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엘니뇨가 발생하면 지구에서 가장 더워지는 지역이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라리냐는 적도 무역풍이 강해지면서 서태평양의 해수온도 상승으로 동태평양에서 저수온 현상이 일어나는 해류의 이변현상.라니냐는 에스파냐어로 ''여자아이''라는 뜻이다. 엘니뇨의 반대현상으로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5개월 이상 평년보다 0.5도 이상 낮아지는 경우를 말한다. 이 현상이 발생하면 원래 찬 동태평양의 바닷물은 더욱 차가워져 서진하게 된다.따라서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동남아시아에는 격심한 장마가, 페루 등 남아메리카에는 가뭄이, 그리고 북아메리카에는 강추위가 찾아올 수 있다. 그런 현재까지 이 현상의 발생과정, 활동주기, 기상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뚜렷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기상청에 따르면 라니냐가 발생한 1967년과 1973년 한반도의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1.1~2.2도 낮았으며, 강수량도 40.3~65.7mm가 적고 춥고 건조한 날씨이었다고 한다. 지금까지 한반도에 라니냐가 발생한 것은 다섯 차례였다. 이것은 한류가 강해서 발생하는것이기 때문에 페루해류의 해류 온도가 평균적으로 낮으면알 수 있지만 이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예측하기 힘들고 따라서 현재로서는 특별한 대책도없는 듯 합니다.고대 페루의 나스카 문명도 라리냐현상 때문에 쇠퇴했다고도 합니다. 라리냐와 쌍을 이루는 엘리뇨 현상을 같이 소개한 글을 담아 왔으니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엘리뇨1,2정의 및 특징 :동태평양을 비롯해서 중태평양에 이르는 넓은 범위에 걸쳐 비정상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온도 분포는 보통 서부가 고온이고, 동부 연안에서는 남쪽으로부터 한류(寒流)인 페루해류가 흘러 들어와서 저온이다. 또 중부에서 동부의 적도역에서는 용승이라고 불리는 현상에 의하여 찬물이 솟아올라 북쪽이나 남쪽에 비해 저온 상태를 유지한다. 열대 태평양에 있어서의 바람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불므로 따뜻한 물층의 두께는 서부에서 두껍고, 동부에서 얇다. 해면 수위도 동부보다 서부 쪽이 높다. 그런데 이 무역풍이 어떤 원인으로 인해 약해지게 되면 서부의 따뜻한 물층은 보통 때보다 얇아지고, 동부의 따뜻한 물층은 보통 때보다 두꺼워진다. 이 때문에 용승이 약화되어 중부에서 동부의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온도는 평년보다 높아진다. 이로 인해 서태평양 쪽 지역에서는 평소보다 비가 적게 내려 가뭄을 겪게 되고, 동태평양 쪽 지역에서는 많은 비가 내리는 등 이상기상 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 의해 무역풍이 약해지는가 하는 것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현재도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3. 발생지역 :모든 지역에 발생한다. 4. 피해사례 : 이상 기후가 발생한다. 위에서 말한것 처럼 서태평양 지역은 비가 적게 내려 가뭄을 겪게 되고, 동태평양 쪽 지역에는 많은 비가 내린다. 그 밖에도 2006년 12월 쯤 여름인데도 호주에는 눈이 내린 사례, 허리케인이나 태풍이 많이 발생하는 것등 5.예보와 피해 줄이는 방법 :엘리뇨는 남동무역풍이 약해야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고 페루연안이 온도가 높아지면 엘리뇨가 발생하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피해를 줄이려면 일단은 우리는 남동무역풍이 적당히 불어줘야 합니다. 그렇지만 이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죠. 페루 연안 온도를 높지 않게 하는 이상은요. 그니까 온도를 높이지 않기 위해 co2를 규제 해야할겁니다. 라니냐1,2 정의 및 특징엘니뇨와 반대 현상으로 열대 동태평양과 중태평양의 해수면온도가 오히려 낮아질 때를 말한다. 적도무역풍이 강해지면서 열대 서태평양의 해수면온도가 보통 때보다 올라가는 반면, 원래 차가운 열대 동태평양에서는 찬물의 용승이 활발하여 더욱 차가워진다. 보통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온도의 5개월 이동평균이 6개월 이상 평년보다 0.4 ℃ 이상 낮아질 때를 말한다. 따라서 인도네시아·필리핀 등의 극심한 다우가, 페루 등 남아메리카에는 가뭄이, 그리고 북아메리카에는 강추위가 찾아오기도 한다. 그러나 이 현상 역시 발생 과정·활동 주기·기상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아직 뚜렷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3.발생지역엘리뇨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발생한다. 4.피해사례위에 말 처럼 인도네시아나 필리핀에 다우와 페루와같은 지역엔 가뭄이 발생합니다. 5.예보와 피해 줄이는 방법이건 한류가 강해서 발생하는것이기 때문에 페루해류의 해류 온도가 평균적으로 낮으면알수 지만 이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예측하기는 힘듭니다.
Q.  전동 퀵보드 배터리가 과충전으로 인해서 터질 경우 과학적으로 설명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1번째 배터리는 폭발할까요? 내 폭발합니다 이유는 = 1번째 배터리는 증류수가 혼합된 화학물질입니다쉽게 설명드리겟습니다 우선 베터리가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게 됨니다이때 발생하는 가스가 있는데요 이는 산소와.수소 가스가 발생하게 됨니다 이때 소수가스는 베터리의 마개에 만들어 놓은 구멍으로 빠져나가게 설계가 되여있습니다물런 산소도 같이 빠져나가게 되지요 이때발생하는것이 열 이란것인데요 만약에 소수가스 베터리 밖으로 베출되지않고베터리안에 모이게 되고 이는 열로써.혹은 스파트로써 모여있던 소수에발화점을 재공하게 된다면 펑~ 폭발이 일어날수도 있습니다특히 여름철에 베터리를 자외선이 내리째는 곳에 둔다면 이는 위험이 있지요하지만 이런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좀 험하게 말씀드린다면 베터리는=달리는소수폭판 ^^;; 극히 희박하지만요 2번째 주행중 차가서지않을까요? 디젤차량은 시동이 걸린후 베터리가 방전이 되어도 시동이 꺼지지 않습니다허나 가솔린 차량같은경우는 주행중 베터리가 방전이 되거나 발전기[제네레이터]가 고장.혹은 충전을 해주지 않을시 시동이 꺼지게 됨니다즉 가솔린 차량은 주행중 베터리가 방전이 되여 스파트를 튀기지 못한다면시동은 꺼진다.. 라고 정의 할수 있겟내요 .. 아참 그리고 베터리가 과충전 된다고 하셧는데이는 본네트를 열고 +단자를 확인 하시면 +단자가 불룩하게 튀어 올라오지 않는이상별 위험은 없다고 보시면 됨니다 .. 하얀연기가 나오면 .그런데 이 햐얀연기라는것이 무엇인지 저는 알수가 없으며정말 베터리 부분에서 하얀연기가 발생할수 있는 확률이란것이 존재하는지의심이 되내요 ㅡㅡ;
Q.  지구에서 앞으로 인간보다 우월한 종이 탄생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은 태어날수가 없습니다 복제 인간이라면 모룰 까 아직은 그럴만한 위협울 주눈 동물들은 없습니다
Q.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들을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암을 분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기원에 따른 분류는 수성암과 화성암.님이 말한 기원은 생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분류입니다. 우선 화성암은 화성기원이죠....쉽게 말하면 마그마의 분화작용에 의한 생성을 말하구요퇴적암의 경우 퇴적기원의 암..즉, 퇴적에 의해 흙, 모래, 빙하등이 퇴적되면서 생기는 암등을 이야기 합니다. 변성암의 경우 앞의 두가지 암과 또다른 변성암이 열 또는 압력에 의해 기존암석의 고유한 성질을 잃어버리고 새로운 암으로 변하게 되면 변성암의 분류에 들어갑니다.
Q.  과학에서 말하는 고기압과 저기압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기압은 태양과 지구표면에 높이에 의해 만들어집니다​고기압은 공기양이 주위 보다 많아 기압이 높은곳 입니다​저기압은 공기양이 주위 보다 적어 기압이 낮은곳 입니다​
2312322332342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