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과학에서 이야기하는 시그널과 노이즈가 무슨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시그널은 유용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로, 우리가 관심 있는 주요 부분을 의미합니다. 반면 노이즈는 불필요하거나 방해가 되는 데이터로, 원하지 않는 외부 간섭이나 오류를 나타냅니다. 과학에서는 특정 실험이나 측정에서 원하는 정보를 분리하기 위해 시그널과 노이즈를 구분합니다. 기준은 해당 연구가 필요로 하는 정보의 형태와 본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실험 설계, 측정 기기, 데이터 처리 방법 등을 통해 시그널을 최대화하고 노이즈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지속됩니다.
Q. 산업용 로봇 제어에 대한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산업용 로봇은 주로 여러 방식으로 조작됩니다. 티칭 펜던트는 로봇 팔을 직접 조작하여 동작을 티칭하는 장치로 많이 사용되고, PC 제어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습니다. PLC는 생산라인의 자동화 조작에 사용되며, 터치 패널이나 태블릿은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LG 전자 스마트 파크나 현대자동차 같은 곳에서는 전용 컨트롤러나 PC 기반의 디지털 커맨드 센터가 주로 사용됩니다. 이 센터에서는 로봇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사람은 컴퓨터로 이를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산업용 로봇은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는 기술이 이미 존재합니다. 5G 같은 고속통신망이 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현재 무선 네트워크의 안정성 및 보안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환경에서 무선 제어가 활용되지는 않습니다.스마트팩토리 환경에서도 인간의 개입이 필요한 이유는 비상 상황 대처, 설비 점검 및 유지보수 때문입니다. 완전한 자동화는 여러 어려움이 있어 현재는 반자동화 상태가 일반적입니다.노후 대비로 생각하고 계신다면, 기초 전기와 전자 지식을 바탕으로 자동화설비산업기사나 로봇하드웨어개발기사, 로봇소프트웨어개발기사를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로봇 관련 자격증은 앞으로의 자동화 산업에서 유용할 것입니다. 용접로봇과 관련된 분야라면 용접 기술도 도움이 되겠지만, 용접로봇의 제어와 유지보수는 자동화 기술과 더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