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네프론 원리 실험 속 과정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이용학 전문가입니다.네프론의 여과는 분자량에 따라 크기가 작으면 투과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걸러내주게 됩니다.여기서 혼란이 있으신 부분이 포도당은 실제로 네프론에서 투과가 되는데 왜 위 실험이 네프론의 원리와 관련이 있느냐인데, 실험에서 포도당을 사용한 것은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되는 부분입니다.위 실험에서 중요한 것은 시린지필터의 필터 사이 간격과, 포도당의 분자량 크기가 중요한 것이지, 포도당 자체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냥 실험을 위해 하나의 물질을 사용한 것이고 그것이 공교롭게도 포도당이 된 것 뿐입니다.더 실험을 해보시려면 포도당보다 분자량이 더 작은 물질 중 시린지필터의 사이즈보다 작은 물질을 찾아 필터링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소금처럼 물에 녹아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물질의 경우 사이즈가 매우 작기 때문에 필터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
Q. 곱슬머리에서, 환경에 따라 직모로 바뀔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학 전문가입니다.곱슬머리가 직모로 변하려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불가능합니다.머리카락의 곱슬 정도는 모낭의 모양에 의해 결정됩니다. 즉 모낭의 모양이 변할 상황이 아니면 지속적으로 곱슬머리가 유지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그럼 모낭의 모양이 변하는 경우란 어떤 경우인지를 보겠습니다.모낭의 모양이 변하려면 모발이 완전히 빠졌다가 새로 나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쉬운 예시로, 원래는 직모였던 임산부가 출산 후 머리가 빠진 다음 새로나는 머리가 곱슬로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가 머리가 빠진 후 새로 나면서 모낭의 모양이 변한 경우라 볼 수 있습니다.따라서 일반인이 곱슬에서 자연적으로 생머리로 변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