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소비자 물가지수는 무엇을 의미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소비자 물가지수는 실제로 물가들(물건의 가격들)을 다 조사해서, 이걸 지수화 한 것입니다. 품목들은 일상 생활에 쓰이는 것들로 하되 시대나 상황에 맞게 넣고 빼고 하고요. 지금은 458개 품목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라면, 쌀, 커피 뭐 이렇게요.그리고 여기서 라면은 어떤 라면, 어떤 커피의 가격으로 소비자물가를 구성할건지는 통계조사하는 사람들 마음입니다. 그래서 소비자 물가 지수가 우리가 피부로 느끼는 물가하고는 좀 괴리가 있습니다.또 품목들마다 가중치를 주는데, 실제와 상관없이 개념적으로만 예를 들자면 쌀은 중요하니까 쌀가격은 50%의 비중을 적용하고, 껌은 꼭필요한게 아니니 10%만 적용한다든가 이런 식입니다.이렇게 물건 가격을 다 조사해서 가중치까지 두고 계산한 총 액이 1000만원이 나왔다 치면 이걸 100으로 정합니다. (이걸 지수화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내년에도 똑같이 조사하는데, 1100만원이 나왔다 하면 지수가 110이 될것이고 10% 물가 올랐다 이렇게 보면 됩니다.물가지수는 보통 전년 동월 대비 얼마 올랐냐로 봅니다. 25년 2월 물가지수는 24년 2월 물가지수보다 얼마 올랐냐 이렇게 입니다. 이게 언론에서 말하는 CPI 2% 올랐다, 5%올랐다 라고 하는 것입니다.
Q. 금 이외에 안전 자산으로 평가받는것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안전자산으로 불리는게, 금, 달러, 미국채권 등이 있습니다. 달러는 돈 중의 돈으로 세계적으로 어딜가나 통용됩니다. 그래서 가치가 있고 세계 1위 미국의 법정화폐이기도 하기 때문에 미국 국력의 신용으로 가치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거시적으로 안좋은 상황일때 위험자산 팔고 안전자산 살때 달러가 인기 있을때가 많습니다.미국채권도 마찬가지인데, 미국이라는 국가가 갚겠다고 하는 증서니까 돈 떼일리 없다라고 보는 것입니다. 가격도 이런식으로 어느 범위내에서 왔다갔다 하고요.근데 이런 자산들도 위기일때 주목받았다가 또 위기 지나면 지지부진해지고 다시 다른 위험자산들 주식이나 코인 팍팍 오를때 인기가 식어버립니다.
Q. 트럼프의 암호화폐 전략 비축자산으로 한다고 했는데도 하락하는 이유가 관세전쟁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네 크게 2가지라고 보면 되는데, 하나는 말씀대로 관세전쟁으로 인한 거시경제 불확실성이고요, 하나는 전략자산 비축에 투자자들이 기대한만큼의 적극성이 없어서 입니다.아시다시파 관세전쟁으로 인해 위험자산 다 빠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거시적으로 불안해 지면, 주식이나 코인같은 위험자산 우선적으로 팔립니다. 환금성도 좋기도 하고요.그리고 전략자산 비축인데, 이게 따져보면 상당히 의미가 큰것인데, 정부차원에서 주도해서 적극적으로 비트코인을 추가로 막 매수하는 계획이 있고 이런게 아니라서 실망매물도 나온거 같습니다.근데 사실은 엄청난 것입니다. 거의 0원에서 시작해서 그 어떤 정부와 주요기관의 도움없이 참여자들의 네트워크로만 1억이 되더니, 이제는 미국의 전력자산으로도 인정을 받았습니다. 엄청난 일입니다. 물론 비트코인에 한해서이긴 합니다.
Q. 트럼프의 암호화폐 비축 행정서명의 뜻?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내용은 비트코인은 팔지 않고, 비축하되 세금에 부담을 주지 않는 방법으로 추가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하였습니다. 그리고 다른 코인은 팔지 않는다는 언급은 없었고, 비트코인 외 다른 코인이라는 느낌을 주었습니다.전략자산의 가장 대표는 석유입니다. 석유를 비축해놓고, 중동이 가격을 장난치면 거기에 대응하거나, 경제 위기가 왔을때 자산으로도 쓸수 있을 것입니다.이정도의 자산으로 미국이 인정했다는거죠. 이건 사실 엄청난 것입니다. 거의 0원에서 그 어떤 국가와 메이저 기관의 도움을 받지않고, 참여자들의 자발적인 네트워크파워로 1억까지 오면서 이렇게 인정 받은 것입니다. 가격이 지금 내려서 그렇지 엄청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