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대기권과 상층권의 온도차이는 왜 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대기권은 지구 표면 부터 시작해서 약 1000KM에 이르는 대기층을 말합니다. 대기권은 4개로 나눌수가 있는데 가장 아래부터 대기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뉘어 집니다. 온도가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것을 경계로 대기권을 나누죠. 그래서 대기권에서 온도가 변하는 3개의 계면이 있고요. 대기권은 위로 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집니다. 중력 때문이죠. 그 다음 대류권 부터 설명을 하겠습니다. 대류권은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대기층 입니다. 이유는 위로 갈수록 태양 복사 에너지(=지구복사에너지)가 적어져 위로 올라갈 수록 춥죠. 높은 산에 만년설이 덮히는 것이 그 이유때문입니다. 또 수증기가 있어 기상현상이 일어나고요. 대류현상도 일어납니다. 다음은 성층권에 대해 설명들어가겠습니다. 성층권은 위로 올라갈 수록 기온이 높아집니다. 그 이유는 오존층의 존재 때문인데요. 오존층은 태양으로부터오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생명체들을 보호합니다. 하지만 요즘 냉장고나 각종 스프레이 사용으로 오전층이 뚫리기 시작하죠. 아무튼 오존층이 태양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지구에 존재하는 생명체가 살수 있고 그 때문에 성층권은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높아집니다. 또 기상현상이 없어 비행기가 다니는 대기층이죠. 다음은 중간권입니다. 여기서 다시 기온이 떨어집니다. 대류권 처럼요. 그리고 여기서 유성이보입니다.(열권에서 보인다는 내용도 있습니다만...) 그다음은 열권인데요. 열권은 태양열을 그대로 직빵으로 받기 때문에 위로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집니다. 또 여기서 오로라가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