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어지현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3년 6월 10일 작성 됨
Q.
아이가 야외물놀이를 하고싶어하는데 안탈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틈틈이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주시고 가급적이면 전신을 감싸는 래쉬가드를 입히시고 꼭 차양햇을 씌우셔서 얼굴 뿐만 아니라 목 뒷부분까지 햇빛을 차단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6월 10일 작성 됨
Q.
학원을 다니기 싫어하는 아이를 어떻게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본격적인 공부를 시작하기 전 시기인데 벌써 아이가 지쳐있다면 억지로 보낸다고 해서 도움되진 않을 것 같습니다. 학원을 안가는 대신 어떻게 스스로 학습할 것인지 계획을 세워보게하시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습관을 들일 수 있도록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6월 10일 작성 됨
Q.
아기의 잠투정은 왜그러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낮동안 햇빛에 많이 노출될 수 있도록 바깥활동을 충분히해서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게 해주시고 자기 전 몸이 충분히 이완될 수 있도록 따뜻한 물에 목욕을 시켜주시기 바랍니다. 또 심리적인 안정을 위해 충분히 사랑을 표현해주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잠자리에 누운 상태에서 다리와 발을 가볍게 마사지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6월 10일 작성 됨
Q.
19개월 아기인데 아직 말을 못하는데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24개월까진 늦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다고 일부러 기다리실 필요는 없고 가까운 언어발달센터 가셔서 진단 받아보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6월 10일 작성 됨
Q.
아기를 갖기 위해 준비중입니다. 어떤 팁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서적은 [삐뽀삐뽀 119 소아과] 구매해두시고 미리 훑어보시거나 상황에 닥칠 때마다 펼쳐보시기 바랍니다. 그 외에는 일단 엄마 아빠의 영양과 체력준비에 만반의 준비를 가하시기 바랍니다. 출산 후 본격적인 육아를 시작하면 호르몬의 영향이나 수면부족으로 정신적으로 힘들어질 수 밖에 없는데 영양과 체력이 받쳐준다면 훨씬 도움이 됩니다.초기 임신기의 영양은 태아의 발달에도 중요하므로 식사와 보조식품 등으로 영양을 골고루 챙기시고 임신을 하면 걷기 외에 할 수 있는 운동이 제한될 수 밖에 없으므로 준비 기간동안 운동해두시길 권해드립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6월 10일 작성 됨
Q.
휸육이 통하지 않은 아이는 어떤 성향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원래 한 번의 훈육으로 고쳐진다고 기대하셔서는 안됩니다. 기질적으로 조심스럽고 겁이 많은 아이라면 훈육효과가 바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알려주고 이해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인내심을 갖고 훈육해보시기 바랍니다.혼내시거나 강압적으로 접근하시기보다 차분하지만 단호한 어조로, 일관되게 훈육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6월 10일 작성 됨
Q.
영양제 어떤걸 먹여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야채를 안먹는다면 종합 비타민 무기질은 필수로 먹이시고 그 외에 뼈성장에 도움되는 칼슘도 챙겨먹이시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6월 10일 작성 됨
Q.
어른은 졸리면 자는데 아이는 안자는 이유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잠 자기를 두려워합니다. 잠에 들때 엄마와 이별해야한다고 생각하기도하고 꿈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해 잠 들었을 때 무서운 꿈이라도 꾸었을 때는 더욱 잠 자기를 싫어하지요.따라서 자기 전에 충분히 애정표현해주시고 안정된 마음으로 잘 수 있도록 편안한 환경을 조성해주시기 바랍니다.천연 신경안정제 역할을 하는 칼슘을 섭취하게 하시고 잠자리에 누웠을 때 가볍게 다리와 발을 마사지해주시면 몸도 마음도 이완이 되어 숙면을 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놀이
2023년 6월 10일 작성 됨
Q.
오늘 제가 사는 지역에 장대높이뛰기 대회를 하는데, 아들과 같이 구경하는 것도 큰 경험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그럼요. 어떤 경험이든 아이에겐 좋은 자양분이 될 것입니다. 꼭 아이의 장래희망이 운동선수가 아니더라도 선수들을 보며 대회를 위해 얼마나 준비했고 노력했는지도 느낄 수 있고 긴장감도 생생하게 느끼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이 나중에 아이가 무슨 일을 하든 노력하고 끈기있게 도전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6월 10일 작성 됨
Q.
아이와의 대화시에 존칭을 써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존칭을 쓰면 아이도 부모에게 존칭을 쓰게 되고 서로 존중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아이에게 존칭을 쓰는 가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상에서의 존칭은 아이에게 위계질서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아이를 존중하는 것은 존댓말이 아닌 존중하는 태도, 아이와 소통하려는 태도에서 나오는 것이기에 굳이 존칭을 쓰시지 않아도 됩니다.다만 부모를 포함해서 어른을 곤경하도록 교육하시고 학령기에 접어들었을 때 혹은 그 이후에 부모에게 존칭을 쓰도록 교육하시는 것은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196
197
198
199
2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