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금융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금융 전문가입니다.
박재오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유가가 언제쯤 떨어지기 시작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우디의 감산조치는 미국과의 유리한 줄다리기를 위한 하나의 카드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실제로 해당 감산조치로 인하여 미국은 사우디의 군사협정, 팔레스타인 인정 등에 내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사우디와 러시아(유가상한제)의 감산조치사 해소되어야 유가가 안정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경제동향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인도의 경제성장이 점점 커가는 시대라고 하는데 진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현재 인구수도 중국을 앞질러 인도가 1위인 상황이고, 최근 g20회의에서 인도의 발언의 영향력이 커졌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중국은 현재 부동산 이슈 및 반도체 규제 등으로 예전만큼의 성장률을 가져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예금·적금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마이데이터를 등록하라고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마이데이터는 쉽게 말해 자산연동시스템으로 여러기관에 흩어져 있는 계좌 및 대출, 카드 사용내역 등을 한번에 볼 수 있게 합니다. 이로 인해 해당 은행 등을 더 자주 이용하고 활용하게 함에 목적을 두고 이벤트를 하는 것입니다.
대출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가계 대출의 금리는 어떤 요소에 의해 결정되나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내용들이 개인대출의 이자율을 결정함에 가장 큰 요소입니다. 가장 큰 틀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에 따라 이자율 기준점이 정해집니다. 이후에는 개인의 신용점수(최고 1000점) 편차에 따라 이자율 산정이 달라지고, 대출기간이 길수록 이자율이 높아지는게 보통입니다.본인의 신용점수를 잘 관리하시는게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경제정책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미국이 반도체를 규제하고 통제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인 인공지능 자율주행 로봇 등의 가장 핵심 산업입니다. 현재 미중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중국은 미국을 넘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갖고 있습니다.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은 경쟁국가인 중국을 견제하고 성장을 막기 위한 일환으로 현재 산업군의 핵심인 반도체에 대한 규제를 펼치는 것입니다.
경제용어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경제용어 중 채찍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찍효과란 채찍 손잡이에 가하는 힘에 비해 채찍 끝에서 발생하는 힘이 더 큰 것에 비유한 용어입니다. 비슷한 말로는 나비효과가 있습니다. 경제적 의미에서는 고객 수요의 미비한 변동이 유통-생산단계를 거슬러 올라가면서 그 수요의 파악이 확대되어 실제 수요보다 제조업체에서는 많은 생산을 하게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과생산으로 인한 악성재고 발생, 생산계획의 차질 등을 야기합니다.
예금·적금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경제 용어 중 뱅크런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은 전체적인 경기악화와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이 악화되면서 출금불능을 우려한 고객들이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하는 것을 뜻합니다.우리나라에서는 2011년 저축은행 뱅크런 사태가 있었으며, 최근에는 새마을금고 pf대출 건전성 문제로 뱅크런 사태에 가까운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경제동향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경제가 현재 너무 안 좋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세계의 주요국가들은 고성장 시대를 거쳐 현재는 저성장시대에 들어온지도 좀 되었습니다. 각국의 부채 증가 또한 한국 뿐만이 아니라 전세계의 흐름이며, 미국은 국가부채가 4경원을 넘어가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가 좋다 라는 말은 앞으로는 점점 듣기 어려운 세상이 될 거라 예측합니다.
경제동향
2023년 9월 28일 작성 됨
Q.
유로연합의 경제 지원 자금은 어디서 나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u 같은 경우 미국과 중국의 뒤를 이어 gdp가 16조 6000억달러에 달하는 경제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eu는 각국으로부터 분담금을 각출하게 되는데 독일과 프랑스만 하더라도 2800억 유로에 달하는 분담금을 내고 있습니다.
경제정책
2023년 9월 28일 작성 됨
Q.
최저시급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저임금은 1988년 전두환 정부 때부터 시작하였으며, 최저임금은 향후에도 우상향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