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금융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금융 전문가입니다.
박재오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경제 용어 중에 만하임지수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만하임 지수란 1955년 중고차 평균 가격을 기준으로 현재 중고차 가격이 얼마인지 나타내는 지수입니다.만하임이라는 사람이 만들었기 때문에 만하임 지수라고 불립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경제에서 말하는 코스피 지수는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스피란 한국의 대표 주식지수입니다.코스피시장이란 유가증권시장을 뜻하며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이 보여있는 코스피의 시가총액을 과거 1980년 1월 4일 기준 시가총액(15조 4천억)을 100으로 잡고 계산한 것입니다.이렇게 환산된 점수를 코스피라고 말합니다.
경제동향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미국 경제는 어떻게 되어가는 지 궁금합니다. 미국의 금리가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연준은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여 기준금리 인상으로 물가상승률을 잡으려고 하였습니다. 이에 현재 5.5%의 기준금리를 설정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미국 경제가 생각보다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물가상승률도 어느정도 안정적인 수준으로 내려왔고, 일자리 부문도 긍정적인 지표들이 나왔습니다.연준은 최근 FOMC에서 연말에 금리인상을 한번 더 시사하긴 했지만, 최근 국제 정세 등을 비롯 했을 때 동결할 가능성도 어느정도 있다고 사료됩니다.
경제용어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경제용어중에 장단기금리 역전 이라는뜻은?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장단기 금리역전이라는 말은 기본적으로 단기국채는 장기국채보다 금리가 낮은 것이 일반적입니다. 왜냐하면 장기로 차입을 할 경우 그만큼 유동성과 리스크의 부담이 있기에 2년물 국채보다 10년물 국채가 이율이 더 높습니다.그러나 기준금리 등의 가파른 인상 등을 사유로 기준금리과 연동되는 단기국채의 이율이 더 높아지는 경우 경기침체의 전조현상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주식시장에서 주식이 오르는 경우 그 기업의 실적과 비례하는지 아니면 반대로 가는지 아니면 상관없이 움직이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단순하게 정상시장이라고 봤을 때 주가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는 건 두 가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해당 기업의 이익입니다. 지속적으로 좋은 실적을 발생시키는 기업은 일반적인 기업의 성장 뿐만 아니라 주주환원 정책을 기대해볼 수도 있습니다. 두번째는 미래성장 가능성입니다. 당장 실적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지속적인 성장세는 미래가치를 판단해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비상장 회사 투자자가 되는법?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비상장회사에 투자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루트가 있지만 간편한 방법은 비상장 거래소에서 거래하는 것입니다.거래가 활발하진 않지만 야놀자 등 비상장회사에 대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대표적인 거래소는 '서울거래 비상장'이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증권사 이름에 증권, 투자증권, 금융투자의 차이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증권사 이름에 따라 업무가 다르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최근에 사명을 변경한 신한투자증권이나 하나증권의 경우 금융투자라는 이름이 대중적인 이미지 제고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큽니다.또한 해외로의 법인 진출에서도 파이낸셜 인베스트먼트 라는 사명보다는 증권회사라는 것에 조금 더 주안점을 두기 위한 사명변경으로 사료됩니다.
대출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금리인하가 이뤄지면 사회와 경제에 어떤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인하와 금리인상 두가지 다 장단이 있습니다. 금리인하기에는 시장에 유동성이 증가하여, 보통 많은 투자처들이 상승기를 겪습니다. 이에 자산가격이 발생하게 됩니다.다만 이러한 유동성의 상승은 화폐가치 하락으로 인한 물가상승을 야기합니다.현재의 고통스러운 고물가는 금리인상 때문이 아니라 금리인하기 때의 유동성 증가의 파급효과라고 사료됩니다.
대출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신용도에 따른 전세자금 대출 가능한지 한번 봐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대출이 가능한지 여부는 실제 금융기관을 방문하시거나 인터넷뱅킹으로 가능여부를 확인하셔야합니다.다만 신용점수가 많이 낮으실 경우 전세자금 대출 심사 부결 확률이 높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현재는 신용등급제가 신용점수제로 변경되었습니다.
경제용어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경제용어 중에서 72법칙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72법칙은 투자금의 2배가 되는 시간을 측정해주는 방식입니다. 72를 연간 복리수익률로 나누면 원금이 두 배가 되는 기간과 같아집니다.예를 들어 10만원을 연간 복리수익률 3%로 예치하였으면, 10만원이 20만원이 되는 기간은 24년입니다.24 = 72/3 으로 계산되게 됩니다.
56
57
58
59
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