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확실히꿈꾸는칠면조
확실히꿈꾸는칠면조

백열전구 교체 하다가 스파크 튀는 현상?

220V 백열 전구 교체 하는 중에 소켓과 유리 글로브가 분리되어서 필라멘트에 전구가 간신히 매달려 있는 상태였었습니다 전구는 꺼져있었고요

여기서 전원 스위치 끈 줄 알고 3m 장갑 끼고 소켓을 돌려 뺄려니 잘 안 빼지더라고요 그래서 펜치 갖대 대는 순간 스파크 튀고 필라멘트가 끊어지면서 전구가 바닥에 떨어지면서 깨졌는데 여기서 질문입니다 (차단기 내려감)

  1. 필라멘트만 안 건드리면 될 줄 알 았는데 소켓도 도체여서 전류가 흐릅니까?

  2. 공구를 갖다 대면서 생긴 스파크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쇼트?, 펜치를 대면서 생긴 전위차에 의한 과전압?)

  3. 전구는 교체하니 정상 작동은 되는데 소켓 끼우는 부분에 그을림 및 녹은 흔적이 보이는데 전구만 정상 작동 하면 큰 문제는 없는 건가요?

  4. 점검이 필요하다면 어떤 부분에 점검이 필요한가요? (피복 및 전선점검, 테스터기로 전압 측정이 필요한건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전구 교체 중 스파크가 발생한 것은 소켓이 도체이기 때문에 전류가 흐를 수 있어 발생한 현상입니다. 펜치를 사용하면서 생긴 스파크는 단락으로 인한 것이며 이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소켓에 그을림이나 녹이 있는 경우 내부 손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점검이 필요합니다. 소켓과 주변 배선의 상태를 확인하고 전압을 측정하여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전을 위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전기 작업은 항상 주의가 필요하니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세요.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1소켓도 도체 이므로 전류가 흐릅니다.

    2펜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 스파크는 단락 및 합선이라고 합니다.

    3소켓에 그을림 및 녹은 흔적이 보인다면 정상 작동하더라도 내부 손상 가능성 하여 점검이 필요해 보입니다.

    4소켓 내부 전선 상태를 점검하고 전압 측정과 소켓 접촉 상태(불량)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스파크 발생 상황은 굉장히 위험할 수 있었습니다. 먼저 전구 소켓 역시 도체입니다. 전원이 끊기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를 수 있어 접촉 시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펜치를 사용했을 때 발생한 스파크 현상은 쇼트로 인한 것입니다. 전구 교체 후 정상 작동된다 하더라도 소켓에 그을림 및 녹은 흔적이 있다면 전기적 손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소켓과 그 주변 배선을 점검해야 합니다. 특히 피복이 손상되었는지 확인하고 테스터기를 사용해 전압과 저항 값을 측정하여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전을 위해 점검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이상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