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펄스 반사법에 대해서 영어 해석과 개념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펄스 반사법은 영어로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라고 합니다. 이 방법은 전송 매체, 주로 케이블이나 기타 전도체의 결함을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펄스를 전송하고 그 반사된 신호를 분석하여 결함의 위치와 성격을 파악하는 원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두께와 구조물 재료 등이 있는 경우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TDR은 특히 케이블의 단락, 절단, 임피던스 불일치 등과 같은 문제를 진단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Q. 콘덴서 전동기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콘덴서 전동기는 주로 단상 유도 전동기에서 기동토크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전동기는 세탁기, 냉각기, 송풍기 등의 가정용 기기나 소형 산업용 장비에서 주로 볼 수 있습니다. 콘덴서는 전원 주파수와 위상을 조절해 전동기가 더 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초기 기동이 필요한 장비에 적합합니다. 기동 후에는 일부 콘덴서 전동기가 런 킥에서 분리되기도 하며, 연속 사용을 위해 추가적인 콘덴서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특징 때문에 안정적인 기동이 중요하거나, 크기와 비용 면에서 효율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합니다.
Q. 전기실에 있는 큐비클이라는 것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큐비클은 전기실에서 전력을 수배전하는 고압 수배전반을 주로 지칭합니다. 보통 철제 판넬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에는 차단기, 계전기, 변압기 등 다양한 전기 부품과 장비들이 있어 전력의 수배전 및 보호 기능을 수행합니다. 저압반과는 다르게, 큐비클은 주로 고압 전력을 배전하는데 사용되며 전력 수요가 높은 건물이나 산업 시설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따라서 저압 전기설비만 있는 경우라면 해당 설비는 큐비클이라고 부르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