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아이스크림 베스×라빈× 파인트를 방금 다 먹었는데 왜 배가 안 부를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마다 다른데 아이스크림도 유제품이라우유가 들어가서 그런지 저는 많이 먹으니입 달고 배부르더라고요 ^^; 참고하세요 ​
Q.  은하수란 무엇인가요? 어떻게 해서 생기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은하수(銀河水, the Milky way)는 지구(태양계)에서 관측하는 우리 은하의 모습으로, 밤하늘의 천구에 투영된 우리 은하의 단면이 마치 은빛 강처럼 보이는 데서 유래한 전통적인 명칭이다. 은하수의 별은 대부분 우리 은하 내부의 별로, 우리 은하 밖에 있는 별은 관측하기 어렵다.흔히 말하는 은하수는 전갈자리와 궁수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한밤중에 잘 보이는 위치는 봄에는 북쪽, 여름에는 북동에서 남쪽, 가을에는 동서, 겨울에는 북서에서 남동으로, 계절마다 변한다. 북반구 기준으로 여름철에 보이는 은하수가 가장 밝고 두터우며, 겨울철이 가장 어둡고 얇은데, 그 이유는 여름철 밤에는 우리 은하의 중심부를 바라보게 되고 겨울철 밤엔 은하의 바깥부분을 바라보게 되기 때문이다.[1]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우리 은하 중심부에 뜨거운 가스와 성간 구름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은하수를 관측하려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관측에 영향을 주는 것들은 모조리 피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빛공해가 없어야 하며 달이 뜨지 않아야 한다. 달은 보름달일 때 겉보기 등급이 무려 -12.6이나 되므로 달이 거의 없거나 아예 뜨지 않아야 한다.[2] 미세먼지와 습도 역시 일정이상 수치를 넘어가면 은하수 관측은 물건너 간 것이라 생각해야 한다.특히 도심에서 은하수의 모습을 맨 눈으로 관측하기란 거의 불가능한데,[3] 수많은 야간 조명 때문에 빛공해로 은하수의 빛이 묻혀버리는데다 미세먼지까지 타지역에 비해 많기 때문이다. 정 쉽게 보고싶다면 황사 속에서도 은하수를 찾게해주는 야간투시경을 쓰면 된다.[4]수도권에 살고 있다면 평소에 맨 눈으로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90년도 이후에는 하지 않지만, 민방위 등화관제 훈련 당시에 서울시 전역의 등화가 모두 꺼진 적이 몇 번 있는데, 1970년대 말에 했었던 대규모 등화관제 훈련 때[5] 은하수를 볼 수도 있었다.90년대에 로스앤젤레스에서 한 번 대규모 정전이 있었는데, 사람들이 은하수를 보고는 "하늘에 이상한 구름이 보인다"며 신고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동안 광공해 때문에 한 번도 은하수를 본 적 없었던 것이다.일반인들에게는 한 번쯤 보고 싶을 낭만적인 풍경인 반면 천문학자들에게는 극복할 수 없는 고민거리이다. 하필 태양계가 우리 은하 원반 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은하 나선팔 중 하나가 태양계 밖을 도는 탓에, 천구의 특정 구역이 일년 내내 은하수의 광공해에 가려져 먼 곳을 관측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이다. 지구 어느 각도에서도 관측할 수 없는 이 사각 안에 있을 수십 만개 이상의 은하들은 그저 질량 정도만을 예측할 수 있을 뿐이다.궁수자리 인근에 은하의 중심인 Sgr A*이라는 이름의 초대질량 블랙홀이 숨어 있다.
Q.  우리나라 누리호는 만드는데 비용이?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누리호 발사비용 누리호 개발에 10년간 총 2조 들어간건 아는데 1회 발사비용이 얼마죠? 팰컨9은 1100억정도되는데(재활용안했을때?)​김승조 항공우주연구원장은 차후 세계 발사체 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해서는 발사 비용으로 200~300억원이 적당하다고 하며, 따라서 한국형발사체의 양산가를 150~200억원 수준으로 맞춰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누리호 발사비용은 정확히 공개되진 않았지만 몇백억 수준이라고 보심 됩니다.
Q.  생명체마다 수명이 다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의 몸집이 작으면 부피당 손실되는 체온의 손실양이 많아지게되는데 몸집이 작으면 작을수록 신진대사률도 높아지고 심박동수도 높아진다고합니다. 근데 이러한 심장박동수가 수명에 밀접한 연관이있는데 종에따른 평균적인 평생의 심장박동수가 정해져있다고합니다 분당 심장박동수가 빠르면 빠를수록 빨리 죽을확률이 높다고하네요 심박수사 빠른것은 신체가 에너지소모를 많이 하는데 그만큼 심장에 무리가 갈수있고 혈관에 영향이갈수있어 수명에 밀접한연관이있다고합니다 실제 100년 도 넘게사는 거북이같은경우도 분당 심박수가 낮다고해요. (다른동물들도 마찬가지)종에따른 평균심박수가 어느정도 정해져있다고해서 같은종인 모든생명체가 심장박동수가 같은게아니고 분당 심장박동수도 다다르니 생명체마다 수명이다 다른것같습니다 초반부에도 말했듯 영어지문에서 읽고 제기억나는대로 끄적인것이니 부정확할 확률이 매우높습니다
Q.  차로 지나가다보면 이상한 소리나는 도로가 있던데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멜로디도로가 있습니다 운전자가 혹시나 졸움운전을 할까봐 바퀴가 돌아가면 소움울 이용해 멜로디로 맨든겁니다
1311321331341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