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윤달이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한국과 중국에서 쓰는 음력은 태양태음력이라고 합니다. 왜냐면 달과 태양을 모두 계산하기 때문에 복잡하거든요.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기간은 두 가지로 나눠 이야기합니다. 지구의 태양에 대한 공전을 무시한 항성월과 공전을 고려한 삭망월이죠. 달의 모양이 변하는 주기는 삭망월에 따릅니다. 달이 뜨는 시간을 결정하는 것은 항성월입니다.지구의 공전 주기는 365.2422일이고 달의 지구에 대한 공전 주기는 29.53일입니다. 이것을 기준으로 달과 해가 정해지는 것이지요. 양력은 달보다 해를 우선하는 것입니다. 1년은 일로 기준하면 365.2422일이고, 월로 기준하면 약 12.38월이 됩니다그래서 양력은 365.2422일을 정확히 12개월로 나눈 것입니다. 4년에 하루씩 윤년이 있고요. 그런데 12.38월을 12월로 맞추려다 보니 원래 한 달 길이인 29.53일을 넘어서 30일 또는 31일이 되게 맞춘 것(2월은 예외) 그래서 날짜와 달 모양이 전혀 관련이 없게 됩니다한편 한국과 중국의 태양태음력은 해보다 달을 중심으로 한 것입니다. 한 달 길이가 29.53일이니까 한 달은 29일 또는 30일이 되고 1년이 12.38월로 되어 있으니 어떤 해는 12개월, 어떤 해는 13개월로 해서 맞추는 것입니다. 19년에 7번을 넣는 게 보통입니다. 그리고 태양-달-지구가 정확히 일직선이 되는 날을 음력 1일로 정합니다. 그러다 보면 29일인 달이 있고 30일인 달이 있는 것이죠. 정확히 일직선이 되는 때는 일반인이 알 수 없으니 며칠 뒤의 음력 날짜를 예측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그리고 1년이 13개월일 때는 윤달이 들어가고윤달을 넣는 법도 좀 복잡한데, 태양과 지구와 달의 운동을 정확히 알아야 제대로 넣는 법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달과 계절이 어느 정도 맞지만 양력처럼 잘 맞진 않기 때문에 그것을 보충하기 위해 만든 것이 바로 24절기입니다. 24절기의 각 절기는 지구가 태양을 기준으로 해서 특정한 위치에 있는 때로 정한 거므로 양력 날짜가 거의 일치하는 것입니다.바꿔 말하면 양력은 1년의 길이를 맞추기 위해 한 달의 길이를 희생시킨 거고, 음력은 한 달의 길이를 맞추기 위해 1년의 길이를 희생시킨 겁니다.
Q. 전자와 전자기파는 무엇이며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1.원자는 기본적으로 전하를 띤 입자, 즉 전자와 원자핵(양성자 포함)로 구성되고 보어모형은 (무거워서 거의 정지한) 원자핵 주변의 전자가 취할수 있는 에너지 상태를 설명하고 있으며 전자가 들뜬 상태에서 바닥상태로 천이할때 전자기파, 즉 광자를 방출합니다.2.모든 전자기파는 전기장과 자기장, 둘 다 있어야만 합니다. 이 둘은 서로를 생성하면서 공간에서 진행하죠. 전기장이나 자기장 하나만 있으면 전자기파가 될 수 없습니다.
Q. 최초로 드론을 만든 사람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드론을 처음 만든 사람은 누구인지 알 수 없습니다.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일단, 드론의 기원과 정의가 조금씩 다릅니다. 드론이라는 단어 뜻 자체가 숫벌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프로펠러가 회전하는 소리가 벌이 웅웅 거리는 것처럼 들린다 하여 드론이라 불린다는 기원이 있지만, 드론 중에는 프로펠러 없이 비행기처럼 날개가 가진 고정익 형태의 드론이 있기 때문에 이 기원이 100% 맞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또한 UAV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사람이 타지 않고 날아다니는 비행체, 무인기를 말합니다. 하지만 현재 무인기, 드론이라고 불리는 물체를 보면 무인비행체 뿐만 아니라,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무인으로 조종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이 정의도 100% 정확하지 않습니다.이렇게 드론에 대한 정확한 기원과 정의가 없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과거 만들어진 드론에 대해서도 이걸 드론이라고 봐야 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합니다.그리고 드론은 한가지 기술로 개발이 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드론의 창시자에 대한 것도 정확히 하기 어렵습니다.
Q. 벌레 물린데 침을 바르면 조금 덜 간지러운 이유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나 벌에 물리면 침을 바르는 사람이 많다. 실제로 침을 바르면 가려운 것도 줄어들고 상처도 빨리 아무는 느낌이 든다. 과연 침은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고 가려움을 완화시켜줄까?벌레 물린데 침을 바르는 것은 아무런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침속의 세균으로 인해 상처가 덧날 위험이 있다. 침을 발랐을 때 가려움증이 줄어드는 것은 알칼리성 물질인 침이 산성 물질인 벌레의 독성을 중화시켜 단순히 자극을 줄여주기 때문인데 침은 90%의 물과 유기, 무기물질로 이뤄져 있으며 점막보호 및 항균, 소화촉진, 혈액응고 촉진등의 작용을 한다. 이중 항균작용은 침의 성분 중 면역글로블린 이라는 단백질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