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어지현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3년 9월 14일 작성 됨
Q.
둘째 고열 첫째를 학교에 보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단순히 아픈 것이 아니라 열이 난다면 떨어질 때까지 집에서 쉬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코로나랑 독감이 아니더라도 바이러스가 침투해서 그것을 몸이 이겨내는 과정에서 열이 나는 것이기 때문에 집에서 쉬면서 조금 더 회복에 힘쓸 수 있도록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8도가 넘으면 해열제를 먹이시고 병원에서 처방 받으신 약도 먹이시면서 비타민C 섭취에 신경 써 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놀이
2023년 9월 13일 작성 됨
Q.
블록놀이에만 몰두하는 아이 괜찮을지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한 가지에 몰두한다는 것은 대단한 축복입니다. 차고 넘치게 반복하고 계속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세요. 엄마 눈에는 매일 같은 놀이를 반복해서 답답해 보이더라도 아이 입장에서는 상상력을 무한하게 키우며 놀이하면서 두뇌 발달을 이루고 있는 시기입니다. 블록 놀이를 통해서 창의력과 공간지각력을 키우고 또 자신이 좋아하는 대상을 만들며 아이는 즐겁게 잘 지내고 있을 것입니다. 그러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아이가 만든 작품에 감탄해 주시고 칭찬도 많이 해주시고 가끔 전시도 해주세요. 만약 아이가 움직임이 부족해 걱정되신다면 운동을 안하면 키성장도 안되고 건강해지지 않으니 운동하고 와서 블록놀이 하자고 설득해보시고 적어도 주말에는 온가족이 나가 산책이나 운동을 할 수 있게 얘기해 보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13일 작성 됨
Q.
쉽게 울음을 터뜨리는 아이, 고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자신의 감정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눈물을 참지 못하고 드러나는 것인데 천천히 자신의 감정을 울음이 아닌 말로 표현하는 등 처리하는 방식을 연습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우선 아이가 그런 상황에서 울음을 터뜨리면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세요. 자신이 왜 우는지도 모르게 감정에 휩쓸려 우는 경우도 많으니 정확히 아이가 우는 이유가 섭섭함인지 두려움인지 등 말로 표현해 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울면 왜 우는지 모르는 사람들도 있으니 앞으로는 말로 표현해보라고 권유해 보세요. 그렇게 말로 표현하면서 주변인과 오해를 풀고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해주시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9월 13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과일을 자주 주면 안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과일에도 과당이라는 당이 있기에 너무 많이 지나치게 섭취하면 안된다는 뜻인데 평소 아침 저녁으로 한 두가지의 과일을 먹는 것은 나쁘지 않습니다. 밥 대신 과일만 먹으려 한다거나 한 번에 지나치게 많이 먹지 않는 이상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9월 13일 작성 됨
Q.
내년에 초등 1학년 입학하는데 선행학습이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한글을 뗐고 덧셈 뺄샘까지 한다면 학습적인 부분은 준비가 잘 되어 있다고 보입니다. 학교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활태도이므로 책상에 가만히 앉아 선생님의 말씀을 들을 수 있게 엉덩이 힘을 길러주시고 혼자 용변을 처리할 수 있게 해주시고 그 밖에 학교 규율을 잘 지킬 수 있도록 미리 학교생활에 대한 책 등을 읽어주시면 적응적인 측면에서 많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9월 13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어휘력도 안 좋고 어눌해여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과 평소에 대화를 많이 나누시고 발음을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또박또박 발음하면서 입모양을 보여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또 그림책 읽기를 통해 다양한 어휘를 접할 수 있게 해주시면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9월 13일 작성 됨
Q.
아이들은 하루 몇 시간을 재워야 하죠?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연령에 따라 다릅니다만 영아는 12~13시간 유아는 10시간 정도면 충분하고 학령기로 접어들면서 9시간 정도면 자도 충분합니다. 이는 어디까지나 평균 수치이기에 아이들이 잠이 모자라서 예민하고 짜증을 낸다든지 입맛이 없어 밥을 안 먹는다든지의 증상이 없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아이 한글 주로 언제 떼는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일단 영유아기 때는 책을 많이 읽혀주시는 것이 언어발달과 인지발달 뿐만 아니라 정서발달에도 좋습니다. 책을 매개로 많은 대화를 나누시고 특정 분야에 관심을 보이면 그 분야를 집중적으로 발달시켜 주시면 좋은데요, 영유아기 때 사교육을 하고자 하신다면 예체능계를 추천해 드리구요 학습적인 부분은 7세쯤 시작하셔도 늦지 않습니다.한글 교육의 경우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면 교육하셔도 좋구요 그 전까지는 많이 소리를 들려주시는 차원에서 대화와 책읽기에 신경써 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놀이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아이들에게 채소와 과일을 섭취시키는 방법과 관련해서 조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유아기 때는 혀의 맛봉오리 수가 어른에 비해 많이 있어 맛에 더 예민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특히나 과일 야채와 같이 향과 맛이 강한 음식은 멀리하게 되는데요, 그래도 아이가 한 번은 시도할 수 있게 해주시고 그래도 싫어한다면 먹지 않아도 된다고 조건을 걸어보세요. 아이 성향 상 조심성이 많을 경우에는 새로운 음식을 시도조차 하지 않으려고 하기도 하니 일단은 무조건 한 번은 먹어보고 결정할 수 있게 해 주시고 아이가 한 번 먹어보고도 먹기 싫어한다면 억지로 먹이지는 마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타인을 포용 할 수 있는 아이로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사랑과 배려를 많이 받고 자란 아이들이 남을 배려할 줄도 압니다. 가정에서 부부 사이에서도 배려하는 모습을 보이시고 아이에게도 배려심 있게 행동해 주시는 것이 우선입니다. 또 아이가 배려심 있는 행동을 했을 때 칭찬과 격려를 통해 아이의 행동을 강화해주시면 아이는 점점 배려하는 아이로 자라게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