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방사능에 피폭이되면 왜 암에 걸리고 한동안 고통없이 눈치를 못채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방사선 피폭은 전염되는게 아닙니다. 방사성물질이 누군가의 몸에 묻어서 다른 사람과 접촉으로 그 사람한테도 물질이 묻을 수는 있어도​한 사람이 피폭되었다고 그 사람에 의해 다른 사람도 피폭되는게 아닙니다.
Q.  세계최초로 지어졌던 아파트는 어디일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세계 최초 아파트 유래서구의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를 거쳐 산업혁명 시기에 노동자를 위한 타운하우스가 일반화되면서 19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중산계층의 도시주택으로 성행했다. 그러나 택지난과 과밀화 등의 이유로 주택의 규모가 작아지고 도시가 혼잡해 지면서 19세기 중반부터 타운하우스에 대한 중산층의 선호가 식어갔고 대신 이들은 도심을 떠나서 이주하기를 시작했다. 즉 과밀화되고 복잡한 도심을 떠나서 전원에서의 쾌적한 생활을 추구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영국에서 처음 시작되어 이후 각국으로 전파되었으며, 영국과 미국에서 가장 성행했다. 타운하우스에 대한 선호가 쇠퇴하면서 중상계층의 주거는 영국의 경우에는 교외의 단독 주택이, 그리고 프랑스와 독일에서는교외의 주택과 더블어 도심에서는 중층 아파트가 일반화 되었다.아파트의 역사는 무려 기원전 3~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고대로마의 영토가 확장되면서 수도였던 로마는 한정된 면적에 많은 거주민들을 끌어안게 됩니다. 여기서 등장한 것이 바로, ‘Insula(인술라, 라틴어로 섬이라는 뜻)’. 오늘날의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입니다.‘그래봐야 옛날인데 얼마나 높게 지었겠어~’ 라고 생각하셨나요? 놀라지마세요! 3층짜리 인술라가 흔해지고 사람들은 점점 더 높은 인술라를 짓기 시작했고, 급기야 초대황제였던 아우구스투스는 70로마피트(20.7m), 네로황제 때는 60로마피트(17.75m) 이상 짓지 못하게 했을 정도로 꽤나 높은 아파트를 지었었다고 합니다. 로마 대화재 이후에는 로마시의 인술라 수가 무려 50,000채나 되었을 정도로 많았습니다.인술라는 기둥이 없이 벽돌을 차곡차곡 쌓아서 만든 벽이 건물무게를 지탱하는 형식이라 높이 쌓으면 쌓을수록 무너질 확률이 높아 위험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층으로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층고가 낮은 형태로 지었다고 하네요.당시의 펌프시설로는 저층에만 물을 공급할 수 있었으므로 고층 거주자들은 공공수도와 공공 위생시설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현재와는 다르게 인술라에서는 저층이 더 인기가 많았다고 합니다^^; 서기 200년, 로마의 멸망 이후 인구가 점차 줄게 되자 인술라의 높이는 낮아지고 로마후기에 가면 인구가 줄어 인술라 같은 대형공동주택이 필요 없게 되었다고 합니다.
Q.  야구공의 회전수가 공 속도를 증가시켜주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공의 회전수는 직구, 변화구별로 미치는 영향이 상이합니다. 직구(포심패스트볼) 얼마전에 언론에 오승환의 직구가 1초당 57회전을 한다는 기사가 난적이 있습니다. 물론 국내최고수준입니다. 직구는 던질때 "역회전"을 주게되는데, 이러한 회전수가 많을수록 당연히 볼끝과 무브먼트가 좋아지기때문에 회전수가 많을수록 구위가 좋아집니다. 알고도 못친다는 오승환의 묵직한 직구의 비밀은 바로 이러한 높은 회전수에 비밀이 있다는것이 해당 기사의 요지이고, 그렇게 높은 회전수를 주는 비결은 오승환만이 할수 있는 "독특한 그립"에 있다고 할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투수들이 손바닥에 공을 밀착시켜 직구를 던지는 반면에 오승환은 엄지로 받치고 검지오 중지 두 손가락으로 볼을 찍어던지기때문에 회전수가 높은것인데, 엄청난 악력이 동반되지 않으면 던지기 힘든것이 바로 오승환표 직구입니다. 변화구 커브나 슬라이더 같은 정회전 변화구도 역시 회전수가 많을수록 공의 변화가 심해지기때문에 회전수가 높은것이 유리합니다. 쉽게 얘기해서 회전수가 많을수록 타자 근처에서 꺾이는 각이 커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포크볼이나 체인지업, 스플리터 계열의 "무회전" 변화구는 회전자체를 주지않고 던지는 구종이므로 회전수가 의미가 없습니다. 완벽한 무회전계열 변화구는 바로 너클볼인데 구속이 100킬로를 넘지 못하지만 공이 춤을 추듯이 날라오기때문에 가장 변화가 심한 변화구로 21세기 최후츼 마구로 불리기도 합니다.
Q.  앙투안 라부아지에(Antoine Lavoisier)의 업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앙투안 라부아지(Antoine Lavoisier, 1743-1794)는 프랑스의 화학자이며, 현대 화학의 아버지로 불리우는 인물 중 한 명입니다. 그는 현재의 화학 용어와 개념을 정립하고, 화학 실험의 기초를 마련해 현대 화학 연구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라부아지는 산소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연구하면서, 산소가 화염을 일으키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물질의 연소와 산화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화학 반응이 물질의 구성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는 원리를 제시하였고, 이것이 현대 화학의 기초가 되었습니다.​또한 라부아지는 화학 실험에서 무게의 보존 법칙을 제시하였으며,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물의 분해에 대한 실험을 통해 물 분해의 기초를 제시하였습니다. 이 밖에도 탄소와 질소의 화학적 성질, 기체의 상태와 반응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그러나 프랑스 대혁명 기간에 혁명 정부에 반대하는 활동을 하다가 처형되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연구는 그 뒤로도 계속 연구의 기초가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화학 연구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Q.  땅꺼짐 현상이라는 싱크홀은 왜 발생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남아프리카공화국의 킴벌리시는 인간의 다이아몬드 채취가 무분별하게 이뤄져서 ​만들어진 인위적 요인의 싱크홀이고​멕시코 세노테의 경우는 카르스트 지형에서 석회암이 오랜시간에 걸쳐 녹아 만들어진​자연적 요인의 싱크홀,,돌리네 또는 우발라 처럼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틀릴 수도 있으니 유의하세요
1961971981992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