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희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희애 전문가입니다.
이희애 전문가
한양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6일 전 작성 됨
Q.
전기자전거 배터리는 어떤 배터리인가요?
안녕하세요.전기자전거 배터리는 보통 리튬이온이라서 작고 가벼운데 오래 가는 것이 장점입니다. 대신 충격이나 과충전에 약하기 때문에 사고가 나면 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뉴스에 보면 자주 화재가 나오는데, 거의 대부분 이것에 대한 문제이죠.정품 배터리만 쓰시고 충전만 잘 관리하신다면, 비교적 안전하게 쓰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전기·전자
26일 전 작성 됨
Q.
무정전 전원장치관련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UPS가 30분짜리 인데 1시간 정도의 정전이라면 결국 중간에 꺼질 수 밖에 없잖아요. 혹시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가 있다면 자동으로 종료 설정을 해두시는 것이 안전할 것 같습니다. 정말 중요한 장비라면 예비 전원도 생각하셔야 할 것 같구요. 그냥 사무실 PC 정도라면 별 문제는 안될 것 같긴 한데, 파일 저장을 꼭 해두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감사합니다.
전기·전자
27일 전 작성 됨
Q.
전기매트를 계속 전원을 켜 놓으면 대기 전력에 의해서도 전자파가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아이들 방에 전자매트를 해 놓았는데요. 그냥 계속 두고 있어서요.
안녕하세요. 매트 전원을 꺼놔도 콘센트에 꽂혀있다면 아주 약한 대기 전력을 흐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그 수치가 몸에 해로울 수준은 아닙니다. 그정도 수준의 전자파가 나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크게 염려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안 쓸 때는 플러그를 뽑아두시는 것이 전기세도 아끼고 화재 위험도 줄여줄 수 있어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위 내용의 물론 매트는 안전 기준을 통과한 제품에 한해서 입니다.감사합니다.
재료공학
27일 전 작성 됨
Q.
탄도 미사일의 사거리 늘리는것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안녕하세요. 미사일이 더 멀리 가려면 결국에는 엔진을 오래도록 강하게 밀어줘야할테고, 무게도 줄여주는 것이 포인트 같습니다. 그래서 연료를 고체 연료로 사용해서 그 성능을 끌어올려 무게를 낮추고, 로켓처럼 단수를 늘려서 추진력을 키우는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죠. 몸체에도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바꿔서 사거리를 늘리는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전기·전자
27일 전 작성 됨
Q.
사람에게 감전은 몇 볼트에서 위험한가요?
안녕하세요.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건전지 같은 낮은 전압은 인체에 거의 해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보통 30V 이상에서는 위험구간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손이 젖어있는 상태에서 뭘 만지면 훨씬 낮은 전압에서도 충격이 크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전압보다는 전류량이 더 위험한 수치입니다. 단적인 예로 정전기는 아주 높은 전압임에도 전류가 매우 낮기 때문에 인체에는 무해한 것 처럼요.감사합니다.
전기·전자
27일 전 작성 됨
Q.
AI기술이 계속 발전하면 암으로 죽는 사람은 없나요?
안녕하세요AI의 많은 활용 분야 중에서도 의학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는 것은 사실이지만, 10년 이라는 기한이 정해진다면 잘 모르겠네요. 암 사망이 10년 안에 0으로 만들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암마다 성격도 다르고, 종류도 너무 많고, 완전 정복까지는 시일이 좀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확실한 것을 이러한 것들이 빠르게 개발이 될 수 있는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전기·전자
27일 전 작성 됨
Q.
차단기가 내려가지 않았는데 에어컨은 되고 전등이 안들ㅇ 옵니다. 어떻게 원인을 찾을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에어컨은 잘 되는데 불만 다 꺼졌다고 하면, 집 전체 전기 문제보다는 조명 쪽 회로만 끊긴 상황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분전함에 보면 메인 차단기 말고 여러 작은 차단기들이 연결되어 있을 겁니다. 거기서 조명 라인쪽이 떨어져 있는지를 한번 확인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
전기·전자
27일 전 작성 됨
Q.
전고체 배터리는 현재 어떤 형태들로 기술개발중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고체 배터리의 경우 한 가지로만 개발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양한 계열의 소재를 사용하여 개발중에 있죠. 대표적으로 황화물계 소재, 산화물계 소재, 그리고 고분자계 소재가 있습니다. 현재는 황화물계가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각각이 장단점이 다르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형태로 개발되는 사례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재료공학
27일 전 작성 됨
Q.
원자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최신 기술은?
안녕하세요. 원자로의 안전성을 높여주는 것은 최근에 시동형 안전시스템이라는 것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외부의 전략이나 인력의 개입 없이 중력이나 대류, 압력차와 같은 자연 원리에 의해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죠. 이 밖에도 디지털 계측제어나 AI 기반의 예측 정비 등을 통해서 사고를 조기에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들이 개발중에 있습니다.갑사합니다.
전기·전자
27일 전 작성 됨
Q.
전동킥보드 배터리의 화재는 어떠한 원리로 발생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전동킥보드의 배터리는 대부분 리튬이온 배터리입니다. 차량에 쓰이는 배터리와 동일한 배터리이죠. 내부 단락이나 충전 과열 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항상 야외에 있다 보니 배터리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전해질이 분해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가연선 가슬르 발생시키기도 하죠.감사합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