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누진으로 인한 화재는 어떻게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없이는 생활하는데 많은 불편이 따르죠.화재 및 감전 위험성도 한편으로 존재하기도 하고요.생활하다보면 누전차단기가 내려가는데.내려가는 원인에는 크게 아래와 같다. 가.정격용량 이상의 전기사용을 할경우나.전선과 습기가 만났을때다.훼손되어진 전선과 다른 전선 및 금속류가 만났을경우라.콘센트에 꼽혀져 있는 가전제품 내부의 원인에 의한 경우마.기타등등 위와같은 원인에 의해누전차단기가 내려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건물 내부의 벽체와 천정으로 인입되어져 있는전선의 훼손에 의한 누전일경우에는일반 소비자분이 원인을 찾기에는 매우 어려운편에 속하다 보니전기 전문가를 부르심이 좋을듯 싶고요. 노출되어져 있는 부위로의 누전차단일경우에는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대략적으로 누전의 원인을 찾을수 있네요. 누전차단기가 내려간 상태에서 1.건물내부에 있는 콘센트에 꼽혀져 있는 모든 플러그를 뽑는다.2.건물내부에 있는 전등스위치를 모든 OFF 시킨다.3.누전차단기를 올린다. 누전차단기가 내려갈경우에는벽체 및 기타 천정부위에 인입되어져 있는전선의 문제로 인하여 전기 전문가에 의뢰한다. 위와같은 과정을 지나서누전차단기가 내려가지 않을경우에는 4.가전제품의 플러그를 하나씩 콘센트에 꽂는다.5.전등스위치를 하나씩 작동시킨다. 이와같은 방법을 하나씩 적용하다가누전 차단기가 떨어질 경우에는누전 차단기를 작동시키는원인이 무엇인가를 살펴본다. 위와같은 방법을 적용할경우에는누전되어지는 원인을 쉽게 찾을수도 있네요.
Q.  과학에서 복잡계라는게 무슨 영역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인이 생각하는 ‘복잡하다’라는 단어는 ‘어렵다’와 같은 의미를 쓰이고 있지만 이는 이해하는 순간 복잡하지 않게 되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과학에서의 복잡계란 이해하였다고 하여 복잡성(complexity)이 사라지는 건 아니다. 수많은 구성 요소들과 그들이 강하게 영향을 주고받는 상태를 복잡계라 부른다.
Q.  누진과 지락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3상 line 중에서 하나의 선이 대지와 접촉하여 지락이 발생했을때 그 선에 흐르는 전류를 뜻합니다.누설전류 :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도체에 절연물질로 도체를 감싸 절연을 합니다 그런데 이 절연물은 전류를 완전히 차단할 수 없으며 절연물을 통해 미세한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전류를 누설전류라고 합니다 ​누전전류 : 누전은 전기가 새는것을 말합니다 누전은 절연된 피복이 손상되었거나 도체 부분이 다른 금속과 혼촉한 경우, 습기나 물기로 인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길이 생겨 흐르는 전류를 말합니다 ​지락전류 : 지락은 땅과 연결(대지와 혼촉, 또는 접지선과 혼촉)되어 흐르는 전류를 말합니다전기는 3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이 상에 흐르는 전류가 대지와 연결된 접지선과 혼촉하거나 직접 땅과혼촉되어 흐르는 전류를 지락전류라고 합니다
Q.  꽃들이 계절이 달라짐에 따라 피어나는 꽃들도 바뀌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 개나리, 진달래, 벚꽃, 산수유, 목련, 매화, 앵두, 복숭아, 배, 사과등 유실수는 모두 봄에 꽃이 피고요, 봄에 피는 야생화로는 바람꽃, 노루귀, 할미꽃, 처녀치마, 민들레, 얼레지, 산자고, 복수초, 광대나물, 현호색, 홀아비꽃대, 애기똥풀, 제비꽃, 금붓꽃, 은방울꽃, 깽갱이풀, 앵초, 금낭화 등 여름다음으로 많은 꽃이 핀답니다.여름 -- 다알리아, 해바라기, 옥잠화, 초롱꽃, 해당화, 하늘나리, 솜다리, 짚신나물, 칡, 잔대, 감자꽃, 양지꽃, 접시꽃, 약모밀, 뻐꾹나리, 고들빼기, 장미, 타래난, 돌나물, 동자꽃, 꿀풀, 산딸나무, 구상나무, 물봉선, 며느리밥풀, 금매화, 금꿩의 다리, 나팔꽃, 물매화, 하늘타리, 연꽃, 제비동자꽃, 분홍바늘꽃, 거북꼬리, 오이풀 등 여름에 피는 꽃이 제일 많아요.가을 -- 석산, 산국, 개미취, 쑥부쟁이, 용담, 구절초, 감국, 코스모스, 메밀꽃, 미역취, 금불초, 둥근바위솔, 미역취, 수리취, 개연꽃, 나도승마 등은 9월에 피고 송악, 야고, 억새, 팔손이등은 10월에 핀답니다.겨울 -- 동백, 풍년화, 영춘화, 미선나무, 생강나무, 올개불나무, 갯버들, 오리나무, 절분초, 봄까치꽃,등은 2월에서 3월초에 피는 꽃으로 조금 추울때 피기 때문에 겨울에 피는 꽃으로 생각했습니다. 한겨울 온실외에는 피는 꽃이 없는것 같습니다.
Q.  생물중에 암수가 없는동물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암수 구별이 없는 동물을 자웅동체라고 부릅니다. 중3과정에서 배우게 되는데요.. 이것들을 예로 들자면 지렁이, 달팽이, 플라나리아 등을 대표적으로 들수 있습니다.. 이것들은 두마리가 교배해서 새끼를 낳기도 하고, 한마리 스스로 정자를 난자에 이동시켜 알을 품어서 내뿜(?)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두마리가 교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지렁이, 달팽이, 플라나리아 등등등등등,,,-0-을 대표적으로 들수 있습니다..+_+이것들은 두마리가 교배해서 새끼를 낳기도 하고, 한마리 스스로 정자를 난자에 이동시켜 알을 품어서 내뿜(?)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두마리가 교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욤 -_ - ; 연ㅊ ㅔ동물이 대표에요 -0 - 몸이 흐물흐물 -0 -; ;
1311321331341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