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용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용희 전문가입니다.

유용희 전문가
더블유플러스 학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 쓰레기를 궤도 밖이나 지구로 떨어뜨려서 제거할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유용희 과학전문가입니다.이미 많은 우주쓰레기가 지구로 떨어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대기와의 마찰로 불타 없어지지만 대형 우주 물체는 파편이 남아서 지상으로 추락한 경우들이 있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유엔에서는 크기가 작은 것들은 수명이 다해서 추락하기 전에 추락을 유도해서 안전하게 추락할 수 있도록 하고, 크기가 큰 것들은 우주 밖으로 밀어내도록 하는 가이드 라인을 만들었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중력의 방향은 항상 같은가요?
안녕하세요. 유용희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은 지구 중심 방향을 향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느끼기에는 윗쪽에서 아랫쪽으로 향하게 되겠죠.조종사가 뒤집어질 때 안 떨어지는 건 안전밸트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갈변된 감자에서 카탈레이스+과산화수소 분해가 늦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유용희 과학전문가입니다.과산화수소 분해시 감자의 카탈레이스라는 효소가 촉매로 작용하게 되는데, 갈변된 감자라는건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서 변질이 일어났다는 말이 되고 효소의 성능이 떨어졌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촉매로서의 역할을 일반 감자보다는 못 할 수 있는 것이죠.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보통의쇠가 자성을 가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용희 과학전문가입니다.가위처럼 금속의 경우 강자성체라고 불리는 물체는 주위의 자기장, 즉 자석의 성질이 있으면 더불어 자석의 성질을 가질 수 있습니다. 주위의 자기장이 사라지고 나서도 일정 시간 자석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드라이버 중에 나사가 달라붙는 경우가 있는데 이도 그러한 성질을 활용해서 만듭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행성은 어떻게 가스로만 이루어져있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유용희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 가스 즉 기체는 뭉쳐지기가 어렵겠죠. 태양과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평균 온도가 높아서 그렇습니다. 목성부터 기체로 이루어진 행성이 되는데 이는 태양과 거리가 멀기 때문에 온도가 워낙 낮아서 기체가 지구처럼 흩어지지 않고 중력에 의해 뭉쳐져 있게 됩니다. 태양과 가까운 행성들은 딱딱한 지표면을 갖고 있고, 태양과 먼 행성들은 딱딱한 지표면이 없는 이유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고도가 높은곳이 추운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유용희 과학전문가입니다.언급하신대로 아주 아주 높이 올라가면 태양의 영향으로 온도가 올라갑니다. 그러나 지표면 근처는 지구의 영향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지구로부터의 열로 인해 지표면이 더 온도가 높고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기권을 약 1000km로 보기 때문에 높은 산이라 할지라도 지표면에 가깝다고 할 수 있겠죠.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대기권은 여러 권역(층)으로 나눠지는데 왜 일까요
여러층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높이에 따른 기온의 변화입니다. 지표면에서부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눠지는데 대류권은 지구에서 나오는 열의 영향으로 지표면에서 멀어질수록 즉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하강합니다. 반대로 열권은 태양과 가깝기 때문에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올라가죠. 그런데 성층권에 오존층이 존재하다보니 자외선을 흡수하면서 온도가 점점 높아지게 됩니다. 그러면서 기온의 변화가 생기면서 성층권은 높이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상승하고 중간권은 높이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구분되어졌습니다. 대표적으로 성층권은 비행기가 다니는 항로로 사용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톨게이트 하이패스 원리에 대해 가르쳐주세요
안녕하세요. 유용희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기유도 현상입니다. 전자기 유도란 자기장의 변화가 생기면 전기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교통카드도 동일한데 카드에 있는 마그네틱이 움직이면 그 변화로 자기장이 변하고 그때 전기가 발생하면서 전기 신호를 보내서 작동하게 되는 원리입니다. 더 넓게는 발전기의 원리가 되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고산지대로 가면 왜 산소가 부족할까요
안녕하세요. 유용희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이 그 원인입니다. 중력에 의해서 대기는 대부분 지표면에 있게 됩니다. 높은 곳으로 올라갈수록 공기가 부족해지고 더불어 산소도 부족해집니다.대류 현상이란 뜨거운 공기는 올라가고 차가운 공기는 내려가는 현상인데 공기가 데워지는 정도에 따라 차이가 날테고, 중력의 영향권 안에 있기에 지표면만큼 고산지대로 공기가 갈 수는 없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빅뱅은 과학자들이 어케 확신하져?
안녕하세요. 유용희 과학전문가입니다.간단히 설명한다면 허블에 의해서 현재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시긴을 거꾸로 돌린다면 어떻게 될까요? 결국 하나의 점으로 모이게 되겠죠? 그리고 이때 방출된 빛을 우주배경복사라고 하는데 이것이 발견되었고 빅뱅의 증거로 노벨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물론 아무도 세상의 처음을 본 적이 없기에 정확한 것은 모르지만 논리적 근거와 지금 나타나는 현상을 통해 추론하는 것 역시 과학입니다. 더 분명한 다른 증거가 나온다면 새로운 이론이 나올 수 있습니다. 과학은 오히려 더 열린 마음으로 가능성을 열어 두는 법이죠~^^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