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어지현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9월 19일 작성 됨
Q.
아이들 목욕을 시킬때 때를밀어주나여?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알고 계신 것과 같이 아이들 피부막은 얇기 때문에 굳이 때를 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놀이
2023년 9월 19일 작성 됨
Q.
아이가 물건을 자꾸 던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자신의 몸을 통제하는 법을 배우면서 주변 사물도 던지고 굴리면서 통제하고 싶어합니다. 그렇게 물건을 집어던지면 물건이 변형되거나 바닥에 부딪치며 나는 소리 등을 통해서 흥미를 느끼고 같은 행동을 반복하고 싶어합니다. 그런데 만 36개월만 지나더라도 안되는 것은 안된다고 알려주셔야 합니다. '물건을 던지는 것은 안돼.'라고 다소 단호하게 알려주세요. 그래도 물건건을 던지고 싶어하면 푹신한 소파나 침대에 던지라고 대안을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던져도 되는 물건과 안되는 물건을 교육해 주시면서 물건의 속성과 재료에 대해서 알려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19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밥을 안먹으려 할때 어떻게하면 좋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우선 달고 자극적인 맛의 음식과 간식을 줄일 필요가 있습니다. 이미 아이들이 그러한 맛에 중독된 것 같으니 집에서만큼은 초강수를 두시는 수밖에 없습니다. 밖에서 사 먹는 음식은 일일이 통제할 수 없지만 집밥 만큼은 엄마가 만들어주는 음식을 먹기로 약속하시고 치킨이나 피자도 정해진 날에만 먹을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보시기 바랍니다. 집밥의 경우에도 처음에는 너무 건강한 맛보다는 아이들이 맛있게 느껴질 정도의 간으로 해주시고 서서히 간을 약하게 하시는 식으로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고 3 아들 엄마입니다. 어떻게하면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체력이 곧 정신력이니 옆에서 식단이나 영양제 등 먹는 것에 신경 써 주시고 말이 아니더라도 지지하는 눈빛 보내주시면 아이도 부담가지지 않고 충분히 그런 응원의 기를 받을 것입니다.아무쪼록 아드님이 남은 몇달 간 최선을 다해서 후회없는 결과 이루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유치원은 어린이집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큰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유치원은 교육부에서, 어린이집은 보건복지부에서 관리하며 관리 부서에서 차이가 나듯 시설의 목적에 차이가 있습니다. 어린이집은 보육이 중심이기에 기본적인 돌봄과 놀이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유치원은 교육 우선이기에 교육이 가능한 만 3세부터 다닐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요즘은 어린이집도 만 3세부터는 적절한 교육과 활동을 제공하지만 기본 취지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습니다.아이가 기저귀를 못 뗀 상태에서는 유치원을 다니기는 어렵다고 생각되는데 우선 가까운 유치원에 이와 관련하여 상담을 진행해보신 후 결정하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아무쪼록 아이에게 가장 좋은 선택하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어떤 상황에서 아이를 칭찬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칭찬을 하실 때는 결과보다는 아이의 노력과 과정에서의 행동을 구체적으로 칭찬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결과에 대한 칭찬을 많이 하시면 아이는 결과에 대한 부담을 느끼게 되고 중간과정을 즐기지 못하게될 수 있습니다.같은 맥락에서 외모나 타고난 지능 등에 대한 칭찬도 아껴주시고 아이가 노력해서 성장하고 있는 모습에 중점을 두고 구체적으로 칭찬해 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잔소리하는 와이프 어찌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왜 숙제를 해가야하고 숙제를 해가지 않았을 때의 난감한 경험을 하면서 필요성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곤란한 상황이 되지 않게 되도록이면 숙제를 해갔으면 하는 것이 부모의 마음이지만, 본인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행동하지 않는다면 옆에서 억지로 시키는 것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힘드시겠지만 일단 본인이 알아서 하게끔 둬보시기 바랍니다. 또 아이가 밤에 하는 것을 힘들어하면 아침에 일어나서 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아이가 받아쓰기를 잘 하지 못하는데 개선할 수 있는 방법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쓰기는 읽기와 달라 읽기를 뗐다고 해도 쓰기는 따로 신경을 써줘야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받아쓰기 시험에 대비하여 집에서 최대한 많이 연습해 갈 수 있도록 해주세요. 받아쓰기 시험을 보는 범위가 있다면 그 범위 안에서 최대한 많이 써보고 집에서도 간이 받아쓰기 시험을 보는 등 대비를 많이 해 가시는 것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29개월된 아이 말을 너무 안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일단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가까운 언어발달센터나 병원을 가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요즘은 코로나 등의 영향으로 언어 발달 지연을 보이는 친구들이 많은데 보통 36개월까지는 지켜봐도 된다고 하지만 최대한 빨리 진단을 하고 말을 하는 것에 있어 불편한 점을 하루라도 빨리 해결해 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가정에서는 대화를 나눌 때 아이가 입모양을 잘 보고 따라할 수 있도록 중요한 단어는 천천히 또박또박 말해주시고 잠자리 독서 등으로 많은 어휘를 접할 수 있게 도와주시면 언어발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아빠한테만 짜증내는 여자 아이 훈육방법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엄마는 좋아하는 사람이기에 함부로 못하고 아빠는 자신이 좋아하지 않아도 애정을 줄 걸 알기에 너무 편하게 대하는 것 같습니다.일단 엄마가 아빠에게 지나친 행동을 할 때 지적해주시고 아빠의 입장에서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해주시구요, 아빠가 딸에게 잘해 주느냐의 여부를 떠나서 엄마가 아빠를 어떻게 대하고 어떻게 생각하는지의 영향도 크게 미치므로 이 점도 신경써 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