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오수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전문가입니다.
오수진 전문가
아동복지학과 가정교육교원자격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3월 19일 작성 됨
Q.
9개월반아긴데 자꾸 물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가들은 어릴 때 이쁘다고 손을 앙 물면서 장난치는 것을 모방하면서 놀이라고 생각하며 무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때는 바로 잡아주지 않으면 해도 되는 것이라고 인지하게 되고 행동으로 관심을 끌 수 있으니 아가가 어릴 때 잡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어린 아가이므로 행동에 대해 표현하실 때에는 짧고 간단하게 말해주고 물지 않았을 때 적절한 칭찬 해주시어 아가가 무는 행동이 좋지 않은 행동이라는 것을 인지하게 해주세요아가가 말귀를 알아듣거나 조금 빠른 아가라면 아가가 무는 행동을 했을 때에 엄마의 태도가 단호한 말투와 표정을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아가지만 어릴때부터 안되는 것은 안된다고 인지를 해주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3월 19일 작성 됨
Q.
엄마들은 초1 자녀를 보고 왜 서울대는 못갈것 같다는 판단을 할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엄마들의 교육신념에 따라 다를거라 생각합니다.그리고 초등학생인데 서울대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아무래도 지역차 교육수준과 교육방법이 많이 차이가 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예전에는 사교육없이도 공부 열심히하는 아이들이 서울대를 갈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사교육을 너무 당연시 하는 교육시대가 왔고 그러한 뒷받침들이 대학교가는 것에 연결되어 생각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들이 영향이 가지 않았을까 싶어요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분위기에 휩쓸리는 것보다 아이가 원하는 아이에 맞는 공부 방법을 찾아주셔서 아이가 보다 즐겁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믿고 응원해주신다면 몸도 마음도 건강한 아이로 자랄 것 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7일 작성 됨
Q.
신생아분유먹다가사래걸렸을때어떻게하나?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기가 사레 걸렸을 때에는 안아서 트림을 시켜주시고 토닥여주세요 그리고 다시 분유수유를 해주세요 그리고 젖병 꼭지가 아기에게 크지는 않은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예방방법으로는 젖병꼭지 확인과 수유자세를 조금 더 신경써주시고 분유수유시에는 젖병의 공기를 반드시 빼준 후 수유해주세요 또한 너무 배고플 때 수유하지 마세요 급하게 먹다가 사레가 걸릴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7일 작성 됨
Q.
아이가 사소한 일에도 잘 토라져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와 동화책을 읽으며 아이가 자연스럽게 화가난 감정을 알고 화가난 감정을 받았을 때 그 느낌에 대해 스스로 느껴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예를 들어 용이 입으로 엄청 뜨거운 불을 뿜었네 그런데 만약에 용이 토끼에게 불을 뿜는 다면 그 토끼는 어떻게 될까? 따갑고 아프지 않을까? 우리 00이가 입으로 나쁜 말을 하면서 화를 내는 것도 용이 불을 뿜는 거랑 똑같아 화를 당하는 사람도 토끼처럼 엄청 따갑고 아플거야 라고 이야기해주며 눈에 보이는 어떤 것과 눈에 보이지 않는 분노의 말을 대입시켜 아이의 눈높이에서 설명해주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삐치고 토라져서 말을 하지 않는 아이에게는 00이가 기분이 안좋구나 엄마는 00이를 도와주고 싶은데 00이가 이야기해주지않으면 도와줄수가 없단다 엄마가 00이를 도와주고싶은데 엄마에게 이야기해볼 수 있겠니? 라고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아이가 충분히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는 시간도 필요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7일 작성 됨
Q.
저출산이 심각하다고 하는데요 효과적인 저출산 방지대책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책으로는 젊은 층의 자립 지원 및 결혼을 촉진 시키는 것이 중요하겠구요 젊은 층의 자립에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서 주택난과 도시 지역에서 저렴하고 양질의 임대주택 사업 또한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출산 기피도 줄여야하고요 그리고 가정의 출산 및 육아 부담과 비용을 줄이는 것이 저출산을 억제하기 위한 중요한 대책이이라 보여집니다.
501
502
503
504
5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