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희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희애 전문가입니다.
이희애 전문가
한양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3월 12일 작성 됨
Q.
우리가 절연체라고 해도 어느정도 전기가 통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전혀 안통하는건 없나요?
안녕하세요.이론적으로 절연체는 전기가 통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어느 정도 전도성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높은 전압이나 특수한 조건에서는 절연체도 전기가 흐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나 고무도 특정 전압에서 전기가 통할 가능성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2025년 3월 12일 작성 됨
Q.
대부분 합금은 몇가지를 넣어서 만드나요?
안녕하세요.합금은 보통 2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여 제작이 됩니다. 특정한 성질을 강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금속을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구리 합금은 주로 구리와 아연을 포함하고, 특수한 합금은 그 외 다른 금속들이 추가됩니다.감사합니다.
2025년 3월 12일 작성 됨
Q.
녹이 생기지 않는 철도 만들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녹이 전혀 생기지 않는 철도는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스테인리스강은 부식에 강하지만, 일정 조건에서 여전히 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신, 고강도 합금이나 추가적인 방청 처리 방법을 통해 부식을 최소화하려는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2025년 3월 12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는 220볼트 전기를 사용하고, 미국이나 일본은 110볼트라는 데 그 이유가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220볼트와 110볼트의 전압 차이는 전력 배급 방식과 초기 설계에 따른 역사적 배경에서 비롯되었다 볼 수 있습니다. 유럽과 아시아는 효율적인 전력 전송을 위해 높은 전압을 채택했으며, 반면 미국과 일본은 초기 시스템에서 110볼트를 사용했습니다. 이와 같은 차이는 각 나라의 전력 시스템 발전 과정에 따른 기술적 선택의 결과입니다.감사합니다.
2025년 3월 12일 작성 됨
Q.
e-corn에 전기선 연결할 때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e-corn에 전기선을 연결할 때 굳이 전장 가위로 자를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전기선 내부의 도체는 이미 연결된 상태로, 적절한 커넥터나 단자에 맞춰서 연결하면 전기가 흐르게 됩니다. 전선을 자르지 않고도 정확한 접촉만 이루어지면 전기가 공급됩니다.감사합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