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어려운 육아문제 오랜 경험의 전문가가 답해드립니다.

어려운 육아문제 오랜 경험의 전문가가 답해드립니다.

유미선 전문가
동성초등학교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피아노는 한글을 뗀 후에 배우는 게 좋나요?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네 피아노는 한글을 몰라도 배우는데 크게 지장이 없습니다. 건반 익히기와 악보보는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9개월 된 아이 아직 치아가 안나요.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8~9개월 아기의 치아는 윗니 2개 아랫니 2개 정도로 4개가 나온다고 메뉴얼에 되어있지만 이는 개인차이가 크며 돌즈음 되어서 첫니가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걱정하시지 마시고 조금더 지켜보시면 되겠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여름에 아기 내복 어떤거 입히나요 ? 나시? 5부? 7부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사람이 쾌적함, 시원한감을 느끼는 실내온도는 25 ~26도가량이 된다고 합니다. 아기에게 에어컨바람이 직접 닿게 되면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콧물, 기침 증상이 나타날 수가 있으므로 주의 하여 주시고 아기가 있는 방의 온도 설정을 할 때는 25도 정도로 하되 바람의 세기는 '미약'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른이 느끼기에 약간 서늘하다 정도가 좋다고 합니다.아기의 내복은 7부 5부 나시를 준비하셔서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입히시면 될듯 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매운음식을 너무 좋아하는 아이 교육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맵거나 짠 자극적인 음식은 중독성이 강하여 아이가 어릴 때부터 자극적인 맛에 길들여지면 커서도 맵거나 짠 음식만 찾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매운 음식 좋아하는 아이, 처방 메뉴얼 붉은색 채소로 착시 효과를 낸다붉은색을 띠어도 맵지 않은 식품을 활용해본다. 고춧가루 대신 토마토나 빨간 파프리카 등으로 붉은빛이 돌게 조리해 아이의 입맛을 돋우는 것. 고춧가루를 우린 물로 양념을 하거나 빨간 파프리카, 토마토를 갈아서 양념에 넣어도 좋다.새콤한 맛을 가미한다아이가 매운맛을 무척 좋아한다면 식초나 과일즙 등으로 새콤달콤한 맛이 돌게 음식을 만들어 줄 것. 매운 김치 대신 오이피클, 고춧가루 대신 과일즙이나 식초, 올리고당 등을 활용하면 달짝지근한 맛이 나 잘 먹는다.식품 본연의 매운맛을 활용한다고춧가루나 후추, 마늘 같은 매운맛 향신료 대신 무, 셀러리, 깻잎 등 향신 채소를 활용해보자. 식품 본연의 건강한 매운맛을 살려 요리하는 것이 포인트. 아이와 함께 음식을 만들면 애착을 느껴 더 잘 먹는다.매운 음식에는 우유나 생크림을 첨가한다매운 음식의 캡사이신 성분이 혀에 붙어 맵다고 느끼는데 이때 우유를 마시면 우유의 지방 성분이 혀 표면에 붙은 캡사이신을 녹여 매운맛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레나 라면 등에 우유를 첨가하면 어느 정도 매운맛이 중화되고 풍미도 좋아진다.가족의 식단 변화도 중요하다아이가 ‘매운맛’만을 선호한다면 부모의 식단부터 점검하자. 전문가들은 아이가 매운맛을 선호할 경우 부모 역시 매운맛에 길들여져 있기 쉽다고 지적한다. 지나친 매운 음식은 피하고 채소, 달걀, 해물 등 식재료 본연의 맛을 살린 담백한 음식을 먹도록 노력하자. PULS TIP 매운 음식 단계별 섭취 요령 돌 이후부터 가벼운 매운맛 음식 섭취를 시도할 수 있으나 김치 등을 비롯해 자극적인 짠맛과 매운맛 음식은 5세 이후에 먹기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운맛의 첫 단계는 카레나 머스터드소스같이 부드럽고 달콤한 맛으로 시작하고, 김치는 짜지 않고 고춧가루를 쓰지 않은 유아용 김치부터 먹여본다. 고춧가루를 넣은 음식을 먹기 전 빨간색 식품을 활용해 붉은색 음식이 무조건 매운 것은 아니라는 걸 알게 한 다음 서서히 시도하면 아이가 거부감 없이 잘 먹는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요즘 수족구병이 유행이라던데 예방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수족구가 돌 때는 가능하면 무리하지 말고 아이들이 많은 곳을 피하고 손발을 자주 씻고 세수 자주 하고 양치질을 열심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치 못할 사정으로 수족구에 걸린 아이와 같이 있게 되면 손을 잘 씻게 하고 손을 입에 넣지 못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이 화장실에서 일을 본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게 하십시오. 바닥을 자주 닦고 아이들의 손이 닿는 탁자와 의자 등도 자주 닦아주고 같이 사용하는 장난감은 물로 자주 헹구어 주어야 합니다.가능하다면 아이가 입으로 물었거나 침을 묻힌 장난감을 다른 아이가 가지고 놀지 않게 주의를 하십시오. 그리고 수족구에 걸린 아이를 만진 어른이나 선생님은 다른 아이를 만질 때 손을 씻어야 전염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아이의 기저귀를 갈거나 음식을 준비할 때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합니다. 그리고 유아원같이 단체생활을 하는 곳에서는 천 기저귀보다는 좋은 종이 기저귀를 사용하는 것이 수족구병이 퍼지는 것을 막는데 조금은 더 좋을 수 있습니다.수족구는 물집이 잡히기 이틀 전부터, 병에 걸렸다는 것을 알 수도 없는 시점에 이미 다른 아이들에게 수족구를 퍼뜨리기 때문에 쉽게 전염을 막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물집이 잡힌 후 1주일간은 잘 옮기지만 그 이후에도 수주일간은 전염이 될 수 있습니다.
431432433434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