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오수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전문가입니다.
오수진 전문가
아동복지학과 가정교육교원자격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2월 26일 작성 됨
Q.
아이들 밥 안먹으면 그냥 치우시나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아 많이 힘드시겠습니다.아이가 밥을 안 먹을 때 따라다니며 먹여주는 행동은 아이에게 좋지 않은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이므로 바른 방법은 아닙니다.최대한 간식을 멀리 해주시고 밥을 먹는 시간에 아이가 오지 않을 경우 지금은 밥 먹는 시간이야 다른 사람들이 다 먹을 때까지도 오지 않으면 00이는 밥을 먹을 수 없어 (아이가 오지 않았을 때 엄마가 취할 행동이 무엇인지 말해주어야 합니다)밥을 먹는 시간과 먹지 않는 시간을 구분하여 단호하게 이야기해주세요 당장은 힘드시겠지만 아이를 위해 중간중간 간식을 주시는 것을 참아주세요 간식을 먹으면 당연히 밥 맛이 없어지고 배고픔이 있어야 밥을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밥 먹기 전 공복 3~4시간을 꼭 지켜주시길 바랍니다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유아교육
2023년 2월 26일 작성 됨
Q.
온라인 수업이 유아의 교육에 미칠 영향은?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코로나로 인해 온라인수업이 시작되었죠 가장 큰 장점으로는 감염 걱정 없이 원하는 시간에 학습할 수 있는 점이겠지만 큰 단점으로는 집중력이 떨어지고 학습 중 인터넷 검색이나 게임을 하게 돼 학습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또한 유아의 경우 시각적인 부분에서 자극을 받기에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겠지만 책의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지 않을까 싶습니다.규칙적인 온라인 교육 시간과 미디어가 아닌 활동적인 교육 시간이 병행하여 적절하게 이뤄진다면 교육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2월 26일 작성 됨
Q.
유치원이나 어린이집보내면 기저귀도 갈아주나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3살은 배변훈련 또한 활동에 들어가므로 기저귀영역이 따로 되어있어 교사가 도와줍니다.아이에 발달에 따라 배변훈련이 빨리 이루어지거나 늦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요아이에 발달에 맞춰 교사와 함께 상담하신다면 배변훈련이 원활하게 이뤄질 것입니다.
놀이
2023년 2월 26일 작성 됨
Q.
아기들에게 왜 촉감놀이가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촉감놀이는 자연스럽게 인지능력이 발달하고, 손을 뻗고, 담고 쏟고, 쥐는 등 다양한 동작을 하며 활발한 신체발달도 이룰 뿐만아니라 부드러운 촉감 자극으로 인해 아이의 심박수를 낮춰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수면의 질을 높이는 효과도 있습니다.아이의 성향에 따라 적절한 촉감놀이는 두뇌발달에 더할나위없이 좋습니다. 엄마표 촉감놀이를 통해 아이에게 여러 경험들을 제공해주는 것도 좋겠지만 아이에게 특별한 촉감놀이가 아닌 자연스러운 환경에서부터 시작이 되어도 좋습니다.굳이 촉감놀이를 안해준다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는 보고 만지는 것에서 부터 촉감놀이는 시작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
놀이
2023년 2월 9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과자를 먹이 듯이 밥 먹이는 방법에 대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식사에 대한 원칙을 세우고 지키시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아이가 강한 배고픔을 느낄 수 있도록 4시간 간격으로 식사 간격을 유지하고 다른 간식이나 우유 주스 등은 일체 주지 않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아이에게 음식을 조금만 주고 더 먹을 것인지 물어보고 아이욕심에 음식량에 미리 질리지 않도록 도와줍니다.부모 욕심에 식사 시간을 길게 잡으면 힘듭니다. 길어도 20분에서 30분이 넘지 않도록 지켜주시고 길게 먹이면 조금 더 먹일 수 있지만 다음 식사 때 먹는 양이 줄게 됩니다. 그리고 다 먹은 후에는 다 먹었다 라는 말보다는 배부르다 라는 말을 해서 아이가 배부름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식사시간에는 티비를 보지 않기, 음식을 상이나 애정표현으로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사탕 쿠키 등 단 음식을 단순히 음식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부모와 친구의 관심이나 사랑으로 받아들이게 되면 더욱 단것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이러한 원칙을 정하셔서 적용하시고 반찬 또한 아이 입맛에 맞게 조리하여 주신다면아이가 군것질 먹을 때 행복한 마음이 밥을 먹을 때 나타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511
512
513
514
5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