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자레인지에 금속을 넣으면 안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에 금속성 물질을 넣었을 때 스파크가 튀는 현상은 전자의 움직임으로 발생합니다.전자레인지에서 나오는 마이크로파는 일종의 전자기파로(더욱더 간단하게 말하자면 빛), 금속에 닿을 경우, 해당 금속에 흡수되어 자유전자들을 진동시킵니다.(여기서 말하는 자유전자 덕분에 금속은 도선의 재료로 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유 전자 덕분에 전류가 흐를 수 있어서 말이죠.)그럼 아주 국소적이나마 전류가 형성이 되는데, 이로 인해서 열이 발생합니다.전류로 열이 발생하는 현상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대표적인 예로는 물을 끓이는 전기포트나 전기장판이 이에 해당합니다.알루미늄 호일이 얇은 박막으로 된 녀석인 관계로 불꽃이 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반대로 매우 두꺼운 철덩어리(모양이 울퉁불퉁하지 않은)를 쓴다면 이야기가 조금 달라지는데요.금속이 두꺼우면 전기저항이 낮아져 전류가 흘러도 열이 적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생겨난 열도 금방 금속 전체로 전달되어 식을 수 있습니다.앞서 말했다시피 호일은 매우 얇은 관계로, 저항이 높은데다가 달궈진 부분의 열을 전체로 퍼트리기도 전에 온도가 높게 치솟습니다. 게다가 쿠킹호일이 우그러져 있어 모양이 울퉁불퉁하면 국소적으로 한쪽에 전자가 치우치게 됩니다. 일종의 + 전극과 -전극이 형성되며, 한계를 넘어서 대전될 경우 아크 방전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금속재질 포크나 숟가락도 전자레인지에 넣어선 안되는 이유기도 하죠.)자연에서도 비슷한 방전 현상을 볼 수 있는데, 그 현상을 우리들은 '번개친다'고 하죠.쿠킹호일에 전류가 흐르든 아크 방전이 터지든, 고열을 동반하므로 상당히 위험하며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어디에도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