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유택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택상 전문가입니다.
유택상 전문가
서울교통공사 검수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자격증
전기·전자
2025년 3월 26일 작성 됨
Q.
전기를 팔 수 있나요? 판다면 어떻게 파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전기를 파는 것은 가능합니다. 개인이 전기를 팔기 위해서는 주로 태양광 발전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하고, 이 설비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력회사에 판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의해 발전 차액지원제도나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거래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로만 생계를 이어나가기에는 초기 투자비용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충분한 계획과 자금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규모의 발전설비와 지역적 요인을 고려해야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5년 3월 26일 작성 됨
Q.
과전압이랑 과전류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일본에서 220V 전자제품을 사용하면 제품이 의도한 작동 전압보다 낮은 100V로 작동하게 됩니다. 이 경우 과전압이 아닌, 전압 부족 상황에 해당합니다. 전자제품이 설계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공급받으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과전류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반대로 한국에서 100V 전자제품을 220V 전원에 연결하면 과전압 상황이 발생합니다. 전자제품이 설계된 전압보다 높은 전압에 노출되면 내부 부품이 손상되거나 발열로 인해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력의 경우 P=V^2/R 식에 따라 전압 증가 시 전력이 급격히 증가해 발열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자제품을 사용할 때 항상 해당 국가의 전원 사양에 맞는 변압기나 어댑터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전기·전자
2025년 3월 26일 작성 됨
Q.
엘리베이터 내에서의 통신이 잘 안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엘리베이터 내에서 통신이 잘 안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엘리베이터는 주로 강철과 같은 금속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 금속들은 전파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신호가 내부로 들어오거나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해합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가 건물의 구조 내에 위치해 있어 구조물 자체가 신호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동안 빠른 속도로 인해 신호가 불안정해지거나 끊길 수 있어 이런 요인들이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내부에서의 통신 상태가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5년 3월 26일 작성 됨
Q.
엘리베이터 내 통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엘리베이터 내 통신을 향상시키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최신의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엘리베이터의 이동 중에도 안정적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Wi-Fi나 Bluetooth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통신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해 신호 증폭기나 중계기를 설치하여 신호의 세기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엘리베이터 내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철저한 주파수 관리와 전파 환경 분석을 통해 최적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기술을 적용해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면 엘리베이터 내 통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5년 3월 26일 작성 됨
Q.
두꺼비집에서 빛이 번쩍했는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두꺼비집에서 빛이 번쩍하는 현상은 전기적 스파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스파크는 회로 내에서 접촉 불량이나 과부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래된 아파트의 경우 배선이나 두꺼비집의 구성 요소가 노후화되어 접촉 불량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에어컨과 같은 대전력을 사용하는 가전제품을 장시간 사용하면 전기 부하가 증가하여 스파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런 상황은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으니 즉시 전문가의 점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능하면 에어컨 등의 대형 가전제품은 사용을 잠시 중단하고 두꺼비집을 열어 내부의 냄새나 탄 흔적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안전을 위해 전기 전문가에게 점검을 의뢰하는 것이 좋습니다.
411
412
413
414
4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