와 야단을 듣고 자랐습니다. 학창 시절에는 그게 너무 싫어서 아동학과 가족상담을 전공했습니다.어쨌든 결론은 아이들은 부모의 감정쓰레기통이 되지 않아야 합니다. 내가 화나는 이유가 나의 직장생활에 대한 스트레스가 껴있지는 않은지, 개인적인 일이 힘든데 아이들까지 말을 안 들으니 더 짜증이 나는 건지 잘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아이들과 화를 낸다면 나중에 부모와 이야기 하지 않습니다. 부모는 내편이 아닌 화만내고 혼나는 존재라 생각 할 수 있습니다. 심각한 고민과 선택을 부모와 상의할 수 없다는 건 정말 슬프고 심각한 상황입니다.무조건 아이의 편을 드는 것이 아닌 소통을 한다고 생각하세요. 너무 화가난다면 그 자리를 잠깐 벗어나 짜증난 마음을 가라앉히고 다시 이야기해 보세요. 많은 영상과 책으로 공부해 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이들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자존감은 어릴때 부터 길러주면 좋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실 가정에서 부모님이나 양육자인 어른이 해줘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9살과 6살이라면 이제 혼자서 하려는 부분도 많아지고 스스로 할 수 있는 것도 많아집니다.자존감이라는 것은 ' 내가 스스로 할 수 있는게 많아질 때, 실패해도 되는 거구나, 나를 지지해주는 가족과 친구들이 있어. 할 수 있어. 나는 괜찮은 사람이야. ' 등의 긍정적인 마음이 쌓이는 것 입니다.그러기 위해서는 아이가 실수해도 화내지 마세요. 그럴 수도 있지 - 같이 치워보자. 잘했어, 잘 할 수 있어, 한번 스스로 해볼래?, 혼자 해냈구나!, 등의 칭찬을 많이 해주세요. 주의할 것은 과한 칭찬보다는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두어야 합니다.100점 맞았네! 잘했어! 보다는, ' 열심히 노력하는 네가 자랑스러워.' 가 좋습니다.30점 밖에 못 했어? 보다는 '무엇을 맞았는지 볼까? 이건 알았구나~! 몰랐던 건 무슨 문제인지 같이 보자~. ' 라고 함께 문제를 풀어주세요.공부든 운동이든 친구 관계든. 아이를 믿고 대화하는 것. 야단이 아닌 훈육으로, 화가 아닌 대화로 대하면 아이는 한 인격체로 존중 받는다 생각하고 자존감이 높아질 거라 생각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학원에서 연락이 왔는데 우리집 아이가 욕을 너무 많이 한다고 하네요.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아이가 욕을 하는 모습에 많이 놀라셨겠어요. 우선 아이와 진지하게 이야기 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욕을 왜 쓰냐며 화내면 아이는 마음을 닫고 더이상 말하지 않습니다. 10대 청소년들은 주변 또래관계가 중요하기 때문에 옆에 친구가 욕을 하면 같이 따라하려는 성향이 강합니다. 또 시험지를 보고 욕했다는 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을 수도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은몰라서 욕으로 해소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아이에게 학원에서 이런전화가 왔는데 어떻게 생각해? 시험보고 많이 힘들었나 보구나. 요즘 공부하느라 힘들었지-.라며 아이의 마음을 먼져 헤아려주세요. 위로와 격려를 해준뒤 욕이 왜 나쁜지 설명해 주세요.욕은 자신을 깎아내리는 가장 빠른 방법이고 듣고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느끼는지. 등.화를 내고 혼만 낸다면 부모앞에서는 욕을 안하겠지만 밖에서는 더 안좋게 심해질 수 있습니다.식속한까마귀님도 학창시절에 욕을 하신 기억이 있다니 아이와 함께 그 기억도 이야기 하며 왜 안하게 되었는지 등을 같이 공유하며 이야기 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왜 저러지? 가 아닌, 나도 어릴 때 그랬지. 라고 생각하며 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부드럽게 대화로 해결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8세 아들 초등학교 입학한지 삼개월 되근데요 힘드네요
저의 예전 모습이 생각나서 안타깝습니다. 초등 1학년 자녀를 둔 부모님은 어린이집과 초등 과정 통틀어 가장 힘든 때 입니다. 초1 이 가장 손이 많이 갈 때 입니다. 학교에서 빨리 끝나고, 아이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느라 바쁘고 부모님은 빠진 것 없이 챙기느라 바쁘죠. 이 시기에는 어디를 가서 알바를 하는 것 보다는 3~4년 후를 위해 준비를 하는 것도 좋습니다. 저는 아이가 초등 1학년일때 오전에 관심 온라인 강의를 듣고 자격증을 준비했습니다. 아이가 4학년이 되서야 지금 자격증 관련 일을 시작했고 새로운 것들을 하기 시작했습니다.아이 챙기라 밥하랴 집안일 하랴 .. 정말 할게 많은데 밖에서 일까지 하면 너무 힘들더라구요.아무것도 할 수 없는 시간이라 생각하지 마시고, 2년뒤에 무얼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조금씩 준비하는 시간으로 가지시길 추천합니다.
306307308309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