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역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역사 전문가입니다.

이동광 전문가
카이로스 아카데미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인이라고 하는 분들이 있는것 같은데요 그런 분들은 왜 고려인이라고 하는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고려인은 일제시대 연해주로 이주한 조선인들로서 중국으로 이주한 조선족들과 마찬가지로 옛날부터 만주나 연해주에서 조선인이라 불리우기보다는 고려인이라 불리웠는데, 러시아나 중앙아시아에서 지금까지도 이들 조선인들을 공식적으로 그러니깐 러시아어로"까리스끼", 즉 한국어로는 "고려인"이라 부르는건데 이것을 또 한국에서도 러시아인들이 부르는방식을 그대로 채용하여 고려인이라 부르는겁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길가메시의 서사는 고대 왕권의 정당성을 어떻게 세워주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태고의 작품이지만, '길가메시 서사시'는 오늘날 현대인들에게도 큰 울림을 줍니다. 무엇보다 이 작품 속엔 원시의 자연 상태에서 온전히 벗어나서 도시 문명 속에서 우쭐대며 살아가는 오만한 인간의 허영과 어리석음을 꼬집는 날카로운 풍자와 은유가 담겨 있습니다. 또한 '길가메시 서사시'는 문명의 가장 큰 특징인 정치적 조직화가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줍니다.일단 정치적으로 국가 조직에 배속된 인간은 웬만해선 정부를 벗어날 수가 없는데, 흡사 인위적 교배를 통해 가축화된 동물이 야생으로 회귀하기 힘든 이치와 다르지 않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국가화된 사회에 일단 편입되면 주민들은 합법적 공권력을 갖춘 정부의 감호 속에서 납세와 부역의 의무를 집니다. 일단 그렇게 정치적 삶에 익숙해진 인간은 무정부의 자연 상태로 돌아갈 수가 없습니다. 그 점에서 문명화된 삶(civilized life)은 곧 정치적 삶(political life)이고, 정치적 인간은 자연 상태를 벗어난 인간임을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아즈텍 신화에서 사람의 희생 의식이 신과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아즈텍 의식의 가장 유명한 측면 중 하나는 희생이었습니다. 아즈텍인들은 우주를 균형 잡기 위해 인간 희생이 필요하다고 믿었습니다. 희생당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전사, 노예, 또는 특별히 선택된 사람들이었습니다.​희생 의식은 종종 사원 정상에서 거행되었습니다. 제사장은 희생자의 가슴을 열어 심장을 꺼내고 신에게 바쳤습니다. 희생된 사람의 몸은 일반적으로 사원 밖에 묻히거나 강에 던져졌습니다.​아즈텍인들의 희생 관행은 종종 야만적이거나 잔인하다고 여겨지지만, 그들에게는 종교적 의무였습니다. 그들은 인간 희생이 우주의 질서와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믿었습니다.​아즈텍 의식과 희생은 아즈텍 문명의 중요한 측면이었습니다. 그들은 신들과의 관계 그리고 죽음을 바라보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크렌치가 독일사회주의랑 통일당 서기장이랑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1989년 9월 헝가리 국경이 느슨해진 틈을 타고 동독 주민 1만 3000명 이상이 헝가리를 지나 오스트리아 국경을 넘었습니다. 국경을 넘다가 체포된 사람들은 부다페스트로 이송되었는데, 이들은 동독으로 송환되는 것을 거부했고, 뒤이어 동독 내에서 대대적인 대중 시위가 일어나자 동독의 최고 지도자 호네커는 사임했습니다.그런데도 시위는 더 확대되어 갔고, 많은 주민이체코슬로바키아를 경유해 서독으로 가고자 했습니다.호네커의 뒤를 이어 등장한 크렌츠는 사태 완화를 위해 난민들의 서독 방문을 허용하겠다는 결정을 내렸으나, 급박한 상황 속에서 상황이 와전되고 급기야 서독 방문이 즉각 허용될 것이라는 언론의 오보까지 발생했습니다. 이에 고무된 많은 동독 시민이 무력해진 국경 경비대를 뚫고 서베를린으로 넘어갔습니다.이렇게 시작된 베를린장벽 붕괴는 공식 연표에는 1989년 11월 9일로 기록되어 있지만, 장벽 전체가 철거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이때를 기점으로 시민들은 해머와 곡괭이를 가지고 벽을 부수기 시작했고, 동독 정부도 추가로국경 초소를 개방하기 시작했습니다.결국 다음날인 12월 23일부터 서베를린 시민을 포함해 서독 주민들이 비자 없이 자유롭게 동베를린을 비롯한 동독 지역을 방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울브리히트가 1960중반부터 서유럽국을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소련 지도자인 스탈린의 지시를 받은 발터 울브리히트는 동독 지역에서 공산주의 경제체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실시한다는 내용의 경제 계획을 발표합니다. 하지만 2차대전의 상흔이 여전히 깊게 남은 당시 동독의 경제 상황에서 공산주의로의 신속한 이행은 결코 쉽지않았다습니다. 공산주의 정책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면 제일 먼저 큰 타격을 입게 될 자영농과 소상공인들의 저항이 만만치 않았으며, 많은 수의 지식인들이 공산주의에 회의를 느끼고는 서독으로 도피하는 바람에 인적 손실이 이만저만이 아니었고, 여기에 생필품 부족까지 겹쳤습니다. 생필품 부족을 타개하려면 경공업에 투자를 해야 하는 것이 매우 기초적인 상식이겠지만, 소련의 1930년대 경제 개발 계획을 지도한 바 있던 스탈린은 중공업에 우선적으로 투자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여기에 냉전의 격화에 따른 군비 경쟁까지 겹치면서 동독은 나머지 경제적인 여력조차 군수산업에 탈탈 털어 넣어야만 했습니다. 일단 수치상으로 경제가 급속히 성장하긴는 했지만 중공업에 엄청난 자금을 투입하면서 내수를 희생시킨 대가로 전후 5년이 넘어서도 생필품은 부족했고 실질 생활수준은 서독에게 심각하게 뒤쳐지게 되었기에 동독 시민들의 불만은 점차 커져 갑니다. 당시 동독 사회에 관한 기록을 보면, 발전량이 터무니 없이 모자라서 저녁만 되면 공장을 비롯한 모든 도시가 암흑천지가 되었다고 합니다.
1711721731741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