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변압기로 승압을 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변압기의 원리를 이해하면 쉽게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변압기의 원리는 전자기 유도작용을 이용하는것으로 1차권선의 전압을 가하면 2차측 권선에 전압이 유기되어 2차측에 전압이 발생하게 됩니다​즉 1차 권선(N1)을 감고 2차 권선(N2)를 감고 1차 권선에 주파수와 전압을 인가하면 철심내에서교번자속이 발생하고 이 교번자속에 의해 2차 권선에 전압이 유기되는 원리입니다 ​이때 2차 권선에는 권선의 감은 수에 비례하여 전압이 유기되는데강압용 변압기인 경우는 1차권선 권수를 많이 감고 2차를 적게 감고승압용 변압기인 경우는 1차를 적게 감고 2차를 많이 감습니다​즉 전압은 권선수에 따라 비례합니다 ​
Q.  클래식음악, 피아노 같은 음악이 집중력을 올려준다는데 과학적으로 입증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1)긴장감 해소, 마음안정 바하 '환상곡과 푸가' g단조 BWV-542'토가타와 푸가' BWV-565'푸가' g단조 BWV-578'미사 Masses' b단조 BWV-232모짜르트 현악 4중주곡 '불협화음' 제19번 C장조 K.465'레퀴엠' d단조 k.626베토벤 장엄미사곡 D장조 op.123슈베르트 '실짜는 크레에트헨'멘델스존 교향곡 제5번 D장조 '종교개혁 Reformation' op.107쇼팽 피아노곡 '스케르쪼 Scherzo' 제1번 b단조 op.20베르디 '레퀴엠'생상스 교향시 '죽음의 무도 Dance macabre' op.40부르흐 환상곡 '콜 니드라이' 제1부포레 '레퀴엠'바르토크 현악기, 타악기, 첼레스타를 위한 음악 제1악장스트라빈스키 무용 모음곡 '불새 L'Oiseau de feu' 제1악장비발디 플루트 협주곡 제1번 D장조 '홍방울새 Il Gardelino'헨델 합주 협주곡 제2번 F장조 op.6-2바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5번 D장조 BWV-1050관현악 모음곡 제3번 D장조 중 제2곡 'G선상의 아리아' BWV-1068슈베르트 교향곡 제8번 b단조 '미완성 Unfinished' D.849부르크너 교향곡 제9번 d단조 제3악장스메타나 교향시 '몰다우 Vltava'교향시 '보헤미아의 목장과 숲에서 Z ceskych luhu a haju'요한 시트라우스 왈츠 '비인 숲속의 이야기 Geschichten aus dem Wienerwald' op.325브라암스 클라리넷 5중주곡 b단조 op.115차이코프스키 발레 모음곡 '백조의 호수 The Swan Lake' op.20드뷔시 교향시 '바다' 전주곡 제2집 '물의 요정'라벨 피아노곡'거울 Miroirs' 중 '대양 위의 작은 배 Une barque sur L'ocean'피아노곡 '물의 유희' 2)집중력향상 1. 알바노니-아다지오 G장조2. 파헬벨-캐논 D장조3. 바하-G선상의 아리아4. 헨델-사라방드5. 바하-브란덴부르크 협주곡 3번 1악장 6. 바하-토카타 D단조7. 바하-플루트, 바이올린, 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 3악장8. 헨델-라르고9. 바하-하프시코드 협주곡 5번 F단조 1악장10. 비발디-플루트 협주곡 C단조 1악장11. 바하-2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1악장12. 헨델-수상음악 중 알라 혼파이프 13. 퍼셀-트럼펫 독주 3)잠깨는 음악 요한슈트라우스1세ㅡ 슈베르트ㅡ아마 잠깨는건 클래식보다 팝종류나 댄스류가 좀더 활발하게 될듯.. 4)쉴때 좋은 음악(이건 제가 주로 듣는 음악입니다) 베토벤 피아노소나타 제 17번 템페스트 제 3악장 알레그레토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제1번 제4악장 알레그로 마르치알레바흐 영국모음곡 제6번 전주곡드보르작 피아노 협주곡 작품 33 제2악장 안단테 소스테누토베토벤 피아노소나타 제23번 열정 제1악장 알레그로 아사이슈베르트 5중주곡 송어 제1악장 알레그로비바체 더 추천해 드릴것이 있다면쇼팽 에튀드도 괜찮은 곡 많구요(전부 피아노 곡입니다.)리스트의 헝가리안 랩소디나 메피스토왈츠도 좋습니다.라흐마니노프 피아노협주곡도 괜찮을 듯 싶어요.(다 주옥같은 명곡들이죠..)
Q.  연어과 어류에서 볼수 있은 회기본능은 어떤 기전으로 이루어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회귀본능은 귀소본능과 비슷한 뜻이구요.거의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먼저 네이버 백과사전에 있는 귀소본능에 대한 뜻입니다.동물이 자신의 서식장소나 산란, 육아를 하던 곳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경우, 다시 그 곳으로 되돌아 오는 성질로 귀소성, 회귀성이라고도 한다. 이는 학습되기도 하며 위치 기억이나 후각 기억으로 행하여진다. 귀소성(歸巢性) ·회귀성(回歸性)이라고도 한다. 해안의 바위에 붙어 사는 패류의 어떤 종류는 낮에는 여기저기로 이동하나 저녁이 되면 일정한 바위 그늘로 같은 개체가 되돌아오는 것이 있다. 꿀벌이 꽃의 꿀을 따려고 날아간 다음 집을 옮기면 본래 집이 있던 곳에 떼지어 모인다. 이것은 집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위치를 기억하고 있었음을 표시한다. 비둘기도 집을 중심으로 귀소를 학습시키고 점차 그 반지름을 넓혀나가면, 매우 먼 곳에서도 되돌아오는데, 이것은 학습과 귀소성이 함께 작용한 것이다. 연어나 송어는 태어난 곳에서 가까운 해변으로 오게 되면 강물에 포함된 물질로 후각이 자극되고, 그 기억에 의하여 태어난 곳뿐만 아니라 부화지까지도 찾을 수가 있다. 꿀벌 ·비둘기 ·연어 ·송어 등의 대이동은 태양컴퍼스라 하여 태양의 위치 ·이동을 목표로 행하여진다. 다음으로 회귀본능과 귀소본능의 차이점입니다. 회귀본능동물 특히 어류 따위가 태어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성장한 뒤, 산란(産卵)을 위하여 태어난 곳으로 다시 되돌아오는 습성 귀소본능동물이 자기 서식처나 둥지 혹은 태어난 장소로 되돌아오는 성질 또는 능력. 꿀벌·개미·비둘기·제비 등에서 볼 수 있음 라고 되어있습니다만, 사실 큰 차이는 없는 말입니다.다만 경우에 따라 달리 쓰이기도 하는데,동물은 본능적으로 자신의 집을 중심으로 조금씩 활동범위를 넓혀갑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멀리까지 나아갔더라도 집의 위치를 항상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 라도 되돌아갈 수가 있는 겁니다.출퇴근 비슷한 거죠. 흔히들 이것을 귀소본능이라고 씁니다. 한자로도 '둥지로 돌아가다' 라는 뜻이니까 둥지나 집이 있는 동물들에게 쓰기에 더욱 적합하겠죠.그리고 회귀성을 설명할 때는 자주 연어가 등장하는데,연어는 부화한 뒤, 넓은 바다에서 생활하게 되는데 신기하게도 산란 시기가 되면 고향을 찾아가듯 먼 거리를 다시 헤엄쳐 자신이 태어난 곳으로 돌아가 알을 낳습니다.아시다피시 어류는 딱히 집을 짓고 사는 동물이 아니므로 귀소본능이라기 보다는 회귀본능이라고 쓰는 게 더 자연스러워보일지 모르겠습니다.이렇게 굳이 구분하는 건 제가 생각하기에도 억지같지만,아무튼 귀소성, 회귀성 모두 쓰기 나름입니다. 뜻이 크게 다른 말이 아닙니다.
Q.  만유인력의 법칙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과 만유인력은 모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지만, 중력은 지구와 물체 사이의 만유인력에 지구 자전으로 인한 원심력의 합한 힘을 말합니다. 만유인력은 모든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끌어당기는 힘을 말합니다. 중력은 지구와 물체 사이의 만유인력에 지구 자전으로 인한 원심력의 합한 힘을 말합니다.
Q.  나이가 들어 노안이 와서 테블릿을 사용하는데?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제가 옛날에 쓰던 태블릿 4살에서 11살까지 썼거든요?그래서 수명을 %라고 치면 100%에서10%밖에 없었다고 하네요 약 7.8년 같습니다
1511521531541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