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하철은 전기로 동력을 쓰는데 열차 위에 전기줄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지하철의 경우,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은 노선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은 전차선 또는 제3궤조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습니다. 전차선 방식은 열차 위에 전기줄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이는 고가나 지상 구간에서 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제3궤조 방식은 선로 옆에 설치된 궤도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으로, 지하 구간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질문자님이 최근 지하철에서 전기줄이 없다고 느끼셨던 이유는 제3궤조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구간에 탑승하셨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두 방식 모두 열차에 전력을 공급하지만, 자세한 방식은 각 노선의 설계 및 운행 환경에 따라 결정됩니다.
Q. 버스전광판이나 휴대폰에서 버스가 어디까지왔고 몇분뒤에 오는지등을 알려주는데요, 어떤 원리인가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버스 전광판이나 휴대폰 앱에서 버스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주로 GPS와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합니다. 각 버스에는 GPS가 장착되어 있어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합니다. 이 정보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 서버로 전송되며, 서버는 버스의 현재 위치, 속도, 노선 정보 등을 분석해 각 정류장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합니다. 계산된 정보는 다시 전광판이나 휴대폰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됩니다. 이 과정에서 GPS 기술과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Q. 핸드폰의 무선 충전 방식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무선 충전 방식의 원리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합니다. 충전기 패드 내부에 있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전자기장이 휴대폰에 있는 수신 코일을 통해 전류로 변환되어 배터리를 충전하게 됩니다. 이 방식은 매우 안전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국제 표준에 따라 여러 안전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폭발 등의 사고 위험은 극히 낮습니다. 휴대폰은 과열, 과전압, 과충전 등을 방지하는 보호 장치를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안심하고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다만, 휴대폰과 충전기 사이에 금속물질이 끼지 않도록 주의하면 더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