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금융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금융 전문가입니다.
박재오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3년 9월 28일 작성 됨
Q.
엔저로 일본은 수출이 활황이라는데 언제쯤 엔화환율이 오를까요? 순전히 추측이라도 괜찮아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는 일본 내 자국 정책뿐만 아니라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가 엔저현상을 더욱 부추기고 있는 실정입니다. 엔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미국 기준금리의 인하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빨라도 내년 하반기 이후가 되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경제정책
2023년 9월 28일 작성 됨
Q.
보호무역 정책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 영향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호무역이라 함은 높은 관세나 규제를 통해 수입제품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국내 산업을 보호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각국의 보호무역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선 한 국가에 대한 수출 의존도를 낮추고 수출루트를 다각화하여 리스크를 감소시키는게 중요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9월 28일 작성 됨
Q.
가상자산에 관한 정보와 커뮤니티가 활발한 게시판 같은 사이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상화폐 초창기부터 가장 유명한 커뮤니티는 코인판이 아닐까 싶습니다. 다만 험한 언사를 하는 유저가 다수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2023년 9월 28일 작성 됨
Q.
사우디와 러시아가 주축인 원유시장에서의 감산동맹 동맹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감산동맹이란 현재 국제정세에 따라 감산을 하고 있는 러시아와 사우디를 일컫는 말입니다. 사우디는 OPEC의 일원으로 보통 OPEC의 결정에 따라가게 되는데, 미국의 유가 하락을 방해하기 위해 OPEC에서 단독으로 손해를 보면서까지 감산결정을 내렸습니다. 해당 두 국가가 원유가를 결정할 수는 없지만 현재 상황으로 봤을 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분명합니다.
대출
2023년 9월 28일 작성 됨
Q.
기준금리 상승이 아파트나 물가에 치명적임에도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상승하면 시장에 유동성이 줄어들며 물가가 잡히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들보다 한은의 금리상승의 가장 큰 이유는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이며,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 가지 않는다면 한국에 들어와있는 투자금 등 외환들이 미국으로 외화가 유출되기 때문입니다.
경제동향
2023년 9월 28일 작성 됨
Q.
최근 유가 폭등 이유 및 가격전망?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러시아의 유가 가격상한제에 따른 감산과 사우디의 단독 대량 감산을 실시하면서 지속적을 유가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이 사우디의 증산을 협의하기 위해 여러방면으로 협상하고 있으며, 해당 내용들이 어느정도 합의가 되고 증산결정이 되면 안정화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출
2023년 9월 28일 작성 됨
Q.
이사시 퇴직연금 중도 인출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퇴직금의 중도인출의 경우 무주택자의 주택구입의 경우 가능합니다. 근로자 본인 기준임으로 배우자분의 주택소유 여부는 상관이 없습니다. 다만, 다른사항들도 고려해야할 수 있으니 회사 인사팀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예금·적금
2023년 9월 28일 작성 됨
Q.
금리에서 동결인데도 매파적 동결은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파적 동결이란 말이 나오는 이유는 이번 연준에서 올해 내에 금리 인상 가능성을 중점에 두고 이번 동결 결정을 내렸기 때문입니다. 향후에도 금리 인상의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스탠스를 취하였기에, 아직 금리 인하까지는 기간이 많이 남은 듯 보입니다.
경제동향
2023년 9월 28일 작성 됨
Q.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발생하는 문제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장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느껴지는 것은 석유가격 상승입니다. 일반적인 휘발유 가격 뿐만아니라, 석유를 원재료로 생산하는 제품들의 가격이 상승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다만 수출대금을 달러로 받는 수출기업의 경우에는 오히려 달러의 가치 상승으로 더 많은 이익을 보게 됩니다. 거꾸로 수입업체 같은 경우 달러로 대금을 지급해야하므로, 기업이익이 줄어들게 됩니다.
경제용어
2023년 9월 28일 작성 됨
Q.
최저가격제와 최고가격제의 시행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저가격제는 말그대로 최저가격을 설정하여 생산자의 소득을 보장하기 위함이며, 대표적인 예시로는 농산물 등입니다. 최고가격제는 최고가격을 설정하여 생산자의 폭리를 막고, 경제적 약자를 보호함에 목적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공공요금, 이자율 상한제 등이 있습니다.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